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병

II. 주요 질환별 분류 지침 2016.5

야국화 2020. 3. 17. 17:30

II. 주요 질환별 분류 지침
II-A.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1)
일반 원칙
이 장 제목의 ‘특정’은 전체 감염성 또는 기생충성 질환의 일부가 이장에 분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KCD의 다른 장에도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이 분류되어 있다.
II-A-1. 결핵
결핵이란 결핵균 복합체(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와 기타결핵균의 마이코박테리아(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 MOTT)에 의한 감염을 말한다. 결핵균복합체에는 결핵균(M. tuberculosis), 우형결핵균(M. bovis), 아프리카결핵균(M. africanum) 세 종류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결핵균(M. tuberculosis)에 의한 감염이 일어난다.
폐결핵 중 일부는 조직액화(liquefaction)로 인해 공동(cavity)이 형성될 수 있다.
공동(cavity)이 형성된 결핵환자는 기관지를 통한 전파감염력이 높기 때문에 타인 뿐 아니라 본인에게도 새로운 병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항결핵제의 통과가 어렵고, 대량 출혈 또는 진균종(fungal ball)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세균이 공동(cavity)내부에서 농양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결핵 분류는 기본적으로 침범 부위와 진단 방법에 따라 분류한다.
폐결핵을 확진하는 기본 진단법은 다음과 같다:
• 가래검사
• 도말검사(항산성 간균염색 acid-fast bacillus stain -AFB): 현미경
• 배양검사
• 흉부 방사선검사: 단순흉부촬영, CT
• 조직검사
• 피부반응검사
• 기관지경검사
• 체액검사
•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현미경검사는 가장 간단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가래를 얻어 항산성간균염색을 한 후 현미경으로 직접 확인하는 검사법으로 현미경 검사로 확인된 폐결핵은 다른 검사결과에 관계없이 A15.0_ 배양 유무에 관계없이 가래 현미경 검사로 확인된 폐결핵(Tuberculosis of lung, confirmed by sputum microscopy with or without culture)으로 분류한다.

배양검사는 활동성 결핵을 확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나 결과를 확인하는데 6-8주가 소요되고 위음성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다른 검사법으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배양검사로만 확인된 폐결핵에는 A15.1_ 배양만으로 확인된 폐결핵(Tuberculosis of lung, confirmed by culture only) 코드를 부여한다.
조직학적검사는 림프절 결핵, 복막강 결핵, 기관지 결핵 등에서 시행될 수 있다.
조직학적 검사로 확인된 모든 폐결핵에는 A15.2_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폐결핵(Tuberculosis of lung, confirmed histologically) 코드를 부여한다.
현미경검사, 배양검사, 조직학적검사 중 하나로 진단되었으나 어느 것으로 진단했는지 알 수 없는 경우에는 A15.3_ 상세불명의 수단으로 확인된 폐결핵(Tuberculosis of lung, confirmed by unspecified means) 코드를 부여한다.
폐결핵에 관련된 분류 우선순위는 A15.0_ > A15.1_ > A15.2_ > A15.3_ 이다.
후두나 기관 또는 기관지에 결핵이 발생한 경우에는 기관지경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기관지경은 폐암과의 감별이 필요하거나 무기폐가 있는 경우 또는 원인 미상의 객혈이 발생한 경우 등에서도 시행될 수 있다.
단순흉부촬영은 결핵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반드시 시행되는 검사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의 폐결핵을 의심하는 첫 번째 소견은 비정상 단순흉부촬영 소견으로 활동성(Active)은 엑스선사진의 소견이 계속적으로 변화하며, 비활동성(Inactive)은 엑스선사진이 6개월 이상 현저한 변화 없거나 객담균검사에서 6개월 이상 음성일 때이다.
흉부 CT는 폐의 결절(nodule), 공동(cavity), 낭(cyst)이나 석회화가 있을 때 폐암 등과의 감별에 필요하며 폐첨촬영(apicogram)은 폐첨 병변의 발견에 아주 유용하다.
피부반응검사는 결핵균에 대한 세포면역의 활성화 여부를 보는 투베르쿨린(Tuberculin) 검사로, 0.1ml의 PPD(purified protein derivative)를 전박 내측에 피내주사하여 48-72시간 뒤에 판독하며 경결(induration)의 크기로 판단한다.
다른 소견에서는 음성으로 나왔으나 단순흉부촬영이나 피부반응검사만으로 폐결핵을 진단한 경우에는 A16.0_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음성인 폐결핵(Tuberculosis of lung, bacteriologically and histologically negative) 코드를 부여한다. 또한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폐결핵은 A16.1_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 검사를 하지않은 폐결핵(Tuberculosis of lung, bacteriological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not done) 코드를 부여하고,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 검사 실시 여부를 알 수 없는 폐결핵은 A16.2_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의 언급이 없는 폐결핵(Tuberculosis of lung, without mention of bacteriological or histological confirmation) 코드를 부여한다


사례 A-1
내시경에 의한 기관지 생검(Biopsy of bronchus by endoscopy)으로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이 진단되었고, 그 외 결핵성 흉막염(Tbc pleurisy)도 동반하였다.

최종진단: 폐결핵, 결핵성 흉막염
주 진 단 코드: A15.21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공동이 없거나 상세불명의 폐결핵

                   (Tuberculosis of lung, confirmed histologically without cavitation or 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A16.51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에 대한 언급이 없는 공동이 없거나 상세
                     불명의 결핵성 흉막염(Tuberculous pleurisy, without mention of bacteriological or

                      histological confirmation, without cavitation or unspecified))


II-A-2. 냉방병
냉방병(또는 냉방증후군)은 주로 냉방 중인 사무실 또는 일반 가정의 실내 온도차가 5-8℃이상 지속되는 환경에서 생활 할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두통, 콧물, 재채기, 코막힘,피로 및 무력감, 집중력 장애, 위장 장애 등이 나타난다.
1. 과도한 실내외 기온 차
여름의 무더운 외부 기온에 비해서 실내 온도가 너무 낮아 우리 몸이 과도한 실내외 기온 차이에 제대로 적응을 못해서 발생한다. 세균감염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방병 증상을 보일 때 이 원인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 경우는 증상코드를 먼저 분류하고, 부가분류로 ‘T69.8 저하된 온도의 기타 명시된 영향(Other specified effects of reduced temperature)’으로 분류한다.
2. 레지오넬라증
에어컨의 냉각수나 공기가 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균이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고, 냉방병 증상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폐렴 증상을 보인다.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냉방병은 “재향군인병”이라고도 한다.
이 경우는 ‘A48.1 재향군인병(Legionnaires’ disease)’ 또는 ‘A48.2 비폐렴성 재향군인병[폰티액열](Nonpneumonic Legionnaires’ disease [Pontiac fever])’으로 분류한다.


II-A-3. 패혈증
1. 용어 정의
감염의 반응인 패혈증은 즉시 치료를 해야 하는 심각한 병태로 만일 패혈증이 더 심해지면 광범위한 조직 손상이나 장기부전, 혹은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패혈증은 박테리아, 진균, 혹은 바이러스감염에 의해 생길 수 있으며 혈류에서 진행된다. 패혈증이 인플루엔자나 비뇨계 감염처럼 작은 감염에서 발생되면 그 환자는 대부분 심각한 상처가 있거나 면역체계가 극도로 약해져 있거나 개방성 혹은 카테터로 노출된 부위에서 발전된 것이다.

패혈증(sepsis), 중증 패혈증(severe sepsis),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등의 용어들은 감염에 대한 전신성 염증반응을 묘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도 순으로 연속선상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의 정의는 이러한 개념간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전신염증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전신염증반응증후군은 감염뿐만 아니라 췌장염, 허혈증, 다발성 외상, 출혈성 쇼크, 면역매개 장기 손상 등 다양한 비감염성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전신적인 염증성 반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세균혈증(Bacteraemia)
병원체가 신체 한 부분의 병소(1차)에서 혈액 내부로(2차) 이동하는 증세를 일컫는다.
즉, 세균혈증은 ‘혈액 내 세균의 존재’를 의미한다. 세균혈증이 발병한 환자의 경우 식별 가능한 구체적인 증상이 유발되지 않을 수도 있다.
□ 패혈증(Sepsis or Septicaemia)
패혈증이란 인체에 침입한 세균에 혈액이 감염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을 의미한다.
의사가 ‘패혈증’으로 기록한 경우에만 패혈증 코드를 부여한다. 국소적 감염(예:요로감염)에 의한 패혈증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 국소적 감염에 대해 추가 코드를 부여한다.
□ 중증 패혈증(Severe sepsis)
중증 패혈증은 신체기관(organ)의 기능장애(dysfunction)나 부전(failure)을 동반하는 패혈증을 의미한다.
□ 패혈증성 쇼크(Septic shock)
패혈증성 쇼크는 신체기관의 기능장애 혹은 저관류(hypoperfusion) 징후와 순환기계 쇼크를 동반하는 중증 패혈증으로 정의된다.
2. 분류
a) 전신염증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전신염증반응증후군에 대한 기록이 있을 경우 원인을 나타내는 코드를 우선 부여하고, 'R65 전신염증반응증후군' 코드를 부가로 사용한다. 'R65'는 일차 분류로 사용하지 못하는 코드로 원인이나 근본 질환을 표시하기 위해 다른 장의 코드가 우선적으로 부여되어야 한다.

패혈증이 전신염증반응증후군의 원인일 경우 패혈증의 개념에 전신염증반응증후군의 내용이 포함되기 때문에, 신체기관의 부전을 동반하지 않는 한 별도로 ‘R65.0 기관의 부전을 동반하지 않은 감염성 기원의 전신염증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of infectious origin without organ failure)’코드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진단에 기재된 경우 사용한다.
만약 전신염증반응증후군과 관련하여 감염성과 비감염성 원인이 함께 기록되어 있을 때, 예를 들어 외상 후 감염이 발생한 경우는 ‘R65.0 기관의 부전을 동반하지 않은 감염성 기원의 전신염증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of infectious origin without organ failure)’이나 ‘R65.1 기관의 부전을 동반한 감염성 기원의 전신염증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of infectious origin with
organ failure)’에서 적절한 코드를 부여한다.
신체기관의 부전이 존재하는지가 불명확할 경우에는 ‘R65’ 범주에서 기관부전이 없는 코드를 사용한다. 기관 부전이 있는 경우는 기관 부전의 상세내용에 대한 코드를 부가로 부여할 수 있다.


