장기이식용어 법률상 장기이식용어 뇌사자 장기등이식법률에 의거한 뇌사판정기준 및 뇌사판정절차에 따라 뇌 전체의 기능이 되살아날 수 없는 상태로 정지된 자 장기등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과 세포로 이루어진 신체의 부분을 말하며 사람 내장의 여러 기관 등으로서 신장(Kidney), 간장(Liver), 췌장(Pancreas), .. 의학상식 2008.12.09
크론병 크론병 "크론병은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주로 젊은 사람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염증성 질환으로, 소화관의 어느 부분에서도 생길 수 있으면, 증상은 침범된 부위나 범위에 따라 복통, 설사, 장 출혈, 발열, 빈혈, 영양장애, 관절염 등의 전신증상을 보인다." 우리 나라에서는 최근 이 병에 걸린 .. 의학상식 2008.11.27
요관협착의 정의, 증상, 원인 및 치료 요관협착의 정의, 증상, 원인 및 치료 요관협착의 정의, 증상, 원인 및 치료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볼 수 있음) 정의 : 요관협착(ureter stenosis)이란 소변을 신장에서 방광까지 운반하는 섬유근육 조직관인 요관에 생리적인 협착부위가 있는 것을 말한다. 요석.. 의학상식 2008.11.20
BRAF 유전자 변이 검사를 통하여 갑상선 유두암의 조기 진단 갑상선유두암 진단을 위한 BRAF 유전자 (BRAF) 검사 BRAF Gene Major Mutation BRAF 유전자는 여러가지 암의 발생과 관련된 암유전자의 일종으로 특히 papillary thyroid cancer의 50% 이상에서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된다. BRAF 돌연변이는 extra nodal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local recurrence 등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 의학상식 2008.11.11
골수 이형성 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골수이형성증후군 골수이형성증후군의 정의, 증상, 원인 및 치료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의 : 골수이형성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이란 젊은 연령층에서는 발생이 매우 드물고, 대부분 50세 이상 에서 90세 사이에 발생하는 골수의 조혈모세포 기능장애로서, 각종 혈액세포의 질적 및 양적 .. 의학상식 2008.11.07
빈혈검사 빈혈을 발견하고 원인을 찾기 위한 일차검사 Complete blood count (CBC), index (RDW포함) 말초혈액도말검사 망상적혈구수 상기 검사에서 이상이 있는 환자를 위한 검사 망상적혈구수 상승 --> 용혈성빈혈을 의심 말초혈액도말검사의 재검 용혈에 대한 검사 LDH (상승) 총 빌리루빈 및 직접 빌리루빈(상승) Haptog.. 의학상식 2008.11.07
베크위트-비드만 증후군 (출처 : '' - 희귀난치성질환헬프라인,국립보건연구원,질병관리본부) 베크위트-비드만 증후군은 성장 장애로 큰몸증(macrosomia), 큰혀증(macroglossia), 특정 복강 장기의 비대(visceromegaly), 윌름즈종양(Wilms tumor), 간모세포종(hepatoblastoma),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 등의 배아종(embryoma).. 의학상식 2008.11.03
손목통증 손목통증 클리닉이란 손목관절 주위에 여러 원인으로 발생하는 통증을 전문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클리닉으로,비 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 및 상처와 회복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손목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을 전문으로 합니다. 손목통증의 원인 건초염, 류마티스 관절염 양성 종양 (물혹, 거대세포.. 의학상식 2008.10.27
루푸스 루푸스는 어떤질병인가? 루푸스를 문헌에 처음으로 소개한 것은 1851년으로 얼굴에 생긴 병변 때문에 환자의 얼굴이 흡사 늑대 얼굴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영어로 lupus는 ‘이리’ 또는 ‘늑대’를 뜻함).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란 기다란 이름을 가진 이 병을 흔히 줄여서 ‘전신성 루.. 의학상식 2008.10.20
만성신질환의 원인 및 단계,치료 만성신장질환이란? [만성 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은 단백뇨가 지속적으로 나오거나 혈뇨와 같은 신장 손상의 증거가 있거나,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건강 검진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100 명 중 약 7.7 명이 이미 만성신장질환을 가지.. 의학상식 2008.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