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장기이식용어

야국화 2008. 12. 9. 18:27
법률상 장기이식용어

뇌사자

장기등이식법률에 의거한 뇌사판정기준 및 뇌사판정절차에 따라 뇌 전체의 기능이 되살아날 수 없는 상태로 정지된 자

장기등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과 세포로 이루어진 신체의 부분을 말하며 사람 내장의 여러 기관 등으로서 신장(Kidney), 간장(Liver), 췌장(Pancreas), 심장(Heart), 폐(Lung), 골수(Bone marrow), 각막(Cornea)이 법률상 이식 가능한 장기이다.

 

장기등기증자

다른 사람의 장기 등의 기능회복을 위하여 대가없이 자신의 특정한 장기등을 제공하는 자.

장기등이식대기자

자신의 장기등의 기능회복을 위하여 대가없이 자신의 특정한 장기등을 이식 받기 위하여 장기이식등록기관에 등록한 자를 말하며 이하에서 이식대기자라 하겠다.

 

이식대상자

장기등을 이식받을 자를 말한다.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

장기등 이식에 관한 사항을 적정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국·공립의료기관 또는 보건복지부 소속기관중에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기관이다.

 

뇌사판정의료기관

장기등의 적출 이식을 위한 뇌사판정업무를 하는 의료기관을 말한다.

 

장기이식등록기관

장기등기증자, 장기등 기증희망자 및 장기등이식대기자의 등록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의료기관.

 

장기이식의료기관

장기등의 이식을 위하여 장기등을 적출 하거나 이를 이식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을 말한다.

 

장기적출의료기관

장기적출을 위한 일정한 자격을 갖춘 기관중에서 국립장기이식관리센타의 장에 의해 지정되며 뇌사기증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며 공여자의 신체검사, HLA typing 및 HLA cross-matching을 한다.
공여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KONOS 프로그램에 입력하고 보고하며 공여자 평가, 기증동의서, 뇌사판정, 질적인 장기구득 등에 대한 서면화된 기록을 보유한다.

일반적 용어정리

간경변(Liver cirrhosis)

이것은 건강하고 정상적인 간 조직이 제대로 기능할 수 없는 조직으로 변화되어지며 건강하고 제기능을 하는 세포들을 잃어버리게 되는 간질환이다.
부적절한 영양, 감염, 알콜남용에 의한 손상에 의해 유발되어질 수 있다.

 

간성(Hepatitic)

간장(liver)과 관련되거나 간장을 언급하는 것이다.

 

간염(Hepatitis)

간 실질세포가 파괴되어 간장에 염증세포의 침윤을 가져오는 그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중독성, 약물성, 알콜성, 알레르기성 간염등으로 나뉘어진다.

 

각막(Cornea)

안구의 전방 1/6을 차지하는 직경 약 1cm, 두께 약 1mm의 투명한 막으로 혈관 분포는 없지만 시각신경의 분포하고 있으며 앞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빛의 굴절기구이다.
따라서 각막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면 난시(亂視)가 유발된다.

 

간장(Liver)

쐬기형의 스폰지 덩어리로 구성된 나뭇잎 모양으로 인체에서 가장 큰 선이다.
소화를 돕는 담즙을 분비하고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대사를 돕는다.
그리고 비타민과 같은 물질을 저장한다.
또한 혈액으로부터 노폐물을 제거한다. 간장은 기증되거나 이식될 수 있는데, 살아있는 기증자도 그들의 간의 일부를 기증 할 수 있다.

 

거부 반응 (Rejection)

면역기관은 세균 등 외부에서 이물질이 침입하면 인체를 방어하게 된다.
이식 받은 장기도 예외일 수 없으며 이것을 외부 이물질로 오인하고 공격하여 파괴하려는 것을 거부반응이라고 한다.
신체가 항체를 형성함으로써 이식된 장기나 조직을 파괴하려고 할 때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하여 이식대상자는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한다.