사례 A-2
환자가 대장균(E. coli)으로 인한 패혈증과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으로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대장균(E. coli)으로 인한 패혈증,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
주 진 단 코드: A41.50 대장균에 의한 패혈증(Sepsis due to Escherichia coli[E.coli])
기타진단 코드: R65.0 기관의 부전을 동반하지 않은 감염성 기원의 전신염증반응증후군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of infectious origin without organ failure)

   (선택적으로 사용)
코딩적용 사유: 패혈증의 개념에 전신염증반응증후군의 내용이 포함되기 때문에, 신체기관의
부전을 동반하지 않는 한 별도로 R65 코드를 의무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고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사례 A-3
55세 남자 환자가 전신염증반응증후군과 다기관 급성부전(신장 및 호흡계)을 동반한 알콜유발 중증
급성 췌장염을 진단으로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 전신염증반응증후군, 다기관 급성부전, 알콜유발 중증 급성 췌장염
주 진 단 코드: K85.2 알콜유발 급성 췌장염(Alcohol-induced acute pancreatitis)
기타진단 코드: R65.3 기관의 부전을 동반한 비감염성 기원의 전신염증반응증후군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of non-infectious origin with organ failure)
                 N17.9상세불명의 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 unspecified)
                 J96.09상세불명형 급성 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 unspecified type)


사례 A-4
55세 남자 환자가 전신염증반응증후군과 다기관 부전(신장 및 호흡계)을 동반한 알콜유발 중증급성 췌장염 진단 하에 입원하였다. 환자의 상태는 점점 악화되었는데, 혈액배양 검사에서 클로스트리듐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로 인한 패혈증 진단과 일치하는 소견을 보였다.
최종진단: 중증급성 췌장염(알콜 유발), 클로스트리듐퍼프린젠스에 의한 패혈증,
전신염증반응증후군, 신부전, 호흡부전, 만성 알콜 중독증
주 진 단 코드: K85.2 알콜유발 급성 췌장염(Alcohol-induced acute pancreatitis)
기타진단 코드: F10.2알콜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 의존증후군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due to use of alcohol, dependence syndrome)
     A41.4무산소균에 의한 패혈증(Sepsis due to anaerobes)
     R65.1기관의 부전을 동반한 감염성 기원의 전신염증반응증후군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of infectious origin with organ failure)
     N17.9상세불명의 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 unspecified)
     J96.09상세불명형 급성 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 unspecified type)


b) 세균혈증(Bacteraemia)
임상적 환경에서 세균혈증이라는 용어는 증상이 있는 균혈증을 가진 환자를 의미하는데 쓰이며, 그런 사례에는 해당 균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다. 세균의 종류가 알려져 있지않을 경우는 ‘A49.9 상세불명의 세균감염(Bacterial infection, unspecified)’코드가 부여되어야 한다.
c) 패혈증(Sepsis or Septicaemia)
의사가 패혈증에 대한 기록을 하였을 경우에만 패혈증 코드를 부여한다. 검사결과에만 의존하여 패혈증이 가정되거나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 국소적 감염에서 발전하여 전신성 감염 즉, 패혈증이 발생한 경우 입원의 이유가 무엇인지에 따라 주진단을 분류한다. 입원 시 패혈증이 이미 발생한 상태로 패혈증의 치료를 위해서 입원한 경우는 패혈증이 주진단이 되고, 국소적 감염은 기타진단으로 기재한다. 반대로 국소적 감염의 치료를 위해서 입원한 이후 진료과정에서 패혈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국소적 감염이 주진단이 되고, 패혈증은 주진단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간주하여 기타진단으로 기재한다.
※ 관련 지침: I-1-2 주진단 선정원칙 참조

사례 A-5
황색포도구균성 패혈증으로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원하였으며 포도구균성 폐렴으로 인한 것으로 진단되었다.
최종진단: 황색포도구균으로 인한 패혈증, 포도구균성 폐렴
주 진 단 코드: A41.0 황색포도구균에 의한 패혈증(Sepsis due to Staphylococcus aureus)
기타진단 코드: J15.2 포도구균에 의한 폐렴(Pneumonia due to staphylococcus)
코딩적용 사유: 상기 사례는 입원 시 패혈증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패혈증을 주진단으로 한다.


사례 A-6
흡인성 폐렴으로 입원하여 진료를 받던 환자가 폐렴으로 인한 황색포도구균성 패혈증이 발생하였다.
최종진단 : 흡인성 폐렴, 황색포도구균성 패혈증
주 진 단 코드: J69.0 음식 또는 구토물에 의한 흡인성 폐렴(Pneumonitis due to food and vomit)
기타진단 코드: A41.0 황색포도구균에 의한 패혈증(Sepsis due to Staphylococcus aureus)


패혈증의 원인균이 하나 이상인 경우, 각각에 대해 코드를 부여한다.

사례 A-7
패혈증이 대장균(E. coli)과 포도구균 박테리아(staphylococcus bacteria)에 의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최종진단 : 대장균과 포도구균 박테리아에 의한 패혈증
주 진 단 코드: A41.50 대장균에 의한 패혈증(Sepsis due to Escherichia coli [E.coli])
기타진단 코드: A41.2 상세불명의 포도구균에 의한 패혈증(Sepsis due to unspecified staphylococcus)


패혈증 기록을 해석할 때 주의해야 한다. 패혈증이 전신성 감염, 예를 들어 폐렴구균패혈증(pneumococcal sepsis)을 의미할 수도 있고, 국소적 감염, 예를 들어 상처 패혈증(wound sepsis)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의미가 불명확할 경우 임상의사로부터 명확한 정보를 얻어야 한다. 만약 패혈증이 국소적인 감염을 의미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면, 색인에서 패혈증(sepsis)이 아닌 감염(infection)으로 검색해야 한다. 전신성 감염인
경우는 패혈증이라는 명칭을 가진 코드 중에서 적절한 코드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사례 A-8
환자는 자궁 유착으로 복식 자궁적출술을 받았으며 수술로 인한 열로 이틀간 치료를 받은 것으로 진단되었다. 절개부위는 발적(redness)과 화농(pus)이 있었다. 의사는 표피포도구균(staph. epidermidis)에 의한 상처 패혈증이라고 기재하였다.

최종진단 : 자궁유착, 표피포도구균에 의한 상처 패혈증
주 진 단 코드: N85.6 자궁내 유착(Intrauterine synechiae)
기타진단 코드: T81.4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에 따른 감염

                      (Infection following a procedure, not elsewhere classified)
                     B95.7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기타 포도구균

                      (Other staphylococcus as the cause of diseases classified to other chapters)
                     Y83.6 처치당시에는 재난의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의 이상반응 또는 이후 합병증의 원인

                      이 된 기타 기관의 (부분, 전체) 절제 (Removal of other organ (partial) (total) as the

                      cause of abnormal reaction of the patient, or of later complication, without mention

                      of misadventure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코딩적용 사유: 의사는 국소적 감염(발적과 화농)을 설명하기 위하여 ‘패혈증’ 용어를 사용하였고 전신

                     에 영향을 준 질환으로 기재된 것이 없으므로 패혈증코드를 부여하지 않는다.
                     수술 부위에 대한 감염이 있으므로 수술 후 합병증에 해당하는 T81.4로 분류한다.


요로성 패혈증(urosepsis)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경우 더 주의가 필요하다. 요로성 패혈증이 전신성 패혈증을 의미할 수도 있고, 세균이나 세균의 부산물 혹은 다른 독성물질에 오염된 소변을 의미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임상의사에게 이를 확인해야 한다.
환자가 아래 중 하나로 분류되는 패혈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 패혈증의 원인을 나타내기 위해서 ‘A40._ 연쇄구균패혈증(Streptococcal sepsis)이나 A41._ 기타 패혈증(Other sepsis)’을 부가 분류로 사용한다

O03-O07 유산된 임신(Pregnancy with abortive outcome)
O08.0 유산, 자궁외임신 및 기태임신에 따른 생식관 및 골반 감염(Genital tract and pelvic infection following

         abortion and ectopic and molar pregnancy
O75.3 진통 중 기타 감염(Other infection during labour)
T80.2 주입, 수혈 및 치료용 주사에 의한 감염(Infections following infusion, trans-fusion and therapeutic

          injection)
T81.4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에 따른 감염(Infection following a procedure, NEC
T82-T85 인공삽입장치, 삽입물 및 이식에 따른 합병증(Complication due to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T88.0 예방 접종에 따른 감염 (Infection following immunization

사례 A-9
환자는 불완전 자연유산과 함께 칸디다패혈증으로 진단 받았다.
최종진단: 불완전 자연유산, 칸디다 패혈증
주 진 단 코드: O03.0 생식관 및 골반감염이 합병된 불완전 자연유산(Spontaneous abortion,
incomplete, complicated by genital tract and pelvic infection)
기타진단 코드: B37.7 칸디다패혈증(Candidial sepsis)
사례 A-10
결장의 선암종으로 결장절제술 및 결장조루술을 시행 한 환자에게 수술후 대장균(E. coli)에
의한 패혈증이 발생하였다.
최종진단: 결장의 선암종, 대장균(E. coli)에 의한 수술후 패혈증
주 진 단 코드: C18.9 상세불명의 결장의 악성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colon,
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M8140/3
T81.4
A41.50
Y83.3
선암종 (Adenocarcinoma) NOS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에 따른 감염(Infection following a
procedure, NEC)
대장균에 의한 패혈증(Sepsis due to Escherichia coli[E.coli])
처치당시에는 재난의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의 이상반응 또는 이후
합병증의 원인이 된 외부 스토마형성의 외과적 수술 (Surgical
operation with formation of external stoma, as the cause of
abnormal reaction of the patient, or of later complication, without
mention of misadventure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사례 A-11
심내막염으로 인공심장판막 대치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삽입물에 의한 포도구균 패혈증이 발생
하였다.
최종진단: 심내막염, 수술 후 포도구균 패혈증
주 진 단 코드: I38 상세불명 판막의 심내막염(Endocarditis, valve 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T82.6
A41.2
Y83.1
인공심장판막에 의한 감염 및 염증반응(Infection and inflammatory
reaction due to cardiac valve prosthesis)
상세불명의 포도구균에 의한 패혈증(Sepsis due to unspecified
staphylococcus)
처치당시에는 재난의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에게 이상반응이나 후에
합병증을 일으키게 한 원인으로서 인공내부장치 이식의 외과적
수술(Surgical operation with implant of artificial internal
device, as the cause of abnormal reaction of the patient, or
of later complication, without mention of misadventure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d) 중증 패혈증(Severe sepsis)
중증 패혈증에 대한 기록이 있을 경우 국소적 혹은 전신성 감염에 대한 코드와 함께
‘R65.1 기관의 부전을 동반한 감염성 기원의 전신염증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of infectious origin with organ failure)’을 부가로 사용한다.
감염원에 대한 언급이 없을 경우는 전신성 감염 코드를 부여한다. 그리고 특정 기관의
부전에 대한 코드를 적절히 사용한다.

