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흑색종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 동의어흑색종(melanoma)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정의 악성 흑색종이란 멜라닌 세포의 악성종양으로서 멜라닌 세포가 존재하는 곳에는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피부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 멜라닌 세포는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세포.. 의학상식 2009.04.28
후두암 후 두 암 1. 후두암이란? 후두암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가장 흔한 암의 하나이다. 대부분 편평상피암이며, 남자와 여자의 비는 약 10대 1이고 최근 여성흡연인구의 증가로 여자의 후두암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연령별로는 40대 이상, 60대에 가장 많다. 성대를 중심으로 발생 부위에 따라 성대.. 의학상식 2009.02.13
Polybone(bone cement) PolyBone (뼈 시멘트) 분류 전문의약품 - 의료기기 전문과 외과 증상 --> 주요성분 Polyphosphate, 제3 인산칼슘 보험코드 보험약가 특장점 1. 생체활성,생체적합성이 우수한 골이식재 2. FDA 승인된 골형성 촉진인자함유 골대체제 효능효과 PolyBone은 정형외과,신경외과,구강외과 및 성형외과 분야의 다양한 적응.. 의학상식 2009.02.09
고혈압ㆍ당뇨병ㆍ고지혈증의 기준 1. 고혈압ㆍ당뇨병ㆍ고지혈증의 기준 1) 고혈압의 기준:JNC-7 ○2004년 7월부터 보건소 만성질환 관리사업에서 고혈압의 기준은 2003년 5월 미국 국립보건원 심장폐혈액연구소(National Insititute of Healt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e:NIH, NHLBI) 및 고혈압의 예방ㆍ발견ㆍ평가ㆍ치료를 위한 국립합동위원회.. 의학상식 2009.01.19
B형간염바이러스 B형간염 바이러스는 Hepadnarviride과에 속하는 세포변성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간 친화성 DNA 바이러스입니다. 바이러스 외피는 B형간염 표면항원(HBsAg)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심에는 HBV, HBcAg, HBeAg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B형간염 표면항원(HBsAg)은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 초기에 출현하며 급성 또는 만성 B형.. 의학상식 2009.01.19
골다공증 골다공증 골다공증은 뼈의 구성성분인 칼슘이 서서히 소실되면서 뼈에 구멍이 생기고 뼈 사이의 구조가 엉성해지면서 많이 약해진 상태로 작은 자극에도 쉽게 부러지고 요통, 관절통을 일으킨다. 대개 35~50세 사이에서 시작되어 서서히 진행되며 여성들은 갱년기가 되면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의학상식 2009.01.03
암성통증관리 암성통증의 방사선 치료 암성 통증에서 방사선 치료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등의 치료에서 통증이 조절되지 않을 때 통증 완화 목적으로 혹은 신경 압박이나 골절의 예방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통증 완화를 위한 방사선 치료는 환자의 전신 상태 및 잔여 생존 기간을 고려하여 1~3주의 짧은 기간 내에 .. 의학상식 2009.01.03
통증관리 통증 관리 통증은 암환자들이 겪는 가장 흔하면서도 고통스러운 증상 중 하나입니다. 초기 암 환자나 혹은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암 환자의 약 30~50%가, 진행성 암 환자의 약 60~70%가, 그리고 말기암 환자의 약 80~90%가 심한 통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것은 암 환자의 70~90%가 통증 관리 원.. 의학상식 2009.01.03
기저세포암 기저세포암의 종류 증상에 따른 분류 ▶ 결절궤양성 기저세포암 기저세포암의 가장 흔한 임상형태입니다. 납모양(waxy)으로 반투명이고 표면에 모세혈관 확장이 있는 작은 결절로 시작합니다. 결절이 서서히 자라면서 대개 중앙부에 궤양이 생깁니다. 서서히 자라나는 궤양을 진주로 둥글게 만 듯한 .. 의학상식 2009.01.03
CT, MRI, PET 누가 더 똑똑한가 CT, MRI, PET 누가 더 똑똑한가 --> "이왕이면 CT(전산화단층촬영)보다 MRI(자기공명영상)를 찍고 싶어요." "PET(양전자단층촬영)를 찍으면 암을 모두 잡아낼 수 있나요?" 진료실에 들어선 환자들이 종종 하는 말이다. 비싼 검사가 무분별하게 남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지만 의료수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 의학상식 2008.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