 

감염(Infection)

박테리아와 같은 외부의 물질들이 인체에 들어왔을 때 백혈구나 임파구와 같은 면역체계가 외부의 물질에 대항해 싸우게 한다. 이식대상자들은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면역체계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등에 보다 쉽게 감염될 수 있다. 또한 요도감염, 감기 인플루엔자와 같은 감염질환으로부터 회복되기도 더 어렵다.

 

고혈압(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혈관의 신축성이 떨어지거나 작아졌기 때문에 혈관벽에 대해 혈액이 미는 힘이 정상보다 증가된 경우를 의미한다.
고혈압이 있을 경우 심장은 신체에 혈액을 운반해주기 위해 더 힘들게 펌프질해야 한다.
이 경우 치료하지 않으면 고혈압으로 인해 심장이 제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되며 심부전
(heart failure)에 이를 수도 있다.

 

골수(Bone marrow)

뼈 속에 존재하며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될 수 있는 많은 미성숙 조혈모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 조혈모세포에서 성숙 세포를 만들게 되고 골수를 떠나 혈액으로 들어가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골수 이식(BMT; Bone Marrow Transplantation)

이는 일부 혈액질환, 면역질환, 대사성 질환 및 악성종양 질환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효과적으로 이들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며, 골수이식의 형태로는 동종골수이식(Allogenic BMT), 이형골수이식(Syngeneic BMT), 자가 골수 이식(Autologous BMT)이 있다.

 

교차적합성검사(Crossmatch)

조직검사가 완성되고 잠재 장기등기증자가 확인되면 이식대기자(이하 수혜자) 사이에 특별한 면역반응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두 번째 검사가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crossmatch"이다.
교차적합성검사는 잠재 기증자의 백혈구의 매우 작은 일부분을 수혜자의 혈청의 소량과 혼합함으로써 응집반을 통해 형성되어진다.
백혈구가 그 표면에 인간 백혈구 항원(Human Leucocyte Antigen)을 가지고 있는 것을 생각해보면 위와 같은 조건이 모두 만족되어, 수혜자의 혈청이 기증자의 HLA에 노출됨으로써 응집반응의 유무를 알수 있게 된다.
만약에 수혜자가 기증자의 HLA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다면 이식장기의 세포가 파괴되어지는 데, 이것을 "양성반응" 이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양성반응은 수혜자가 기증자의 세포를 파괴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기이식에는 금기가 되어진다.
왜냐하면 이식되어진 신장을 포함한 장기들이 거의 대부분 파괴되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차적합성검사 결과가 음성이 나오기를 기대하게 된다.
'음성반응'이라는 것은 어떤 특정한 기증자의 HLA에 대항하는 항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과 장기이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환자는 임신이나 수혈, 혹은 장기이식을 받은 후에 항체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것으로 인해 이전에 일으키지 않았던 양성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게된다.
이러한 이유로 수혜자는 수혈 후 적어도 7~14일 뒤에는 세포조직검사를 위한 혈액채취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수혜자는 수혈을 받게 될 경우 이식과 관련 의료진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려야 하는데, 이것은 수혈 후 항체생성의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식 후에 항체 생성을 모니터하기 위해 수혜자는 이식 후 일년까지는 4번의 혈액채취를 하는 것이 좋다.

 

급성 거부 (Acute Rejection)

이식된 장기를 파괴하려는 인체의 반응으로 보통 이식 후 1년 안에 발생한다.

 

뇌사( Brain Death )

사람의 뇌에는 크게 대뇌, 소뇌 및 뇌간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각각 고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뇌사(brain death)란 뇌의 세 부분이 모두 회복될 수 없는 불가역적 병변을 일으킨 상태로 자기 호흡이 없고 인공호흡기에 의존해 기본적인 활력증후(vital sign)만을 유지하는 상태를 가르킨다.
이때 뇌사상태이기는 하나 심장정지가 온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심장, 간장, 신장등 체내 모든 장기는 정상기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 뇌사를 사망으로 인정하고 뇌사자에서 각 장기를 이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럴 경우 기증자의 장기는 "장기등이식에관법률"상 뇌사의 모든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법적인 뇌사판정과정을 거쳐 뇌사라고 선언되어진 기증자로부터 만이 적출 될 수 있다.