사례 A-12
호흡곤란으로 입원한 35세 남자 환자가 흉부 방사선검사와 혈액배양을 통해서 폐렴연쇄구균성
폐렴을 확진 받았다. 이후 환자는 급성 호흡부전을 일으켰고 중증 패혈증으로 확진 받았다.
최종진단: 중증 패혈증을 동반한 폐렴연쇄구균성 폐렴과 패혈증, 급성 호흡부전
주 진 단 코드: J13 폐렴연쇄구균에 의한 폐렴(Pneumonia due to Streptococcus
pneumoniae)
기타진단 코드: A40.3
J96.09
R65.1
폐렴연쇄구균에 의한 패혈증(Sepsis due to Streptococcus
pneumoniae)
상세불명형 급성 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 unspecified
type)
기관의 부전을 동반한 감염성 기원의 전신염증반응증후군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of infectious
origin with organ failure)


e)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패혈성 쇼크는 일반적으로 중증 패혈증과 관련된 순환기 부전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급성 기관 기능장애의 형태를 나타낸다. 패혈성 쇼크가 있는 경우 패혈증 코드와 함께
항상 ‘R57.2 패혈성 쇼크(Septic shock)’를 사용해야 한다. 기관의 부전에 대해서는
별도의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사례 A-13
승용차 충돌사고로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던 뇌손상 환자가 대장균(E. coli)에 의한 요로감염이
발생하였고, 이어서 E. coli 패혈증으로 발전하였다. 환자의 상태는 계속 악화되어 급성 신부전과
혼수를 동반한 간부전을 보였고 패혈성 쇼크를 보였다. 적극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사망
하였다.
최종진단: 뇌손상, 대장균(E. coli)에 의한 요로감염, 패혈증, 급성신부전, 간부전, 패혈성 쇼크
주 진 단 코드: S06.90
열린 두 개내상처가 없는 상세불명의 두개내 손상(Intracranial
injury, unspecified, without open intracranial wound)

other specified activities
N17.9
K72.91
R57.2
N39.0
B96.2
V43.98
대장균에 의한 패혈증(Sepsis due to Escherichia coli[E. coli])
상세불명의 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 unspecified)
상세불명의 간부전, 혼수를 동반한(Hepatic failure, unspecified
with coma)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site not
specified)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대장균(Escherichia coli
[E.coli] as the cause of diseases classified to other chapters)
승용차 충돌로 다친 승용차탑승자, 기타 명시된 활동에 종사중
(Car occupant injured in collision with car,while engaged in
other specified activities


II-B.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2)
II-B-1. HIV병 코드
HIV감염은 수많은 단계를 거치게 되며, 각 단계는 고유의 중증도와 증상을 나타낸다.
HIV에 감염된 사람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경과를 밟는다(즉, HIV 항체 양성으로 처음진단받고, 질병이 진행함에 따라 질병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그러나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질병이 진행된 후에 처음으로 HIV감염을 진단받는 경우도 흔히 있다.
HIV병 관련 코드는 다음과 같다:
기타진단 기준에 부합하지 않더라도 HIV 상태에 대한 기록은 항상 분류되어야 하며, 서로 배타적이기 때문에 동일 치료기간에 대해 같이 부여될 수는 없다.
R75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검사실 증거(Laboratory evidence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즉, 혈청검사에서 불확정 된/확정적이 아닌 상태)
B23.0 급성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감염증후군(Acute HIV infection syndrome)
Z21무증상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감염상태(Asymptomat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status) (즉, 감염상태, HIV 양성 NOS)
B20-B24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disease)

1.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의 검사실 증거 – R75
이 코드는 HIV 항체검사결과가 확진되지 않은 소수의 환자군에게만 부여되어야 한다.
이는 HIV에 대한 선별검사결과는 양성이지만, 확진 검사에서는 음성이거나 중간인 경우 흔히 일어난다. 이 환자들은 HIV에 감염되었거나 선별 검사결과가 위 양성(false positive)을 보인 경우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추후 반복 검사를 통해 구분된다.


‘R75’가 비확정적인 HIV 검사결과를 가진 환자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코드는 주진단으로 부여될 수 없다.

2. 급성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감염증후군 – B23.0
환자 중 상당비율(40-60%)에서 HIV에 감염된 후 바로 급성 질환이 발병하게 된다.
이 질환은 전염성 단핵구증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데, 발열, 인후통, 림프절비대,발진 그리고 간혹 수막염 등의 합병증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급성 HIV감염 증후군(또는 1차성 HIV 감염)이라는 진단은 환자에게 HIV에 대한 항체가 나타날 때까지(즉,혈청전환)는 확진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이러스검출검사(viral detection assay)에 의해 HIV가 발견되는 경우는 항체가 나타나기 전이라도 진단이 내려질 수 있다. 이런 혈청전환은 흔히 바이러스 감염 후 3-6주 사이에 일어난다. 급성 HIV감염증후군 진단이 퇴원시점에서 강력히 의심될 수는 있어도 보통 이 시기에는 확진되지 않는다. 입원기간동안 급성 HIV감염증후군에 대한 보조적인 증거로 ‘HIV p24 항원검사 양성’ 소견이 포함될 수 있다. 급성 HIV감염증후군의 가능성은 임상기록에 기록되어 있어야 한다.
입원기간 동안의 ‘HIV 항체검사 음성’ 소견이 그 진단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급성 HIV감염증후군’이라는 진단(확진되었든 또는 의심되든)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B23.0 급성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감염증후군(Acute HIV infection syndrome)’ 코드를 주진단으로 부여하고, 나타나는 증상(예: 림프절비대, 발열)이나 합병증(예:수막염)에 대한 코드를 기타진단으로 부여한다.
초기 질환이 완전히 해결된 이후 대부분의 환자는 특별한 증상 없이 수년 동안 생활 할 것이다. 후속 입원에 대한 코딩은 현존 지침에 의해 결정된다. 일단 환자가 초기질환에서 회복되었다면, ‘급성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감염증후군 코드(B23.0)’가 다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질병분류전문가가 적절한 HIV 코드 [즉, R75, Z21, B20-B22, B23.8, B24]를 확신할 수 없는 경우 임상의사에게 질의해야 한다.


3. 무증상 HIV 감염상태 – Z21
‘Z21 무증상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상태 (Asymptomat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status)’ 코드는 어떤 형태든지 HIV병 증상이 발생했던 환자가 증상 발현 이후 입원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Z21’은 증상이 없고 HIV병과 관련 없는 병태의 치료를 위해 입원한 환자에게 부여되기 때문에, 이 코드는 주진단이 될 수 없다.


4. HIV병 – B20, B21, B22, B23, B24
환자에게 발현증세가 생긴 경우, 이는 그들에게 HIV 관련 병(AIDS 질환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이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그런 환자의 입원은 ‘B20-B24’ 범주내에서 분류되어야 한다. 이런 증상이 발생한 환자에서는 ‘R75’나 ‘Z21’코드를 다시 사용할 수 없다.
환자가 HIV감염과 관련되지 않은 어떤 병태로 병원에 왔으며 환자의 현재 HIV상태에 대한 기록도 분명하지 않은 경우, 감염 여부를 알려줄 질병의 적합한 단계와 적합한 HIV병 코드(Z21 또는 B20-B24)를 결정하기 위하여 임상의사에게 확인한다. 이러한 사례에서는 HIV병 코드가 주진단이 아니다.


II-B-2. 발현증세를 동반하는 HIV병의 코드 선정
발현증세를 동반한 HIV병은 B20-B24의 4단위 세분류를 이용해서 발현증세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주진단에 HIV병과 카포시육종(HIV disease and Kaposi sarcoma)이 기재되어 있다면, ‘B21.0 카포시육종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병(HIV disease resulting in Kaposi’s sarcoma)’을 주진단으로 선정한다.

‘B20-B24’의 4단위 세분류를 사용할 것인가는 정책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고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4단위 세분류를 우선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B20-B24’의 4단위 세분류로 구분되지 않는 발현증세를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다른 곳에 분류된 코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위 사례에서 카포시육종이 림프절에 국한되어 있다고 명시되어 있는 경우 ‘B21.0’과 함께 부가로 ‘C46.3 림프절의 카포시육종(Kaposi’s sarcoma of lymph nodes)‘을 기타진단 코드로 선정할 수 있다.

사례 B-1
최종진단: HIV감염으로 인한 구강 칸디다증
주 진 단 코드: B20.4 칸디다증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disease resulting in candidiasis)
기타진단 코드: B37.0 칸디다구내염(Candidal stomatitis)


HIV병으로 인해 면역체계에 문제가 있는 환자는 같은 진료기간 동안에 한 가지 이상의 질병에 대하여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코박테리아와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치료를 같이 받을 수 있다. 같은 3단위 분류에서 2개 이상의 4단위 세분류로 분산되는 경우는 해당 3단위 분류의 .7로 분류해야 한다. ‘B20-B22’ 내에서 2개 이상 3단위분류로 분류되는 경우에 4단위 세분류 ‘B22.7’로 코드를 부여한다.
나열된 병태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B20-B24’를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병태를 보다 더 자세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다른 곳에 분류된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B20-B24’코드 바로 다음에 관련 코드를 기재한다.
HIV감염보다 명백하게 먼저 발생한 병태가 있는 희귀한 경우는 위의 설명에 따른 복합된 코드를 부여해서는 안 된다.

