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1차 중증(암)질환심의위원회 심의결과 공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은 2025년 제1차 암질환심의
위원회(2.12.)에서 심의한 ‘암환자에게 사용되는 약제에 대한
급여기준 심의결과’를 다음과 같이 공개한다.
○ 신약(요양급여 결정신청) 및 급여기준 확대
구분 | 품 목 | 제약사 | 효능․효과 | 심의 결과 |
요양 급여 결정 신청 |
파드셉주 (엔포투 맙베도틴) |
한국 아스 텔라스 제약(주) |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성인 환자의 1차 치료로서 펨브롤리주맙과의 병용요법 |
급여 기준 미 설정 |
엘렉스 피오주 (엘라나 타맙) |
한국 화이자 제약(주) |
프로테아좀억제제, 면역조절제제, 항-CD38 단클론항체를 포함하여 3차 이상의 치료를 받은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골수종 성인 환자에 대한 단독요법 |
급여 기준 미 설정 |
|
빌로이주 (졸베툭 시맙) |
한국 아스 텔라스 제약(주) |
CLDN18.2(Claudin 18.2) 양성,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protein) 음성의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인 위선암 또는 위식도 접합부 선암 환자에 대한 1차 치료로서 플루오로피리미딘계 및 백금 기반 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 |
급여 기준 미 설정 |
|
급여 기준 확대 |
셈블 릭스정 (애시미 닙염산염) |
한국 노바 티스 (주) |
이전에 2가지 이상의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로 치료를 받은 만성기의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만성 골수성 백혈병(Ph+ CML) 성인 환자의 치료 |
급여 기준 설정 |
메토트렉 세이트주 (메토트렉 세이트) |
한국 화이자 제약(주) 등 |
비호지킨림프종 | 급여 기준 설정 (안구 내 림프 종) |
|
키트 루다주 (펨브롤 리주맙) |
한국 엠에스 디(유) |
PD-L1 발현 양성(CPS≥1)으로서, 수술이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HER2 양성 위 또는 위식도접합부 선암 환자에서의 1차 치료로서 트라스투주맙과 플루오로피리미딘 및 백금 화학요법과의 병용 요법 |
급여 기준 설정 |
|
수술이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HER2 음성 위 또는 위식도접합부 선암 환자에서의 1차 치료로서 플루오로피리미딘 및 백금 기반 화학요법과의 병용 요법 |
급여 기준 설정 (CPS ≥10) |
|||
PD-L1 발현 양성(CPS≥10)으로서, 수술이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식도암 환자에서의 1차 치료로서 백금 및 플루오로 피리미딘 기반 화학요법과의 병용 요법 |
급여 기준 설정 |
|||
이전의 전신 요법 이후 진행이 확인되고 수술적 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가 부적합한, 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SI-H, microsatellite instability high) 또는 불일치 복구 결함(dMMR, mismatch repair deficient)이 없는 진행성 자궁내막암 치료로서 렌바티닙과의 병용 요법 |
급여 기준 설정 |
|||
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MSI-H) 또는 불일치 복구 결함(dMMR)을 나타내며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직결장암 환자의 치료 |
급여 기준 설정 |
|||
전이성 또는 수술이 불가능한 재발성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환자에서의 1차 치료로서 ⦁ PD-L1 발현 양성(Combined Positive Score (CPS)≥1)인 환자에서의 단독 요법 ⦁ 백금 및 플루오로우라실(5-FU) 화학요법과의 병용 요법 |
급여 기준 설정 |
|||
PD-L1 발현 양성(CPS≥1)이며 지속성, 재발성 또는 전이성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로서 베바시주맙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 요법 |
급여 기준 설정 |
|||
PD-L1 발현 양성(CPS≥10)이며, 수술이 불가능한 국소 재발성 또는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치료로서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 요법 |
급여 기준 설정 |
|||
이전의 치료를 받은 후 진행하였고 만족스러운 대체 치료 옵션이 없는, 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MSI-H) 또는 불일치 복구 결함(dMMR)을 나타내며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자궁내막암 환자의 치료 |
급여 기준 설정 |
|||
이전의 치료를 받은 후 진행하였고 만족스러운 대체 치료 옵션이 없는, 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MSI-H) 또는 불일치 복구 결함(dMMR)을 나타내며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소장암 환자의 치료 |
급여 기준 설정 |
|||
이전의 치료를 받은 후 진행하였고 만족스러운 대체 치료 옵션이 없는, 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MSI-H) 또는 불일치 복구 결함(dMMR)을 나타내며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담도암 환자의 치료 |
급여 기준 설정 |
※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5조 및 제5조의2”에 의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은 중증질환자에게 처방‧투여하는 약제 중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약제에 대하여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을 중증질환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공고할 수 있음. 해당 약제의 급여기준은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의 효능‧효과 범위 내에서 임상문헌, 국내 및 외국 가이드라인, 전문가 의견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후속절차 진행과정에서 급여여부 및 급여기준이 변경될 수 있음. |
담당 부서 | 약제관리실 | 책임자 | 부 장 | 강미영 | (033-739-1333) |
약제기준부 | 담당자 | 팀 장 | 이명현 | (033-739-1321) |
'식약청.의약 안전성,허가사항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제2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심의결과 공개 (0) | 2025.02.12 |
---|---|
허가초과 약제 비급여 사용 불승인 사례/약제기준부/2025-01-20 (0) | 2025.01.21 |
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 사용기록 반기별 제출 안내20241218 (1) | 2024.12.19 |
2024년 제12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심의결과 공개20241205 (3) | 2024.12.06 |
위고비 허가사항 (7) | 2024.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