 

 

뇌사상태, 심장사 , 식물인간의 비교

 

뇌사 vs 심장사 (心臟死 ) vs 식물인간

뇌(Brain)는 대뇌, 소뇌, 뇌간으로 이루어졌으며 여러 가지 복잡한 기능을 하지만 아주 간단히 말하자면, 대뇌는 사람의 고차적 정신기능을 행하며, 소뇌는 운동기능을 담당하고 뇌간은 내장과 각기관의 작용을 관리하고 인간의 기본적인 생명유지 작용을하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수 있다.
심장(心臟,heart)이 멈추게되는 위급한 상황의 경우 여러 가지 의학적 처치 및 약물로써 심장기능이 정상으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노력하게 되는데, 이때 심정지(cardiac arrest)후 5분 이상이 경과되어 뇌 세포에 산소공급이 안되면 식물인간이나 뇌사상태가 되는 것이 보통이다.
한번 죽은 뇌세포는 다시 살아날 수 없으며 이런 경우 뇌의 일부 혹은 전부가 죽어버린 상태로 심
장만이 제 기능을 하게 되며, 이때 심장마저 멈추게 되면 신체의 다른 장기나 조직마저도 상당한 시간 폭으로 순차적(順次的)으로 죽게되어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사망(死亡)에 이르게 된다.
그렇다면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는 무엇일까?
앞에서 약간의 언급을 했듯이 식물인간은 기본적인 생명유지 작용을 하는 뇌간을 포함한 뇌의 일부분만이 세포가 파괴된 상태로 식물인간상태의 환자는 스스로 호흡하고 있으며 혈압도 본인이 조절할 수 있어 영양만 보급되어지면 살아갈 수 있으며, TV 드라마 속에서 일반인들이 흔히 접하는 의식이 없던 주인공이 상당한 기간 뒤에 깨어나는 것이 식물인간상태 환자의 경우에 해당되어진다반면에 뇌사상태는 인공호흡기와 같은 생명유지장치에 의존해 심장만이 그 기능을 유지하며, 심장사를 기계적 장치를 통해 막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게되면 결국 뇌사상태의 환자는 심장사로 이어져 사망하게 되는 것이다.

뇌사상태와 식물 인간상태의 비교

종류
식물인간상태
뇌사상태
손상부위
대뇌
뇌간을 포함한 뇌 전체
기능장애
기억, 사고, 운동감각(무의식상태)
심장 박동외의 모든기능정지
(심한 혼수 상태)
운동능력
손발을 조금은 움직일 수
있으나 옮겨 다닐 수는 없다.
어떠한 강한 자극에도 전혀
움직일 수 없다.
호흡
가능
불가능
소화, 순환
혈압조절
가능
불가능
예후
수개월 · 수년생존 → 사망 혹은 회복
사망
비고
장기기증이 불가능함.
장기기증이 가능함.
 

뇌파검사(EEG : Electroencephalogram)

뇌의 전기현상을 포착하여 뇌의 기능을 조사하는 것으로 두피를 통해 뇌의 파장이 기록지에 옮겨지는 것으로 어떠한 형태로든 파장이 있으며 뇌세포의 전체 혹은 일부분이 살아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대기자 명단(Waiting List)

이식대기자는 이식담당의사의 평가 후,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의 전국적인 이식대기자 명단에 등록된다. 이 이식대기자 명단은 지역과 장기에 따라 구분된다. 지역적인 구분으로는 1, 2, 3 권역으로 나뉘며 장기별로는 심장, 폐장, 신장, 간장, 췌장, 각막, 골수 등으로 나뉜다.

 

제1권역: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강원도 및 제주도
제2권역:대전광역시·광주광역시·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북도 및 전라남도
제3권역: 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북도 및 경상남도

 

대사성 (代謝性障碍) 또는 내분비성 장애 (內分泌性 障碍)

뇌세포 자체가 파괴된 것이 아니라 혈액이 성분 이상 상태, 예컨대 고혈당이나 전해질이상 등으로 되어 뇌세포 기능의 일시적인 문제를 초래하여 뇌사상태로 착각할 수도 있다.