사례 B-2
최종진단: 톡소포자충증(Toxoplasmosis)과 크립토콕쿠스증(Crytococcosis)을 유발한 HIV병
주진단코드: B20.7 다발감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HIV disease resulting multiple infection)
기타진단 코드: B20.8 기타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HIV disease resulting in other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s)
           B58.9 상세불명의 톡소포자충증(Toxoplasmosis, unspecified)
           B20.5 기타 진균증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HIV disease resulting in other mycoses)
           B45.9 상세불명의 크립토콕쿠스증(Cryptococcosis, unspecified)

사례 B-3
최종진단: 폐포자충 폐렴(Pneumocystic carinii pneumonia),
버킷 림프종(Burkitt’s lymphoma)과 구강칸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유발한 HIV병

virus [HIV] disease resulting in candidiasis) disease resulting in multiple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기타진단 코드: B20.6폐포자충폐렴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HIV disease resulting
in Pneumocystic carinii pneumonia)
B21.1 버킷림프종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HIV disease resulting in Burkitt lymphoma)
C83.7 버킷림프종(Burkitt lymphoma)
B20.4 칸디다증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disease resulting in candidiasis)
B37.0  칸디다구내염(Candidal stomatitis)


1. 임신, 분만, 산후기에 관련된 HIV감염
임신, 출산 또는 산후기 중 HIV 관련 질병으로 인해 내원한 환자는 O98.7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인체면역 결핍바이러스[HIV]병(Human immunodeficiency [HIV] disease complicat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이 주진단 코드가 되어야 하고, HIV 관련 질환 코드가 기타진단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임신, 출산 및 산후기 장(15장)의 코드는 배열에서 항상 우선한다. 임신, 출산 또는 산후기 중 무증상HIV 감염 상태(asymptomatic HIV infection status)로 입원(또는 내원)한 환자에게는 O98.7 및 Z21 코드가 부여되어야 한다.
2. 카포시육종(Kaposi‘s sarcoma)
카포시육종은 항상 일차성 종양이다. 그러므로, 상세한 모든 부위에 대해 'C46.-카포시육종(Kaposi's sarcoma)' 범주에서 한 가지 코드를 찾아 분류한다. 형태분류코드는 M9140/3이다. 초기진단 이후 이어지는 각각의 후속 입원기간 동안에 대해서도 카포시육종은 분류되어야 한다. 원인 병원체인 Human Herpes Virus (HHV–8)[Kaposi Sarcoma Herpes Virus (KSHV)로 알려진]도 유발 병원체로 분류될 수 있다.

사례 B-4
최종진단 : HIV병, 카포시육종(HIV disease and Kaposi sarcoma)
주 진 단 코드: B21.0 카포시육종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HIV disease resulting in Kaposi's sarcoma)
기타진단 코드: C46.9상세불명의 카포시육종(Kaposi's sarcoma, unspecified)
                     M9140/3카포시육종(Kaposi's sarcoma)
코딩적용 사유: 카포시육종을 유발한 HIV병을 주진단으로 부여하고 카포시육종과 형태분류 코드를

                     기타진단으로 부여한다.


II-B-3.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합병증 또는 유해작용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는 빈혈, 신경병증, 요로결석 등과 같은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지도부딘(Zidovudine, AZT)은 수많은 허가된 항레트로바이러스 약제 중의 하나이다.

사례 B-5
HIV 양성 상태이나 무증상인 환자에게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치료로 인한 용혈성 빈혈이 생겼다.
최종진단: HIV 양성(무증상),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로 인한 용혈성 빈혈
주 진 단 코드: D59.2 약물유발 비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Drug-induced nonautoimmune haemolytic anaemia)
기타진단 코드: Y41.5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항바이러스제

                          (Antiviral drug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Z21 무증상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상태

                          (Asymptomat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status)
코딩적용 사유: HIV 환자에게 사용된 약제로 인해 발생한 합병증이나 유해작용은 주진단으로 분류하고,

                     외인코드와 HIV 관련 질환은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사례 B-6
AIDS 상태의 환자에게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로 인한 신장결석이 생겼다.
최종진단: AIDS,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로 인한 신장결석
주 진 단 코드: N20.0 신장의 결석(Calculus of kidney)
기타진단 코드: Y41.5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항바이러스제

                      (Antiviral drug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B24 상세불명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disease)


II-B-4. HIV병에 대한 화학요법
1. HIV병에 대한 화학요법
분류에 있어 화학요법이란 혈액이나 혈액제제를 제외한 어떤 치료적 약물(흔히 약)을 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HIV 발현증세에 대한 계획된 화학요법을 위해서 특별히 입원하는 경우 ‘Z51.2 기타 화학요법(Other chemotherapy)’을 주진단으로 분류하고, 기타진단으로 HIV병에 대한 코드를 부여한다. 하지만 화학요법을 포함한 HIV병의 전반적 관리를 위해서 입원하는 경우는 HIV병이 주진단이 되어야 한다.

사례 B-7
AIDS 상태의 환자가 폐 마이코박테리아(pulmonary mycobacterium avium complex) 감염으로 다제 약물 정맥주사치료를 위해 1일 동안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 AIDS, 폐 마이코박테리아감염
주 진 단 코드: Z51.2 기타 화학요법(Other chemotherapy)
기타진단 코드: B20.0마이코박테리아감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Human immunodeficiency virus[HIV] disease resulting in mycobacterial infection)
             A31.0 폐 마이코박테리아감염(Pulmonary mycobacterial infection)


2. 카포시육종에 대한 통원 화학요법
HIV/AIDS환자가 카포시육종을 치료하기 위해 통원 화학요법으로 입원한다면, 주진단 코드는 ‘Z51.1 신생물에 대한 화학요법기간(Chemotherapy session for neoplasm)’이 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치료의 초점이 HIV/AIDS라기 보다는 신생물이기 때문이다. 이때 카포시육종을 유발한 HIV병과 카포시육종은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3. 예방적 화학요법
증상이 없는 HIV 감염환자가 예방적 목적의 화학요법을 위하여 입원한 경우는 ‘Z29.2 기타 예방적 화학요법(Other prophylactic chemotherapy)’을 주진단으로 분류해야 한다. HIV 감염상태는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사례 B-8
HIV 감염환자가 아무 증상 없이 통원치료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 무증상 HIV병,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주 진 단 코드: Z29.2 기타 예방적 화학요법(Other prophylactic chemotherapy)
기타진단 코드: Z21 무증상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감염상태

                   (Asymptomat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status)


II-B-5. 감염성 및 기생충질환의 후유증(B90-B94)
이 코드는 잔여병태의 특성이 기록되어 있다면 주진단을 나타내는 우선 코드로 사용할 수 없다. 잔여병태를 주진단으로 코드를 부여할 때 ‘B90-B94’는 부가코드로 부여할 수 있다.


II-B-6. 약제 내성이 있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
약제에 대한 내성은 대부분의 세균에서 나타날 수 있다. 약제 내성이 있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있을 경우 미생물에 대한 부가코드를 부여하기 전에 감염(상처감염, 요로감염, 폐렴 등)을 우선 부여한다. 그리고 세균성 병원체가 저항하고 있는 항생제를 밝히기 위하여 부가로 ‘U82-U85 항균제 및 항암제 내성(Resistance to antimicrobial and antineoplastic drugs)’의 범주에서 코드를 선정하여 부여한다. 이때 U 코드는 주진단 코드로 절대 사용할 수 없다.
의료환경에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s,MRSA), 광범위 베타락탐계(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균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VRE)등 약제 내성 균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약제 내성 균은 치료하기도 어렵고,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게 더 위협적이며 다른 환자에게 확산될 수 있다.
1.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MRSA) – MRSA 감염의 분류
MRSA의 M은 메티실린(methicillin)을 언급하는 것이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또한 다제내성(multi-resistant)의 뜻으로도 쓰인다.
황색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일반적으로 피부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 이지만 작은 질환부터 삶을 위협하는 질환에 이르는 많은 질환과 병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감염의 정도는 봉합부 농양에서부터 패혈성 정맥염, 만성골수염, 폐렴, 수막염, 심내막염 및 패혈증까지 다양하다.
MRSA의 원내감염(병원감염 또는 병원에서 획득된)은 보통 메티실린(methicillin)과 페니실린(penicillin)만이 아닌 여러 항생제(multiple antibiotics)에 내성이 생기는 것이다.
메티실린(methicillin)에 내성이 있는 황색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일반적으로 다제내성이다.
< 감염에 대한 코드 >
• B95.6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황색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 as the cause of diseases classified to other chapters) (세균이 감염코드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 U82.1 메티실린 내성(Resistance to methicillin)
주) MRSA가 메티실린 뿐만 아니라 여러 약제에 내성을 보이고, 어떤 항생물질이 ‘주진단’에 가장 기여하는지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 ‘U83.7 여러 항생제 내성(Resistance to multiple antibiotics)’ 코드를 부여한다.
2.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VRE)–반코마이신에 내성이 있는 감염의 분류
장내구균은 장내 정상 균무리(상재균)로 장, 입 안, 질, 요도에 서식하는 균으로 병을 일으키는 능력이 낮아 건강한 사람에게는 영향이 없으나, 체력이 쇠약하거나 고령자가 되면 급속히 증식, 활성화하여 복막염이나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기회성 감염균의 하나이다.
장내구균은 환자 장관에 정착한 균에 의한 내인성 감염(환자 장내에 원래 있던 장내구균이 그 환자에게 질병을 유발한 것)뿐 아니라, 환자나 보균하고 있는 의료 종사자의 손이나 의료기기, 병원 환경으로부터 감염될 수 있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VRE)은 1986년 처음 보고되었는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MRSA)과 함께 병원 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이며, 치료가 어려운 감염 관리의 주요 대상 세균이다. 미국에서는 1994년도 조사에서 집중치료실 환자에서 분리한 장내구균 중 14%가 이 VRE라는 것이 확인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이 급증하고 있다. 몸에 침입한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이 감염을 일으킨다면 요로 감염이 가장 흔하다.
< 감염에 대한 코드 >
• B96.88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기타 명시된 세균감염체(Other specified bacterial agents as the cause of diseases classified to other chapters) (세균이 감염코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 U83.0 반코마이신내성 (Resistance to vancomycin)


