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손목통증

야국화 2008. 10. 27. 17:32

 

 

손목통증 클리닉이란 손목관절 주위에 여러 원인으로 발생하는 통증을 전문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클리닉으로,비 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 및 상처와 회복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손목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을 전문으로 합니다.

손목통증의 원인
건초염, 류마티스 관절염
양성 종양 (물혹, 거대세포종 등)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파열 및 척측충돌 증후군
손목 골절(원위 요골 골절)
주상골 골절
손목관절 인대손상 및 탈구
손 저림증(수근관 증후군, 척골신경 압박)
손목뼈 (월상골)의 무혈성 괴사(키엔벡 병)

건초염
손목 주위 인대나 힘줄의 과도한 사용 (테니스, 골프, 반복작업 종사자, 아기를 돌보는 어머니 등) 또는 당뇨, 임신, 갑상선 질환 등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염증성 질환으로 약물요법, 주사요법, 수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손목의 종양
손목 주위에 종괴가 만져질 때는 대부분 손목관절 안이나 주위 힘줄막에서 생기는 물혹(그림)이 가장 흔합니다. 그 외에 거대세포종 등 양성 종양이 대부분 이며 최소 절개를 통한 제거술로 완치가 가능합니다.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파열
손목의 안쪽 (새끼 손가락쪽) 통증의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손에서 팔로 전해지는 힘의 완충작용을 하는 삼각섬유연골 복합체의 파열입니다. 손을 땅바닥에 짚으면서 넘어지거나 손목이 갑자기 꺾이는 경우, 또는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작업자 등에 흔히 나타나며 비 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손목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로 통증을 경감 시킬 수 있습니다.

척측충돌 증후군: 팔의 두 뼈(요골과 척골)중 척골이 요골보다 상대적으로 길어서 손목 운동 시 척골과 수근골의 과도한 충돌에 의해 통증이 생기고, 그 사이에 있는 삼각섬유연골 복합체의 천공이 일어나는 경우 입니다. 이 경우 관절경을 이용한 척골 단축술을 시행하거나 관절 밖에서 척골의 길이를 줄이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손목골절
원위 요골 골절은 가장 흔한 골절 중의 하나이고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경미한 외상에 의해서도 잘 부러지는 골절입니다. 과거에는 도수정복 및 석고부목 고정으로 주로 치료하였지만 최근에는 수술 기법의 발달과 내고정 장치의 발달로 보다 정확한 관절면의 해부학적 정복을 시행함으로써 빠른 기능 회복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저희 클리닉에서는 관절경을(그림) 비롯한 다양한 최신 수술 방법을 사용하여 정확한 골절정복을 시도하고 있으며 최대한 골절 전의 상태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주상골 골절
손목의 8개 수근골 중의 하나인 주상골의 골절은 초기 진단이 어렵고, 해부학적 특성상 골절의 불유합이나, 무혈성 괴사가 흔한 골절입니다.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문 클리닉에서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 져야 하며 불유합의 경우 골이식과 더불어 견고한 고정이 필수적입니다. 손목통증 클리닉에서는 초기 주상골 골절의 경우 피부절개 없이 가이드 핀을 통한 압박 나사고정(그림)으로 조기 재활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주상골 일부의 무혈성 괴사를 동반한 불유합의 경우 주상골을 절제하는 대신 미세 현미경을 이용한 혈관부착 생골 이식술을 시행함으로써 괴사된 주상골을 재생시키는 최신 수술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손목관절 인대 손상 및 탈구
손목관절은 여러 개의 수근골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이기 때문에 골절이 없다고 하더라도 수근골 사이의 인대 손상이나 탈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상 시 인대의 염좌라고만 진단되어 치료의 시기를 놓치면 만성적인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며, 관절경을 이용한 파열 인대의 수술과 더불어 탈구의 경우 정확한 정복 및 고정을 통해 후유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관절경을 이용한 손저림증 수술
손목에서 정중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손저림증(수근관 증후군)은 심할 경우 감각 소실 및 수부 내재근의 위축을 동반한 기능 소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손목통증 클리닉에서는 손바닥 피부를 절개하는 방법 대신 손목 관절경을 이용한 최소 절개를 통하여 횡수근 인대를 절제(그림)하는 최소침습수술 기법을 사용하여 환자의 빠른 회복과 사회생활로의 복귀를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월상골의 무혈성 괴사
손목관절 수근골 중의 하나인 월상골의 혈액순환 장해로 뼈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으로 키엔벡 병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월상골 괴사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단계적인 수술이 진행되지만 초기 및 중기에는 미세수술을 이용한 혈관부착 생골 이식술(그림)로 괴사된 골을 재생 시키는 수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혈검사  (0) 2008.11.07
베크위트-비드만 증후군  (0) 2008.11.03
루푸스  (0) 2008.10.20
만성신질환의 원인 및 단계,치료  (0) 2008.10.16
신장 검사에 대해 알아 보자잉~  (0) 2008.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