 

동종이식 (同種移植; Allograft )

같은 종(種)간의 이식을 말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한 사람으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장기나 조직을 이식하는 것들을 말한다.

 

동종 골수이식(Allogenic BMT)

가족의 경우 형제 자매가 가장 이상적으로 형제 중 조직검사결과상 조직형이 맞는 경우는 25%라고 한다. 반면에 가족이 아닌 경우라도 조직검사 결과상 골수기증희망자와 골수이식대기자의 조직형이 모두 맞았을 경우 이식이 이루어진다.

 

만성 거부(Chronic rejection)

급성 거부반응과 달리 이식된 장기가 서서히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말한다.

 

면역반응(Immune response)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이식된 장기나 조직과 같은 외부의 이물질이나 유기체에 대한 신체의 방어반응을 말한다.

 

면역억제(Immunosuppression ;Immunosuppresser)

일반적으로 약물을 통해 면역반응을 인위적으로 억제하여 신체가 이식된 장기나 조직에 대해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식 후에 면역체계를 억제하기 위하여 보통 사용되는 약물은 Prednisolone, Azathioprine(Imuran), Cyclosporine, Orthoclone OKT3 등이다.

 

말초조혈모세포이식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

자가 골수 이식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그 적용 대상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말초 혈액은 백혈병 세포가 오염될 가능성이 적어서 자가골수이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또 혈액학 및 면역학적 회복도 다른 것에 비해 빠르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더 나은 조혈모세포분리와 배양기술의 발전을 필요로 한다.
암 치료에 있어서 화학요법에 듣는 암이라 하더라도 치료의 독성 때문에 고용량을 사용하지 못하였는데 조혈모세포이식술의 발전으로 고량요법(高量療法-기존의 화학요법 보다 5배 이상의 양을 투여하게 됨으로써 암세포를 효율적으로 퇴치시키는 것)에서 야기되는 심한 독성을 감소시키며 조기에 회복 및 퇴원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우수한 치료결과와 더불어 환자에게 오는 여러 고통(감염, 출혈)을 경감해줄 수 있다.

 

무호흡검사(Apnea test)

자발호흡이 소실된 후 자발호흡의 회복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임상검사로서 그 검사방법은 "장기등이식에 관한 법률"에 자세하게 나와 있다.

 

복수(Ascites)

일반적으로, 간질환(肝疾患)과 관련하여 복부에 체액이 축적되는 것을 말한다.

 

부작용(Side Effect)

약물에 대한 의도되지 않은 반응을 말한다.

 

사구체 여과율(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신장의 사구체에서 단위시간에 어느 만큼의 여과액이 만들어지는 가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한다.

 

사후기증자(Cadaveric donor)

장기기증 의사가 확인되어진 사망한 기증자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현행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상 사체이식의 경우 각막만이 해당되어진다.)

 

살아 있는 자(Living-Related Donor; LRD)

신장 1개나, 폐장, 간장, 췌장을 형제자매나, 부모와 자식과 같은 가족 구성원에게 기증하는 자를 말한다.

 

살아있는 비혈연 기증자(Living-Unrelated Donor)

부부관계와 같이 혈연이 아니면서 신장1개, 간장이나 폐장의 일부분 또는 췌장을 다른 사람에게 기증하는 사람을 말한다.

 

생검(Biopsy)

신체에서 미세한 조직을 떼어내어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것을 말하며, 이식된 장기의 거부반응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시행한다.

 

생존율(Survival Rates )

생존율은 이식수술 후 어떤 시점에서 아직 살아 있거나 이식된 장기가 여전히 기능하고 있는가에 대한 퍼센트를 의미한다. 생존율은 보통 1년, 3년, 5년 단위로 계산된다.