사례 B-9
환자는 광범위 베타락탐계 내성을 가진 대장균의 요로감염으로 치료받았다.
최종진단: 요로감염(광범위 베타락탐계 내성을 가진 대장균에 의한)
주 진 단 코드: N39.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site not 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B96.2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대장균

                     (Escherichia coli [E. coli] as the cause of diseases classified to other chapters)
                    U82.2 광범위 베타락탐계내성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resistance(ESBL))


사례 B-10
간경변증과 그 합병증으로 복수가 있는 환자에게 자발성세균성복막염(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이 의심되어 복수천자를 시행하였다. 복수의 균 배양 및 항생제 감수성 결과가 나오기전에 경험적 항생제(cefotaxime 정맥주사)로 치료를 시작하였으나, 복수 배양검사결과ESBL(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생성 균주가 확인되어 항생제를 교체하였다.
최종진단 : 간경변증, 복수, 자발성세균성복막염, ESBL생성균 내성
주 진 단 코드: K74.69 간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경변증, 차일드-퍼 상세불명(Other and unspecified cirrhosis of liver, child-puh 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R18 복수(Ascites)
K65.8 기타 복막염(Other peritonitis)
U82.2 광범위 베타락탐계내성(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resistance (ESBL))


여하지 않는다.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감염체(Agent resistant to multiple antibiotics) 코드는 병태의 원인이 되는 세균에 내성을 보이는 2개 이상의 항생제 중 주진단에 가장 기여하는 항생제를 감별하기 어려운 경우에만 사용된다. 즉, 임상의사가 MRSA라고 기록하였고, 미생물 검사에서 다양한 약제에 내성을 보인 것으로 보고된 경우에도 치료에 주로 영향을 미친 내성 항생제가 메티실린이라면, '다제내성 황색포도구균' 등의 별도의 언급
이 없는 한, U83.7 여러 항생제 내성(resistance to multiple antibiotics) 코드를 부여하지 않는다.

사례 B-11
크론병이 있는 환자가 설사로 여러 번 병원에 온 적이 있었다. 환자는 크론병이 악화되었다고 생각되어 반코마이신과 메트로디나졸로 치료를 받고 있었다. 의사는 대변배양 검사에서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Clostridium difficile)에 양성이라고 적었고, 경과기록지에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때문에 격리되었다고 기재했다. 의료진과 협의로 약제내성 감염 치료가 시작되었다.
최종진단: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주진단 코드: A04.7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Enterocolitis due to Clostridium difficile)
기타진단 코드: U83.7 여러 항생제 내성(Resistance to multiple antibiotics)


4. 감염(infection)과 상재화(colonization)의 차이
상재화(colonization)는 MRSA나 VRE가 질환 없이 현재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환자에게 균에 의한 감염의 징후나 증상이 없다. 미생물검사 보고서에 MRSA나 VRE가 나타날 수 있지만 환자는 실질적인 감염질환을 가진 것이 아니라 보균자이다. 보균자의 치료는 보통 필요치 않으나 때때로 코에 특별한 항생제 연고를 바르거나 특별한 조제용 항생제로 씻는 것으로 치료할 수 있다.

사례 B-12
환자는 울혈성 심부전을 앓고 있다. 의사는 입원 시 환자로부터 채취한 표본이 MRSA에 양성을 보였다고 기재했다. 환자가 현재 감염이 있다는 기록은 없었으며, 예방을 위해서 환자는 격리되었다.
최종진단: 울혈성 심부전, MRSA 보균자
주 진 단 코드: I50.08 기타 및 상세불명의 울혈성 심부전

                    (Other and unspecified congestive heart failure)
기타진단 코드: Z22.3 기타 명시된 세균성 질환의 보균자

                    (Carrier of other specified bacterial disease)


II-B-7. 세균 바이러스 및 기타 감염체 (B95-B98)
이 코드는 주진단을 나타내는 코드로 사용할 수 없으며, 1장 이외의 다른 장에 분류된 질환의 감염원을 표시하고자 할 때 선택적으로 코드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감염원으로 인한 상세불명 부위의 감염은 1장에 있는 코드를 부여한다. 원인균을 모르는 감염은 부위에 따른 감염으로 분류한다.

사례 B-13
최종진단: 대장균에 의한 급성방광염
주 진 단 코드: N30.0 급성방광염(Acute cystitis)
기타진단 코드: B96.2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대장균

                    (Escherichia coli [E.coli]as the cause of diseases classified to other chapters)
사례 B-14
최종진단: 세균감염
주 진 단 코드: A49.9 상세불명의 세균감염(Bacterial infection, unspecified)
코딩적용 사유: 이 경우 B95-B98 코드는 적용하지 못한다.


사례 B-15
환자는 복부 통증이 있으며, 이는 요로감염 때문인 것으로 진단되었다.
최종진단: 요로감염
주 진 단 코드: N39.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site not specified)


원인균을 아는 경우, 다음 세 가지 방법 중 하나로 분류한다.
- 감염균과 발현증세를 이원분류 한다(검표(†)/별표(*)). 감염질환을 확인하기 위해서 두 개의 코드를 모두

   부여해야 한다.
- 결합코드를 사용한다.
- 국소적으로 발현된 질병을 확인하는 코드와 감염균을 확인하는 코드인 두 개의 코드를 같이 부여한다.

  감염균은 B95-B98 범주의 코드로 분류하며, 기타진단으로 부여한다.

사례 B-16
환자는 외음과 질에 칸디다 감염으로 진단되었다.
최종진단: 외음과 질의 칸디다 감염

      균)을 확인한다.
기타진단 코드: N77.1* 달리 분류된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에서의 질염, 외음염 또는 외음질염

    (Vaginitis, vulvitis and vulvovaginitis in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사례 B-17
젊은 환자는 연쇄구균성 인두염으로 진단되었다.
최종진단 : 연쇄구균성 인두염
주 진 단 코드: J02.0 연쇄구균 인두염(Streptococcal pharyngitis)


사례 B-18
임상검사 후 의사는 대장균에 의한 급성방광염으로 확인하였다.
최종진단: 대장균에 의한 급성방광염
주 진 단 코드: N30.0 급성 방광염(Acute cystitis)
기타진단 코드: B96.2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대장균

          (Escherichia coli[E.coli]as the cause of diseases classified to other chapters)
코딩적용 사유: 대장균에 의한 급성 B96.2는 부가적인 분류코드이다. 방광염은 두 개의 코드를 사용

      하여 분류한다. 한 코드는 국소적으로 발현된 질환을 확인하고, 다른 코드는 기재된 감염원(대장

      균)을 확인한다.


II-B-8. 바이러스간염
바이러스간염은 간 세포의 염증 및 괴사 질환이다. A, B, C, D 및 E형 바이러스가 급성 바이러스간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중 B, C, D형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바이러스간염은 만성 바이러스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바이러스간염은 일반적으로 ‘만성’으로 진단되나 이러한 정의가 절대적 기준은 아니다. 만성 바이러스간염은 간경변증 및 간부전을 초래할 수 있는 진행성 질환이다. 만성 간염은 혈청학검사 양성, 바이러스검사 양성 등의 근거로 진단된다.
1. 간염 바이러스 종류
□ Hepatitis A
A형 감염은 전염성이고 장내로 전염되는 질환이다(분변-구강경로). HAV는 알려진 보균자 상태(carrier state)가 없고, 만성 간염이나 간경변으로 진행하지 않는다.

□ Hepatitis B
B형 간염은 급성 질환으로 나타나고, 만성 감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HBV)는 혈액, 성관련액체(sexual fluid, 정액 및 자궁분비물)와 같은 감염된 신체의 액, 이식된 조직 및 혈액제제, 드물게 타액을 통해서 전염된다.
만성 B형간염의 경과는 HBV 감염 후 면역 관용기, 면역 제거기, 비활동성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기, HBeAg 음성 만성간염 및 HBsAg 소실기 등의 5개 임상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환자는 비록 연속적이지는 않지만 개인마다 다양한 임상 단계를 거치게 된다.4)
□ Hepatitis C
C형 간염은 급성 질환으로 나타 날 수 있으며 만성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C형간염 바이러스(HCV)는 일반적으로 비경구적(예: 수혈, 주사 약물 남용, 혈액 또는 혈액제품에 대한 직업적 노출)으로 얻어진다. C형 간염은 출생 시 산모에게서 태아로 또는 감염된 개인과의 성적 접촉을 통해 드물게 전염된다.
□ Hepatitis D
D형 간염 바이러스(HDV)는 절대 단독으로 발생하지 않으며 HBV가 있는 경우에만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급성 B형간염과 동시에 감염되거나 이미 발생한 만성 B형간염에 중복 감염되는 형태로 발생한다. HDV는 주로 비경구적(예: 주사바늘 및 혈액)으로 퍼진다. 이것을 델타 병원체(delta agent)라고도 한다.
□ Hepatitis E
E형간염 바이러스(HEV)는 장내로 전염되며(분변-구강경로), 급성 간염의 원인이 되고 임상적으로 A형간염과 유사하다. HEV는 A형간염과 비슷한 중증도를 보이나 임산부에서는 10-20%에서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하여 사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HEV는 일반적으로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특히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와 같이 면역이 억제된 경우 E형간염이 만성 감염으로 발전될 수 있다는 것이 최근에 알려졌다.
2. 분류
기록이 불분명하고 ‘hepatitis B’, ‘hepatitis C’, ‘hepatitis D’, ‘hepatitis B positive’, ‘hepatitis C positive’, ‘hepatitis D positive'와 같이 모호한 용어가 기재되었을 때, 질병의 단계가 급성인지 만성인지 임상의사에게 확인한다

a) 간염의 과거력
• 의사가 명확하게 'B형 간염의 병력이 있음'이라고 기재한 경우, 이를 ‘B형 간염바이러스 보유자’ 혹은 ‘현재 급성/만성 B형 간염환자’로 가정하지 않아야 한다.
• 'C형 간염' 또는 'C형 간염 양성' 같은 모호한 용어로 기록되어 있으나, 환자에게 C형간염의 증상이 있는데 급성인지 만성인지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았으며, 임상의사에게 질의도 어려운 경우, B18.2 만성 바이러스C형 간염(Chronic viral hepatitis C) 코드로 분류한다.

