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Polybone(bone cement)

야국화 2009. 2. 9. 11:01

PolyBone (뼈 시멘트)


 
      
 분류  전문의약품 - 의료기기
 전문과   외과
 주요성분  Polyphosphate, 제3 인산칼슘
 보험코드  
 보험약가  
 
특장점
1. 생체활성,생체적합성이 우수한 골이식재
2. FDA 승인된 골형성 촉진인자함유 골대체제
효능효과
PolyBone은 정형외과,신경외과,구강외과 및 성형외과 분야의 다양한 적응증에 있어 골형성을 촉진하는 골 대체재입니다. PolyBone은 골 구조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골 결손부를 충진하는 골충전용, 척추 골의 응착을 위한 골 유도, 임플란트 케이지의 충전재로 사용됩니다. PolyBone은 두개안면골격의 골윤곽 확대술이나 복원술 뿐만 아니라 외과 시술 시에 형성되는 골 결손, 외상으로 인한 골 결손의 치료에 적합합니다. 골 결손 부위의 시술 후 치유 과정에 있어, PolyBone은 점진적으로 흡수되어 골화됩니다.
용법용량
*PolyBone Cement
1.멸균된 파우더와 용액을 무균 상태로 멸균 수술장소로 이동합니다.
2.제공된 스틱을 이용하여 파우더를 균일하게 섞습니다.
3.용액을 붓습니다.
4.모든 용액이 파우더에 고루 섞이는지 확인하면서 용액과 파우더를 둥글게 저어서 30~40초이내에 신속하게 혼합합니다.
5.4cm2보다 큰 결손부위에는 필요에 따라 임플란트가 필요합니다.제공된 스틱이나 손을 이용하여 PolyBone 혼합물을 결손부에 적용하십시오. 혼합물이 전체 결손부에 고루 적용되도록 완만하게 윤곽을 만들어 줍니다. 필요한 혼합물의 적정량은 개별 환자의 경우에 따라 시술의사의 임상소견에 따라 결정됩니다. 혼합된 반죽이 굳기 시작하면, 조작을 멈추고 완전히 굳을때까지 기다리십시오. 표준 실내온도에서 5분 이내에 굳게 됩니다. 응결시간동안 시술부위를 조작하지 마시고, 응결이 완료되면 시술부위를 봉합합니다. 결손부위가 4cm2 또는 그 이상인 경우에는 상처분비액이 과도하게 누적되지 않도록 suction drain을 사용하십시오

*PolyBone Block,Granule
1.시술의사의 선호도나 수술요건에 따라 블록과 그래뉼의 선택적 사용으로 수술상의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블록 또는 그래뉼을 시술에 적합한 모양으로 만듭니다.
2.모양을 다듬은 블록이나 그래뉼을 불규칙한 모양의 결손부에 사용합니다.골격보전을 위해 PolyBone을 채워 넣습니다. 최상의 결과를 위하여 PolyBone이 생존골에 초대한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합니다. 사지말단부,척추,골반 등의 골격 시스템의 골 결손부에 적용합니다. 필요하다면, 임플란트에 가해질 수 있는 하중을 예방하기 위한 고정기구를 사용합니다.
저장방법 및 사용(유효)기간
사용상의 주의사항

골충전재는 시술 중 또는 시술 후에 다음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단,모든 골충전재가 다음 증상들과 반드시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아닙니다) 시술 의사는 이러한 부작용에 대해 숙지하고, 해당증상 발생시 적절한 치료를 위한 준비를 하여야 합니다.
-조직이상반응
-일시적 고칼슘혈증
-미립형태의 골충전재 파손
-신생골의 골절
-골 대체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불완전한 골형성 또는 골형성 부족
-Device의 이동,이탈
-통증,이탈 또는 전위

 

PolyBone (뼈 시멘트)


Features: 특징 :
- Bone regenerating Bone substitute made of Calcium Phosphate and Polyphosphate. - 인산 칼슘과 Polyphosphate의 뼈 재생 뼈로 대체했다.

Applied Fields: 적용 분야 :
- Rhytidoplasty, Spine Plasty, Bone Fracture Surgery, Osteoporosis, Artificial Joints (Hip Joint, Knee Joint, Shoulder Joint), Dental Surgery - Rhytidoplasty, 척추 Plasty, 뼈 골절 외과, 골다공증, 인공 관절 (고관절, 무릎 관절, 어깨 합동), 치과 수술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성흑색종  (0) 2009.04.28
후두암  (0) 2009.02.13
고혈압ㆍ당뇨병ㆍ고지혈증의 기준  (0) 2009.01.19
B형간염바이러스  (0) 2009.01.19
골다공증  (0) 2009.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