이식 생존율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을 조사하지 않고는 결코 정책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생존율은 기술적·과학적 진보와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이식에 있어 이러한 진보들에 대해 반응하고 또, 이를 반영하는 정책을 발전시키는 것은 생존율을 증가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성(gender)

개개인의 특별한 성(性)을 말하며, 보통은 남성 혹은 여성을 일컫는다.

 

쇼크(Shock)상태

심한 출혈, 충격, 손상, 중독, 과민반응(allergy)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잠시 의식을 잃은 것을 말한다. 세포학적인 면에 조직대사요구에 있어서 세포대사에 필요한 혈액과 산소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말하기도 한다.

 

수축기의(Systolic)

혈압계로 혈압을 측정했을 때 더높은 수치로 예를 들어 120/80mmHg의 혈압에서 120을 의미한다.
수축기압은 혈액이 심장으로부터 온몸으로 펌프 될 때에 심장근육의 수축력이며, 혈압은 심장근육의 수축력과 혈관계의 문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가 된다.

 

식물상태(Vegetative state)

혼수로부터 약간 호전된 상태, 자발적으로 눈을 뜨고 각성과 수명의 주기가 나타나며 심장, 호흡 및 위장관 운동 등은 자율적으로 유지되지만,(식물성 운동), 사지나 몸통 혹은 안면의 운동능력이나 인지능력 등은 소실되어 있는 상태이다.

 

신장(Kidney)

소변의 생성을 통해 인체에서 노폐물을 제거해주는 한 쌍의 장기이다.
신체이 모든 혈액은 매 시간 약 20번씩 신장을 통과한다.
신장은 생체나 사후 기증자로부터 기증 받을 수 있고, 이식될 수 있다.
신장(콩팥)은 길이가 10cm 정도로 어른 주먹만하며 양쪽 옆구리에 1개씩 2개가 있습니다.신장은 음식물이 대사 되는 과정에서 생긴 노폐물들을 소변을 통해 배설시키고, 체내의 수분 및 전해질(나트륨, 칼륨 등 전기를 띠는 입자)의 양을 조절하며, 또한 조혈 호르몬이나 비타민 D 같은 물질을 생산하는 등 중요한 일을 한다.

 

심장(Heart)

사람의 심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근육성의 주머니로 율동적인 수축과 이완을 되풀이함으로써 혈액을 혈관 내로 밀어내어 혈액순환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된다. 이러한 혈액순환을 통해 인체 내 세포에 영양과 산소를 제공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함으로 각각의 장기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기관이다.

 

약물중독

약물, 특히 중추신경억제제나 마취약을 다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러 임상현장에서는 중증의 뇌 손상 환자에 대한 치료목적으로 신경세포의 대사를 억제하고 장애를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런 경우 뇌 기능이 약물에 의해 일시적으로 억제되어 뇌사와 임상적으로 동일한 상태를 보이지만, 약물의 영향이 없어지면 뇌 기능의 회복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치료 가능한 약물중독일 경우는 뇌사판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염증반응(Inflamation)

물리적(외상, 화상), 화학적(산, 알칼리, 부식성 약제) 또는 생물학적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 인자가 인체에 작용하면 인체는 그것에 대해서 방어적 반응을 일으킨다. 이 방어반응을 염증반응이라한다.
종창(swelling), 발적(redness), 통증(pain), 열감(heat)의 4증후를 보이게 된다.

 

응급도(Status)

이식대기자들을 의학적으로 볼 때, 이식이 얼마나 응급한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응급한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심장과 폐장의 경우 status 1, 2, 7이고 간장의 경우 status 1 재이식, status 2, 2A, 2B, 3, 7 이다 이는 "장기 등이식에관한법률"상의 등록의료기관의 전문의들이 의학적 사정을 바탕으로 시행령 제 18조 1항 관련된 "이식대상자 선정 기준" 별표2 의 조건을 만족하는 정도에 따라 나눠질 수 있다.

 

이완기의(Diastolic)

혈압계로 혈압을 측정했을 때 낮은 수치로 예를 들어 120/80mmHg의 혈압에서 80을 의미한다.
이완기압은 휴식 시 심장으로 귀환하는 혈액을 받아들이는 심장근육의 수축력을 측정한 것이다.