사례 B-19
환자의 병태가 'C형 간염' 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급성인지 만성인지 의사에게 확인하기 어렵다.
최종진단: C형 간염
주 진 단 코드: B18.2 만성 바이러스 C형간염(Chronic viral hepatitis C)


b) 임신, 출산, 산후기에 합병된 간염
바이러스간염이 임신, 출산, 산후기에 발생할 경우, ‘O98.4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바이러스간염(Viral hepatitis complicat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 코드를 부여하고, 간염은 특정 유형에 따라 분류한다.
c) 간염의 발현증세
바이러스간염의 발현증세가 기재된 경우, 바이러스간염뿐만 아니라 발현증세도 분류한다

사례 B-20
환자는 C형간염으로 인한 간경변증(cirrhosis of liver)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만성C형간염, 간경변증
주 진 단 코드: K74.69 간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경변증, 차일드-퍼 상세불명

                    (Other and unspecified cirrhosis of liver, child-pugh 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B18.2 만성 바이러스 C형간염(Chronic viral hepatitis C)


d) 치료된/제거된 C형 간염 (Cured/cleared hepatitis C)
항바이러스 요법은 바이러스 치료를 목적으로 HCV 감염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요법은 일반적으로 24주 또는 48주와 같이 정의된 시기에 행해진다. HCV 감염은 SVR(sustained virological

response)에 도달할 때 성공적으로 치료된 것으로 간주된다.
SVR이란 치료 중단 후 24주 뒤 혈청에서 HCV RNA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급성 HCV 감염 후 바이러스의 자연적 제거는 환자의 30-40%에서 치료 없이 발생하며,일반적으로 감염 후 처음 6개월 이내에 일어난다.
‘cured hepatitis C’, ‘cleared hepatitis C’ 또는 ‘hepatitis C with SVR’ 같은 용어가 기록되어 있고 환자가 아래에 해당 될 때
• 발현증세가 있을 때: 발현증세와 B94.2 바이러스간염의 후유증(Sequelae of viral hepatitis) 코드를 부여한다.
• 발현증세가 없을 때: Z86.1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 코드를 부여한다.

사례 B-21
환자는 치료된 C형간염 병력이 있으며, HCV에 의한 간경변증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다.
[C형간염에 대한 페그-인터페론(pegylated interferon) 및 리바비린(ribavirin) 병합치료 SVR
(sustained virological response, 지속적 바이러스 반응)에 도달]
최종진단: 치료된 C형간염에 의한 간경변증
주 진 단 코드: K74.69 간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경변증, 차일드-퍼 상세불명

                   (Other and unspecified cirrhosis of liver, child-pugh 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B94.2 바이러스간염의 후유증(Sequelae of viral hepatitis)


e)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Hepatitis B virus carrier)
B형간염 보균상태를 분류하던 Z22.5 바이러스간염 보균자(Carrier of viral hepatitis)코드는 WHO-FIC 연례회의에서 삭제하기로 결정되어 KCD-7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바이러스간염의 보균자라는 개념이 사라진 것으로 그 동안 Z22.5로 분류되었던 '바이러스간염 보유자'도 현증인 만성바이러스간염으로 분류된다.
KCD-7에서 국내세분화코드로 'B18.18 만성바이러스 B형간염 면역관용기'를 추가한것은 B형 간염 발병이전의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로 진단되는 비중이 높은 국내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통계작성 목적이므로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HBsAg(+))로 진단되고, 간초음파상 정상 간 소견을 보이면서 간기능이 정상이고 간염바이러스 정량 검사(HBV DNA 정량검사)상 고농도의 경우 B18.18코드를 적용한다.


II-C. 악성 신생물
II-C-1. 악성 신생물의 합병증 분류
1. 악성 신생물에 대한 직접적 치료 없이 특정 합병증의 치료를 위해 입원하는 경우, 특정 합병증을 주진단으로 하며, 악성 신생물은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단, 악성 신생물에 대한 치료를 병행한 경우는 악성 신생물 코드를 주진단으로 한다. 악성 신생물에 대한 직접적 치료란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암 검사 등을 의미한다.

사례 C-1
만성 골수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무기력, 열 및 전신 통증을 호소하며 응급실로 내원 하였다.

환자는 연쇄구균패혈증으로 입원하게 되었다.
최종진단: 연쇄구균패혈증, 만성 골수성 백혈병
주 진 단 코드: A40.9 상세불명의 연쇄구균패혈증(Streptococcal sepsis, 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C92.1 만성 골수성 백혈병, BCR/ABL-양성(Chronic myeloid leukaemia [CML], BCR/ABL-positive)


사례 C-2
만성 골수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심한 구역과 구토 증상으로 입원하여, 증상에 대한 치료 후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퇴원하였다.
최종진단: 만성 골수성 백혈병, 심한 구역과 구토
주 진 단 코드: C92.1 만성 골수성 백혈병, BCR/ABL-양성(Chronic myeloid leukaemia[CML], BCR/ABL-positive)
기타진단 코드: R11.3 구토를 동반한 구역(Nausea with vomiting)


예외: 원인과 발현증세(검표(†)와 별표(*))로 연결된 코드에서는 신생물에 대한 합병증이 있더라도 원인을

 나타내는 검표(†)코드인 신생물코드를 별표(*)코드(합병증)보다 우선하여 주진단으로 선정한다.

사례 C-3
오른쪽 폐의 원발성 선암종을 앓고 있는 환자가 빈혈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빈혈, 오른쪽 폐의 원발성 선암종
주 진 단 코드: C34.90† 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의 기관지 또는 폐, 오른쪽
                         (Malignant neoplasm of bronchus and lung, unspecified, right)
기타진단 코드: D63.0*신생물질환에서의 빈혈(C00-D48†)(Anaemia in neoplastic disease)
                     M8140/3 선암종(Adenocarcinoma) NOS


2. 신생물 치료의 유해작용 관리를 위해 입원하는 경우에는 유해작용을 주진단으로 분류한다.

사례 C-4
왼쪽 폐 하엽의 기관세지-폐포성 선암종으로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은 환자가 화학요법-유발
호중구 감소증의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호중구 감소증, 폐암-왼쪽 폐 하엽의 기관세지폐포성 선암종
주 진 단 코드: D70.8 기타 무과립구증(Other agranulocytosis)
기타진단 코드: Y43.3 주로 전신에 작용하는 제제, 기타 항암제

                     (Primarily systemic agents,other antineoplastic drugs)
                    C34.31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하엽, 기관지 또는 폐, 왼쪽

                            (Malignant neoplasm of lower lobe, bronchus or lung, left)
                     M8250/3 기관세지-폐포성 선암종(Bronchiolo-alveolar adenocarcinoma) NOS


사례 C-5
환자는 외래에서 전립선의 진행된 암종(선암종)에 대한 방사선 치료를 받는 중인데, 12시간
동안 소변을 볼 수가 없었다. 검사결과 소변정체를 진단으로 비뇨기과에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소변정체, 전립선 암
주 진 단 코드: R33 소변정체(Retention of urine)
기타진단 코드: C61 전립선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prostate)
                     M8140/3 선암종(Adenocarcinoma) NOS
코딩적용사유: 소변정체와 방사선 치료간의 인과관계가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합병증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3. 입원 후 발생한 합병증은 기타진단 선정원칙(I-2-2)을 충족하는 경우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사례 C-6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입원기간 동안 초기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았다.
치료를 받는 동안 환자는 구역 및 구토 증상을 보였다.
최종진단: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구역 및 구토
주 진 단 코드: C91.08 기타 및 상세불명의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Other and unspecified acute lymphoblastic leukaemia)
기타진단 코드: R11.3 구토를 동반한 구역(Nausea with vomiting)
                     Y43.3 주로 전신에 작용하는 제제, 기타 항암제

                      (Primarily systemic agents, other antineoplastic drugs)


II-C-2. 신생물 부위에 발생한 출혈
신생물 부위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 암의 한 증상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신생물 부위에 발생한 출혈의 코드는 따로 부여하지 않으며, 만일 출혈로 인해 어떤 질환이 나타났다면 그 질환의 코드를 부가코드로 부여할 수 있다.

사례 C-7
진행형 위암(선암종) 환자가 항암화학요법 시행 후 복통을 주호소 증상으로 내원하여 내시경상 위암

부위의 출혈로 진단받았다.
최종진단: 진행형 위암(선암종), 암 부위 출혈
주 진 단 코드: C16.91 위의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의 위, 진행형

                   (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unspecified, advanced)
기타진단 코드: M8140/3 선암종(Adenocarcinoma) NOS


조혈계 암인 백혈병이나 골수형성이상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s, MDS), 골수증식질환(myeloproliferative disorders)에 동반되는 빈혈은 그 질환에 자연히 존재하는 것이라서 통상 별도의 진단으로 기재되지 않으면 분류하지 않는다. 그러나 위장출혈과 같이 발현되는 병태는 별도로 분류한다.

