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B형간염 바이러스는 Hepadnarviride과에 속하는 세포변성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간 친화성 DNA 바이러스입니다. 바이러스 외피는 B형간염 표면항원(HBsAg)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심에는 HBV, HBcAg, HBeAg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 B형간염 표면항원(HBsAg)은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 초기에 출현하며 급성 또는 만성 B형간염 바이러스의 지표가 됩니다. HBsAg은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출현하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최고치에 달하다가 3-6개월 후에 검출 할 수 없는 농도로 감소합니다.
HBeAg은 HBV-DNA 및 DNA polymerase와 더불어 증상이 나타나기 전 B형간염 표면항원(HBsAg)이 검출될 때 더불어 혈청에 출현하며 이 표지자들은 활동성 바이러스의 증식지표가 됩니다.
- HBeAg은 급성 유병기에 최고치에 달하였다가 혈청에서 B형간염 표면항원(HBsAg)이 정화되기 전에 소실되나 HBeAg이 혈중에 지속되면 활동성 바이러스의 증식, 감염성의 지속, 만성감염의 진행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Anti-HBe는 HBeAg이 소실된 후 검출되며 이러한 혈청 전환은 급성감염이 최고에 달하였다가 회복기로 들어간 것을 의미합니다.
|
|
 |
 |
[B형간염 바이러스의 구조]
|
[B형간염 바이러스의 전자현미경 사진] |
 |
[HBV DNA의 구조와 그 생산항원 및 단백] |
| |
 |
전파경로 |
|
|
B형간염은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염됩니다. |
|
- 직접적으로 혈액과 혈액의 접촉(예: 수혈) |
|
- 오염된 주사기 사용, 침습적인 검사나 시술 |
|
- B형간염 산모로부터 신생아에게 수직감염 |
|
- 성적접촉 |
|
- 비위생적인 날카로운 기구에 의한 시술 |
|
(문신기구, 귀걸이, 피어싱) |
|
|
|
B형간염은 일상적인 활동(재채기, 기침, 껴안기, |
|
음식 나눠먹기, 모유수유 등)으로 전염되지 않습 |
|
니다.그러나 일부 사람에게서는 감염의 위험이 |
|
다른사람에 비해 높습니다. |
| |
 |
|
 |
B형간염 증상 |
|
간염은 “침묵의 질환”으로 불리울 만큼 자각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건강한 성인이 감염되었을 때 사람마다 다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B형간염에 감염되었을 때 69%가 증상이 없을 수 있으며, 약 30%는 초기 감기 증상같이 가벼운 증상을 경험하고 대부분은 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무시하게 됩니다. 감염된 사람의 약 1%는 간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의학적 조치를 필요로 합니다.
※ B형간염의 일반적인 증상 |
- 피로, 발열, 근육통이나 관절통
- 식욕상실
- 메스꺼움 및 구토
- 황달(눈 흰자위, 피부가 노랗게 변함)
- 헛배 부름(오른쪽 상복부의 불편감 동반)
|
B형간염에 감염되었는지 확실치 않으나 불편감을 느낄 때는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