 

이종이식( Xenograft)

이종간의 이식(예 : 개코 원숭이의 심장을 사람에 이식), 사람에서 말기 질병으로 장기이식의 수요가 늘고 있으나 그 수요 공급이 맞지 않아 동물에서 장기를 얻어 이식해 보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근래 아주 강력한 면역억제제와 억제 수단이 개발되어 이전에 실패한 이종이식이 다시 연구대상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상으로 인정되어지지는 않고 있다.

 

이형 골수이식(Syngeneic BMT)

극히 제한적인 형태로 유전적으로 일치하는 쌍둥이 형제에게만 가능하다.

 

자가이식 (Autograft ; Autografting=Autotransplantation )

동일 개체 내에서의 조직이나 장기의 이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신의 피부를 떼어내 자신의 다른 부분에 이식하는 경우 )

 

자가 골수이식(Autoglogous BMT)

골수 이식의 한 형태로서, 환자 자신의 혈액에 약물치료를 통해 완전 정상상태가 된 골수를 채취하여 냉동 보관하였다가 다량의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 후 자신의 골수를 다시 주입하여 냉동 보관 하였다가 다량의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 후 자신의 골수를 다시 주입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자발호흡(Spontaneous respiration)

인공호흡기에 의한 기계호흡이 아닌 건강한 성인의 경우 보통 1분간 16회의 호흡을 하는 것처럼 자발적으로 행하는 호흡을 말한다.

 

인공호흡기(Ventilator)

환자가 스스로 숨쉴 수 없을 때 환자로 하여금 숨을 쉬게 해주는 기계이다.

 

장기기증(Organ donation)

장기기증이란 뇌사상태인 환자나 살아있는 자가 장기가 필요한 이식대기자에게 가족들의 동의나 본인의 서면동의 혹은 민법의 유언 규정에 의한 유언에 따라 장기를 기증하는 것이며 사망한 환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나 사후기증에는 각막만이 장기기증이 가능하다.

 

장기구득(Organ procurement )

이식을 위한 장기의 관리 및 이송을 말한다.

 

장기구득 코디네이터 (Organ Procurement Coordinator)

장기구득과 관련하여 장기 공여자의 선정 및 관리업무에 참여하며 이식대상자 선정기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전문간호사를 말한다.

 

장기배분(Allocation)

이식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에게 장기가 공평하게 이식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장기 보존(Organ preservation )

공여 된 장기는 장기 구득에서 이식까지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특별한 보존 방법을 필요로 한다
보존되지 않는 장기는 기능이 떨어지게 될 것이다. 장기와 조직이 인체와 다른 외부환경에서 유지될 수 있는 정도는 장기의 보존 용액과 온도에 달여있다.

 

장기보존시간(Organ Preservation Time)

공여장기 보존의 목표는 일정기간 세포가 살아 있어 장기의기능을 유지하게 하고 최종수혜자를 선정하여 이식수술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심장 : 4-6시간
간장 : 12-24시간
신장 : 48-72시간
심장, 폐 : 4-6시간
폐 : 4-6시간
췌장 : 12-24시간

 

재이식(Retransplantation)

장기이식 후 거부반응이나 이식실패로 인해 어떤 환자들은 다시 이식대기자 명단에 올라 새로운 장기를 기증 받아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장기이식에 있어 장기를 기증하는 공급보다 장기를 이식 받고자 하는 수요가 많기 때문에 공급을 최대화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재 이식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주된 관심이 되고 있다.

 

적출(Harvest)

이식을 위해 장기등기증자에게서 장기를 외과적 수술을 통해 떼어내는 것을 말한다.

 

전격성의(Fulminant)

매우 빠르게 발생하는 것. 예를 들어 전격성 간염(fulminant hepatitis)은 주로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발병후 간성혼수(hepatic coma)에 빠져 대개 2주이내에 사망하게 된다.