사례 C-8
15세 남자 환자가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으로 진단받은 후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퇴원하였으나 지속되는 구토로 다시 입원하였다. 구토와 복통에 대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토혈(hematemesis)이 발생하고 상태가 악화되어 혈량감소성 쇼크로 사망하였다.
최종진단: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  혈량감소성 쇼크(hypovolemic

              shock), 토혈(hematemesis)
주 진 단 코드: C91.08 기타 및 상세불명의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Other and unspecifie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기타진단 코드: R57.1 혈량감소성 쇼크(Hypovolemic shock)
                     K92.0 토혈(Hematemesis)


II-C-3.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 및 재발
1. 원발암이 이전에 절제된 경우의 개인력
원발암이 이전에 절제되거나 해당 부위에서 근치되었으며 그 부위에 대해 더 이상의 치료가 없으며 원발암의 잔존에 대해 어떠한 증거도 없는 경우, ′Z85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코드를 부여하여 이전 암 발생 부위를 나타낸다.

에서 해당 코드만 부여한다
Z85 코드가 기타진단 코드로 사용되는 경우, 전이부위는 주진단이나 선행 기타진단이 될 수 있다.
2. 현재 암이 있는 경우와 암의 개인력이 있는 경우
원발암이 절제되었으나 해당 부위 암에 대한 추가 치료(암에 대한 추가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 화학요법)가 시행되는 경우, 치료가 종결될 때까지 원발암 코드가 부여되어야 한다.
원발암이 이전에 절제되거나 근치되었고 해당부위에 대한 추가 치료가 없으며 원발암의 잔존에 대한 증거가 없는 경우, Z85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코드를 부여하여 이전 암 발생부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3.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및 악성형질세포 신생물이 관해상태인 경우와 개인력인 경우
백혈병, 다발골수종 및 악성형질세포 신생물은 관해상태인지 여부가 의무기록에 표기 되는데, 이는 암의 완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병력으로 분류할 수 없다.
관해기간이란 질환의 활동성이 약화되었지만 아직 그 병태가 남아있다는 의미이다.
의무기록에 백혈병 관해기간(leukaemia in remission)이라 기재되어 있는 경우 C91-C95에서 해당 코드만 부여한다

사례 C-9
환자의 백혈병이 6개월째 관해기간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최종진단: 백혈병(관해기간)
주 진 단 코드: C95.9 상세불명 세포형의 백혈병, 상세불명의 백혈병

                    (Leukaemia of unspecified cell type, leukaemia, unspecified)


조혈계 암이 완치된 경우 개인 병력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백혈병의 병력은 Z85.6 백혈병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leukaemia)
• 림프종이나 다발골수종, 악성형질세포 신생물의 병력은 Z85.7 림프, 조혈조직 및 관련 조직의 기타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other malignant neoplasms of lymphoid, hematopoietic and related

   tissues)
4. 암의 재발
이전의 악성 신생물이 완전히 치유된 이후 치유기간이 지속되다가 이전에 발생했던 부위이든 다른 부위이든 병변에 관계없이 재발로 진단된 경우, 재발한 부위의 악성 신생물을 먼저 분류하고, U99 코드를 이용해서 재발하였다는 것을 표시한다. 악성 신생물이 원발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재발하였다면 부가로 ‘Z85.- 코드(악성 신생물의 개인력)’ 중 적당한 코드를 선택하여 원발부위를 별도로 표시한다.
과거의 악성 신생물은 이미 수술이나 기타 방법으로 치료되어 현재 더 이상 없지만, 이와는 상관이 없는 새로운 악성 신생물이 발생하였거나 이로 인한 후유증으로 입원한 경우, 새롭게 발생한 악성 신생물이나 후유증을 주진단으로 분류하고, 필요시 악성신생물의 과거력은 Z85._ 코드를 이용해서 표기한다.

사례 C-10
(인접 부위에 재발한 경우)
환자가 3년 전 구불결장의 악성 신생물로 구불결장절제술을 받았고 악성 신생물이 치유되었다고 생각하였으나, 현재 직장에 유암종이 재발되어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직장의 유암종(재발)
주 진 단 코드: C20 직장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rectum)
기타진단 코드: M8240/3 카르시노이드 종양(Carcinoid tumour) NOS
                    U99 재발한 악성 신생물(Recurrent malignant neoplasm)
코딩적용사유: 구불결장(sigmoid colon)과 직장(rectum)은 일련의 장기로 인접부위에서 재발한 경우 

  원발성 종양으로 간주하므로 C20으로 분류한다.
  재발한 신생물에 대해 U99를 기타진단으로 부여한다.
  직장에서 재발하였기 때문에 구불결장의 치유된 악성 신생물 병력을 나타내는 Z85.0 소화기관의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of digestive organs) 코드는 부여하지

  않는다.


사례 C-11
(동일 부위에 재발한 경우)
십이지장의 선암종으로 내시경에 의한 절제치료를 받았으나 이후 선암종이 재발하여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십이지장의 선암종(재발)
주진단 코드: C17.0 소장의 악성신생물, 십이지장(Malignant neoplasm of small intestine, duodenum)
기타진단 코드: M8140/3 선암종(Adenocarcinoma) NOS
                     U99 재발한 악성 신생물(Recurrent malignant neoplasm)
코딩적용 사유: 재발한 신생물에 대해 U99 코드를 부가로 부여한다.
동일 부위에 재발한 신생물에 대해서는 개인력 코드를 별도로 부여하지 않는다.


임상기록에 '유방절제술 흉터에 재발'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보다 상세한 정보가 없다면, C79.2 피부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skin)로 분류한다. 원발암이 다른 기관/조직으로 전이된 경우이기 때문에 이차성 악성 신생물로 분류한다.

사례 C-12
유방암(침윤성 관암종)으로 1년 전 시행한 종괴절제술 흉터에 전이된 침윤성 관암종이 발견되었다.
최종진단: 흉터의 전이성 침윤성 관암종, 유방암으로 종괴절제술 후 상태
주 진 단 코드: C79.2 피부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skin)
기타진단 코드: M8500/6 전이된 침윤성 관 암종(Infiltrating duct carcinoma, metastatic) NOS
                   Z85.3 유방의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of breast)
코딩적용사유: 이차성 악성 신생물에 대해서는 U99 코드를 부여하지 않는다.
                    U99는 원발부위의 재발을 나타내는 코드이기 때문이다.


II-C-4. 서로 다른 장기의 다발성 악성 신생물
둘 이상의 독립된 부위에 일차성 악성 신생물이 있고 어느 곳도 우세하지 않게 기록되어 있다면 C97 독립된(원발성) 여러 부위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s of independent (primary) multiple sites)을 주진단 코드로 사용해야 하고, 각각의 악성신생물을 표시하기 위해 부가 코드를 사용한다.
단, 어느 쪽이 우세한지 분명할 경우에는 우세한 악성 신생물을 주진단으로 분류하고, 다른 곳의 악성 신생물은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사례 C-13
진단적 개복술로 시행한 난소와 대장 조직검사 상 오른쪽 난소의 장액성 낭선암종과 대장의 선암종이 원발성 악성 신생물로 확인되었는데 어느 곳이 우세한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최종진단: 난소의 장액성 낭선암종, 대장의 선암종
주 진 단 코드: C97 독립된(원발성) 여러 부위의 악성 신생물

                   (Malignant neoplasms of independent(primary) multiple sites)
기타진단 코드: C56.0 난소의 악성 신생물, 오른쪽(Malignant neoplasm of ovary, right)
                 M8441/3 장액성 낭선암종(Serous cystadenocarcinoma) NOS
                 C18.9 결장의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의 결장(Malignant neoplasm of colon, unspecified)
                 M8140/3 선암종(Adenocarcinoma) NOS


II-C-5. 같은 장기 내 다발성 악성 신생물
동일 장기 내에서 인접하지 않은 부위에 다발성 신생물이 있는 경우 각각의 부위에 대해 코드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오른쪽 유방 내에서 다른 사분(quadrants)에 종양이 있는 경우 각각 분류한다.
환자의 같은 장기 내 비인접 부위에 여러 개의 원발성 악성 신생물이 있는 경우, 우세한 부위를 우선 분류하고 이어서 다른 악성 신생물을 분류한다. 하지만 어느 것도 우세하지 않은 경우, 의무기록에 기재된 순서에 따라 각각의 코드를 부여한다.

사례 C-14
검사 후 방광 후벽의 이행상피암종과 비인접 부위인 방광 삼각부에 조직학적으로 같은 신생물이

또 발견되었다.
최종진단: 방광암, 후벽 및 삼각부의 이행상피암종
주 진 단 코드: C67.4 방광의 악성 신생물, 방광의 후벽

                      (Malignant neoplasm of bladder, posterior wall of bladder)
기타진단 코드: C67.0 방광삼각부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bladder, trigone of bladder)
                     M8120/3 이행세포 암종(Transitional cell carcinoma) NOS
코딩적용사유: 이 경우 C97 독립된 (원발성) 여러 부위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s of inde

                    pendent(primary) multiple sites) 코드를 기타진단으로 부여하지 않는다.
                   C97 코드는 다발성 암이 발견되고 치료 상 어느 것도 더 우세하다고 판단 하기 어려운

                   경우 주진단 코드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II-C-6. 같은 장기 내 중증도가 서로 다른 다발성 신생물
환자가 같은 장기내의 비인접 부위에 원발성 악성 신생물과 상피내암 등 중증도가 서로 다른 다발성 신생물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 중증도가 높은 신생물을 우선 분류하고 나머지는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사례 C-15
좌측 유방의 상외사분 2시 방향에서 침윤성 유관암과 비인접 부위에 상피내암이 발견되었다.
최종진단: 좌측 유방암(침윤성 유관암 및 상피내암)
주 진 단 코드: C50.41 유방의 악성 신생물, 상외사분, 왼쪽

                     (Malignant neoplasm of breast, upper- outer quadrant of breast, left)

기타진단 코드: M8500/3 침윤성 관 암종(Infiltrating duct carcinoma) NOS
                     D05.11 유방의 관내 제자리암종, 왼쪽

                       (Carcinoma in situ of breast,Intraductal Carcinoma in situ, left)
                     M8500/2 비침윤성 관내 암종(Intraductal carcinoma, noninfiltrating) NOS


II-C-8. 같은 장기 내 악성 신생물
1. 같은 장기 내 경계가 중복되는 악성 신생물
같은 3단위 항목 내에서 두 군데 이상의 인접 부위에 걸쳐 있고, 어떤 부위가 일차부위인지 알 수 없는 신생물은 그런 병태가 달리 특별히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세항목 .8중복병변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중복(overlapping)이란 침습된 장소가 연속적(서로 인접한)임을 의미한다. 숫자로 연속인 세항목이 대개의 경우 해부학적으로 연속이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예, 방광 C67._). 부위 관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해부학 교과서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사례 C-16
혀끝과 혀의 배쪽에서 근육종이 발견되었으나 원발부위를 찾을 수 없다.
최종진단: 혀암, 근육종
주 진 단 코드: C02.8 혀의 기타 및 상세불명 부분의 악성 신생물, 혀의 중복병변
        (Malignant neoplasm of other and unspecified parts of tongue,overlapping lesion of tongue)

기타진단 코드: M8895/3 근육종(Myosarcoma)


원발부위를 알 수 있는 경우는 원발부위의 신생물에 대해서만 분류한다.

