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요관협착의 정의, 증상, 원인 및 치료

야국화 2008. 11. 20. 17:33

요관협착의 정의, 증상, 원인 및 치료
 

요관협착의 정의, 증상, 원인 및 치료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볼 수 있음)

정의 : 요관협착(ureter stenosis)이란 소변을 신장에서 방광까지 운반하는 섬유근육 조직관인 요관에 생리적인 협착부위가 있는 것을 말한다. 요석이 생긴 경우에는 이런 협착부위에서 걸리게 될 가능성이 많다.

증상 : 장기화되는 경우에 수신증을 초래할 수 있고, 신기능 저하가 온 경우는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신생아나 영아의 경우는 복부에 혹이 만져지거나 요로 감염으로 심하게 앓는 경우도 생기는데, 소변이 정체되면서 감염이 생기기 때문이다. 아이의 성장이 부진한 경우도 요관협착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원인 : 대부분 선천성이지만 외상이나 수술에 의한 요관 손상, 감염, 결석, 악성 종양, 전립선 비대 등의 후천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치료 : 협착의 정도가 가벼우면 지켜보기만 하여도 저절로 호전되기도 한다. 하지만 수술적으로 빨리 막힌 것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면 조기에 수술을 하게 된다. 수술은 좁아진 요관을 제거한 후 다시 신우와 요관 부위를 이어주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요도(요관)질환의 식이요법

  1. 이뇨제를 사용할 때에는 비타민 B군과 C 같은 수용성 비타민과 미네랄들이 소변으로 많이 손실되므로 보조식품으로 보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타민 B군은 수분 보유를 감소시켜 준다. 비타민 B군이 풍부한 맥주 효모, 간, 생선, 두류, 계란노른자, 통곡식, 소맥배아, 버섯, 채소나 과일로 먹는다. 비타민 C는 소변의 산도를 높혀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해 준다. 비타민C와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압착유(참기름이나 들기름), 소맥배아유, 해바라기씨, 호박씨, 견과류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2. 비타민 A는 요도 점막의 세포 재생을 도우며, 면역력을 향상시켜 준다. 비타민 E는 항상화제로써 면역력을 향상시켜 준다. 
  3. 간, 생선간유, 시금치, 당근과 같은 녹황색 채소와 녹즙으로 먹는다. 생채소(풋고추, 고춧잎, 피망, 케일, 양배추, 시금치, 토마토 등), 과일(키위, 오렌지, 딸기 등), 녹즙으로 먹는다.
  4. 소변이 안 나오면 수분 섭취량을 전날 소변량에 500ml 정도 더한 만큼으로 제한하여, 4시간마다 먹는다. 수분 섭취량에는 차, 우유, 국, 주스, 물, 얼음, 음료까지 포함된다. 식수나 조리용 물은 꼭 증류수를 쓰고 소변이 깨끗한 색이 될 때까지 9~12잔을 마신다. 식수 대용으로는 수박이나 배즙이 좋다.
  5. 소변이 안 나와 식품 중의 칼륨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는 채소나 과일의 껍질을 벗겨 물에 데치거나 끓인 후 물은 버리고 조리한다.
  6. 마그네슘이 많이 든 통보리, 현미, 통밀빵, 메밀, 콩, 바나나, 감자, 마늘 등을 많이 섭취한다.
  7. 김치, 절인 음식, 장아찌, 장류 등의 짠 음식과 햄, 소시지, 어묵, 화학조미료 등의 음식을 절대 피한다. 지방의 과잉 섭취와 자극적인 양념은 피하는 것이 좋다. 수산이 많이 들어있는 대황, 시금치, 배추, 무, 비트, 커피, 차, 땅콩 등을 가급적 피한다. 동물성 단백질을 피한다. 무기 광물질로 만든 칼슘제재를 복용하지 않는다. 온천수를 마시지 않는다. 소금 섭취를 줄이고, 소금은 꼭 천일염을 쓴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이식용어   (0) 2008.12.09
크론병  (0) 2008.11.27
BRAF 유전자 변이 검사를 통하여 갑상선 유두암의 조기 진단   (0) 2008.11.11
골수 이형성 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0) 2008.11.07
빈혈검사  (0) 2008.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