 

제뇌강직 (除腦强直) · 제피질강직 (除皮質强直)

뇌와 척수의 연락이 차단되어진 때 보이는 자세로 전자는 사지(四肢)가 신전 되어진 자세이고 후자는 상지(上肢)는 굴곡하고 하지(下肢)는 신장시킨 자세를 말한다. 이는 환자에게서 아직 뇌의 기능이 남아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뇌사판정에서 제외되어져야 한다.

 

조직 검사(Tissue Typing)

백혈구 표면에는 개개인마다 각기 다른 몇 개의 유전적 표지자를 가지고 있다.
유전적 표지자들의 특수한 한 그룹을 HLA 또는 Human Leukocyte Antigens라고 부른다.
(Leukocyte는 백혈구를 말하며, antigen은 유전적 표지자를 일컫는다.)
조직검사(Tissue Typing)란 한 개인의 HLA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의 명칭이다.
HLA 정보는 수혜자가 기증자의 장기를 받기 전에 중요하게 인식된다.
모든 사람은 부모로부터 이러한 HLA를 유전받기 때문에, 아버지로부터 유전된 HLA 유형과 어머니로부터 유전된 유형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양쪽 부모 모두 조직검사를 받는다면). 예를 들어 HLA가 1, 8, 10과 2, 7, 11이라면 각각의 숫자는 분리되어 유전된 항원을 나타내며 항원은 각 부모로부터 그룹으로 유전된다.
각 항원들의 세트를 단일형(haplotype)이라고 부르며 각 부모로부터 하나의 haplotype를 유전받게 된다.
아래에서 유전된 HLA를 소유하게 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그림을 계도라고 부른다. 계도는 유전형질을 검사하는데 사용되는 도형이다.
각각의 부모가 어떤 2개의 HLA 세트를 가지고 있으며, 자녀들에게 어떤 한 세트를 주었는지 자세히 볼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다른 가까운 가족들의 경우를 살펴보면:

 

당신과 HLA가 똑같은 사람은 1명이다. 이것은 같은 HLA를 가진 형제가 한 명 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종종 같은 쌍(identical match)라고 부른다.
두 명의 다른 형제들은 당신의 HLA 의 1/2을 공유하고 있다.
이것을 one-haplotype match"라고 부른다.
마지막으로 한 명의 형제는 당신과 어떤 HLA도 공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two-haplotype mismatch"라고 부른다.
이 가족은 이들 부모들로부터 유전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HLA조합을 보여준다.
조부모님이나, 삼촌, 이모나 고모, 사촌들이 one-haplotype match 일 가능성은 있다.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보통 사람들은 각기 다른 많은 다양한 HLA가 있다.
그중에 드물게 당신과 혈연관계가 아닌 어떤 사람과 HLA를 공유할 수도 있다.

장온도 (直腸溫度)

항문으로부터 직장내로 체온계를 삽입하여 체온을 계측하여 얻은 온도로 대략 37~37.5℃이며 주로 유아의 체온측정이나 구강 혹은 겨드랑이에서 체온측정이 부적합한 경우에 사용한다.

 

출혈(Hemorrhage)

많은 양의 혈액을 빠르게 상실하는 것을 말한다.

 

췌장(Pancreas)

위장(stomach)의 아래쪽에 놓여서 위장의 아래쪽 하부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소화를 돕는 췌장액을 분비한다.
만약 췌장이 기능을 상실하면 당뇨병에 걸리거나 인슐린을 주입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평탄뇌파

뇌파상에서 뇌의 전기적 활동이 없는 것으로 임상적으로 뇌사의 상태임을 의미한다.

 

폐장(Lung)

폐장은 흉곽 내 근육의 협동작용으로 압력 차를 만들어 공기를 폐 속으로 흡인하는 흡식과 폐 속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호식의 외 호흡운동과 폐를 통해 산소를 많이 함유하게 된 혈액이 신체의 각 조직에 도달해 조직세포에 산소를 제공하거나 조직 내 영양물질의 산화를 통해 생성된 탄산가스를 외호흡을 통해 몸밖으로 배출하는 혈액과 조직세포 사이에서 가스교환(내호흡)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항체 선별 검사(Antibody Screening)

만약 이식대상자(이하 수혜자)가 다른 HLA에 따른 항체를 가지고 있다면 이것을 나타낼 수 있는 검사 과정이 있다.
여러 가지의 HLA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 검사를 "antibody screening"이라고 한다.
이 검사는 수혜자의 매우 적은 량의 혈청을 다른 60여명의 동일 량의 혈청과 혼합해서 각기 개별적으로 시행되어진다. 이것들의 세포 표면에 HLA가 있다는 것을 상기해보면, 수혜자가 그들의 혈액 속에 얼마나 다른 HLA 항체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과정들은 적절한 기증자를 선정함에 있어 그러한 항체들을 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만약에 수혜자가 다른 어떤 항체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검사결과는 음성이 나올 것이다.
"antibody screening"과정을 통해 또한, 환자가 가지고 있는 HLA 항체의 양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60명의 세포들 중에 30개와 반응을 하는 경우 그 환자는 '50%항체를 가지고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항체의 백분율 표시를 'PRA(Percent Reactive Antibody)'라고 한다.
그래서 "antibody screening"은 두가지 매우 중요한 수혜자의 혈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1. The PRA(얼마만큼의 항체가 존재하는지)
  2. The Specifity(어떤 특정한 HLA 항체가 존재하는지)

HLA 항체는 여러 요인에 의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antibody screening"이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매달마다 수혜자에게 혈액검사를 위한 채혈을 시행하게 된다. 물론 매달마다의 "antibody screening"으로 시시각각 변하는 항체변화를 알 수는 없지만 각기
다른 장기 기증자에 대한 교차적합성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형화된 혈액채취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한 달의 검사결과는 가장 최근에 혈액채취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항상 장기 이식 전에 교차적합성 검사가 시행되어지는 것을 포함해야한다.
현재의 장기이식에 있어 세포조직검사와 교차적합성검사 그리고 "antibody screening" 으로부터의 정보의 통합은 수혜자와 잠재 기증자 사이의 적합성을 미리 알아보는데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어지고 있다.

 

항원(Antigen-Ag)

이식과 같이, 인체 내에 들어와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외부 분자나 물질을 말한다.
이 반응은 항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항체(Antibody-Ab)

예를 들어 이전의 이식이나 수혈 임신과 같은 외부물질에 대한 면역반응에 의해 생성된 물질로 항체가 이식된 장기를 공격하기 때문에 이식받은 환자는 강력한 면역억제 약물을 사용해야 한다.

 

혈관(blood vessels)

혈액이 흐르는 정맥, 동맥, 모세혈관을 말하며, 혈관도 기증되고 이식될 수 있다.

 

혈액투석(Hemodialysis)

신부전(renal failure) 치료의 하나로 신장이 제 기능을 상실하여 혈액 투석기계를 통해 인공적으로 환자 혈액의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보통 1회에 3-4시간 걸리고, 1주일에 3회 정도 실시해야지만 살아갈 수 있다.

 

혼수상태(Coma)

인간의 의식상태는 각성도(Arousal degree)와 인지도(Awareness degree)의 두 가지 관점에서 측정될 수 있다. 각성도가 높은 순서대로 보면 각성(Alert), 졸림(Drowsy), 혼미(Stupor) 및 혼수(Coma)상태이며 정상인의 의식상태를 각성상태라고 보며, 뇌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자발적인 감각기능이나 사지 및 호흡운동이 소실되고 주변의 자극에 대한 반응조차 전혀 없는 경우를 대개의 사람들은 '의식이 소실된 상태' 라고 말한다.

 

참고문헌 및 관련 사이트

김용순 편저(1997)/장기이식-원리와 실제-/현문사

대한간호학협회 편(1998)/간호학대사전/한국사전연구사

unos site-http://www.unos.org

주호노 저(2000)/장기등이식에 관한 법률/육법사

노민희 외 3인(1997)/인체해부학/도서출판 정담

최현 (1996)/인체생리학/ 숙문사

다찌바나 다카시 저(1996)/신정식 번역/도서출판 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