사례 C-17
혀끝의 근육종이 혀의 배 쪽까지 침범('with invasion', ‘spreading to') 했다고 기재되어 있다.
최종진단: 혀암, 근육종
주 진 단 코드: C02.1 혀의 기타 및 상세불명 부분의 악성 신생물, 혀 가장자리

      (Malignant  neoplasm of other and unspecified parts of tongue, border of tongue)
기타진단 코드: M8895/3 근육종(Myosarcoma)


2. 두 군데 이상의 비인접 부위에 암이 있는 경우
같은 장기 내에 하나 이상의 악성종양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종양은 부위에 따라 상이한 원발암이거나 전이성 질환일 수 있다. 기록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올바른 코드를 선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종양의 상태에 대하여 의사에게 질의한다.
하나 이상의 원발암이 같은 장기 시스템에서 발생한 경우, 동기 원발암(synchronous primary cancers)이라고 한다. 이런 병태는 폐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표적장기(이 경우 에서는 호흡기 상피)가 자극제(예: 담배연기)에 의해 공격/변경되는 경우이다. 의사가 어떤 종양이 원발암인지 전이암인지에 대하여 지정해야 한다.

사례 C-18
폐의 왼쪽 하엽에 4기 비소세포 폐암(stage IV non-small cell lung cancer)이 있는 환자가 광범위한 복막 전이, 간 전이로 입원하였다. 폐의 CT 스캔 검사결과 왼쪽 폐 기저부에 큰 종양이 있으며 오른쪽 폐로 퍼져 확대된 소견이 보였다. 의사는 종양이 왼쪽 폐에서 시작되어 오른쪽 폐로 전이되었다고 기록하였다.
최종진단: 폐암(폐의 왼쪽 하엽의 4기 비소세포암), 오른쪽 폐로 전이
              복막 전이, 간 전이
주 진 단 코드: C34.31 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하엽, 기관지 또는 폐, 왼쪽
                   (Malignant neoplasm of lower lobe, bronchus or lung, left)
기타진단 코드: M8046/3 비소세포 암종(Non-small cell carcinoma)
                     C78.00 폐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오른쪽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lung, right)
                     C78.6 후복막 및 복막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retroperitoneum and peritoneum)
                     C78.7 간 및 간내 담관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liver and intrahepatic bile duct)
                     M8046/6 비소세포 암종, 전이성(Non-small cell carcinoma, metastatic)
코딩적용사유: 의사가 왼쪽 폐의 원발성 악성 신생물이 오른쪽 폐로 확장되었다고 명확하게
                    기록했기 때문에 위와 같이 분류한다.


II-C-9. 인접한 서로 다른 장기에 발생한 신생물
서로 다른 3단위 항목을 사용하지만 해부학적으로 인접한(즉 연속된) 두 군데 이상의 장기에 걸쳐 있고 일차 부위를 알 수 없는 신생물은 색인에서 결합코드를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 아래의 코드를 이용해서 단일 코드를 부여한다. 이때 각각의 코드를 부가로 부여할 수 없다.
C02.8 혀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tongue)
C08.8 주침샘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major salivary glands)
C14.8 입술, 구강 및 인두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lip, oral cavity and pharynx)
C21.8 직장, 항문 및 항문관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rectum, anus and anal canal)

and other parts of central nervous system)
C26.8 소화계통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digestive system)
C39.8 호흡기 및 흉곽내기관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respiratory and intrathoracic organs)
C41.8 골 및 관절연골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bone and articular cartilage)
C49.8 결합조직 및 연조직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connective and soft tissue)
C57.8 여성생식기관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female genital organs)
C63.8 남성생식기관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male genital organs)
C68.8 비뇨기관의 중복병변(Overlapping lesion of urinary organs)
C72.8 뇌 및 중추신경계통의 기타 부분의 중복병변

         (Overlapping lesion of brain and other parts of central nervous system)

사례 C-19
최종진단: 위의 유문과 십이지장에 중복되어 위치한 악성 혼합형 종양
주 진 단 코드: C26.8 기타 및 부위불명 소화기관의 악성 신생물, 소화계통의 중복병변
                       (Malignant neoplasm of other and ill-defined digestive organs, overlapping

                          lesion of digestive system)
기타진단 코드: M8940/3 악성 혼합형 종양(Mixed tumour, malignant) NOS
코딩적용사유: 유문부 암은 C16.4로, 십이지장 암은 C17.0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소화계의 중복병변

                    코드로 분류한다.
                    KCD 2장 신생물의 주(Note)를 참고한다.


색인 등에서 특별히 결합코드를 명시하는 경우에는 지정된 코드를 사용한다

사례 C-20
최종진단: 식도와 위의 연결부위에 중복으로 걸쳐진 조기 선암종
주 진 단 코드: C16.00 위의 악성 신생물, 분문, 조기(Malignant neoplasm of stomach,cardia, early)
기타진단 코드: M8140/3 선암종(Adenocarcinoma) NOS
코딩적용사유: 이 중복 부위는 색인에 따로 코드가 나와 있으므로 .8(중복병변)로 분류하지 않는다.


II-C-1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악성 신생물
부위의 명시 없이 일차부위 미상으로 언급된 악성 신생물은 C80.0 원발부위 미상으로 언급된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primary site unknown, so stated)로 분류하고, 암(cancer), 암종(carcinoma) NOS, 악성 종양(malignancy) NOS, 악성 카켁시아(malignant cachexia) NOS는 C80.9 원발부위 상세불명인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primary site unspecified)로 분류한다.
C80.9 원발부위 상세불명인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primary site unspecified)은 상세불명의 암(unspecified cancer)과 같은 의미이다. 악성의 원발부위에 대해 아무런 결정도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에만 부여된다. 이 코드는 입원환자에게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코드이다.
진단명에 부위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형태 유형이 전이성임을 알 수 있게 하는 경우, 해당 형태 유형에 대해 제공되는 코드가 원발부위 진단에 대해 부여된다. 기타진단으로 상세불명 부위의 이차 암에 대한 코드를 부여한다.

사례 C-21
최종진단: 부위 명시가 없는 전이성 아포크린 선암종(Metastatic apocrine adenocarcinoma)
주 진 단 코드: C44.9 상세불명의 피부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skin,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C79.9 상세불명 부위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unspecified site)
                     M8401/3 아포크린 선암종(Apocrine adenocarcinoma)
                     M8401/6 아포크린 선암종, 전이성(Apocrine adenocarcinoma, metastatic)


II-C-11. 림프, 조혈 및 관련 조직에서의 전이
고형종양과 달리 림프나 조혈조직에서 발생하는 신생물은 다른 부위로 전이되지 않는다. 악성세포는 림프나 혈액조직 내에서 순환을 하게 되고, 다른 부위의 림프나 혈액조직에서 발견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전이로 간주하지 않고, 원발성 신생물의 일부 라고 여긴다.
의사들은 이러한 암의 범위를 '〜로 확산(spread to)'나 ‘〜로 전이(metastasis to)'와 같은 용어로 기재할 수 있으나, 이렇게 퍼지거나 전이된 신생물도 결국 C81-C96 코드에 포함되기 때문에 별도의 전이 코드는 부여하지 않는다.

사례 C-22
다발골수종이 골반과 척추까지 전이되었다고 기재되어 있다.
최종진단: 다발골수종, 골반 및 척추로 전이
주 진 단 코드: C90.0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


II-C-12. 초기 단계에 제거된 악성 신생물
악성 신생물이 검사 단계에서 이미 절제된 후 근치적 외과 수술을 위해 입원한 경우, 원발성 악성 신생물 코드를 주진단으로 부여한다. 수술 후 병리검사 결과에서 악성신생물이 나오지 않더라도 원발성 악성 신생물 코드를 부여한다.

사례 C-23
외래에서 어깨 부위의 피부병변을 제거 받은 후 조직검사상 악성 흑색종이 발견되었다. 완전 제거술을 위해 다시 입원하여 수술 시행 후 나온 병리검사 결과에서는 악성세포가 발견되지 않았다.
최종진단: 어깨 부위의 악성 흑색종
주 진 단 코드: C43.6 어깨를 포함한 팔의 악성 흑색종

                        (Malignant melanoma of upper limb, including shoulder)
기타진단 코드: M8720/3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
코딩적용사유: 근치적 외과 수술이란 악성 신생물을 포함한 그 주변 조직의 완전한 절제를 의미한다. 

                    상기 사례처럼 의사는 주로 초기의 조직검사나 제거술에 따라 악성신생물이라는 진단명

                    을 기재하게 된다. 수술은 악성 병태에 대한 치료계획의 일부이기 때문에 병리검사결과

                    에서 암세포가 음성으로 나오더라도 의사가 초기에 내린 진단명을 인정하고 그에 따라

                    분류해야 한다.


II-C-13. 가족성 선종성 폴립증
가족성 선종성 폴립증(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은 APC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APC 유전자는 모든 사람이 갖고 있지만, FAP 환자는 결손이나 변이를 일으킨 유전자를 갖고 있다. 일단 이러한 변화가 유전자 내에서 일어나면 부모로부터 아이에게 물려질 수 있다(유전됨). FAP에서는 잠재적으로 암성인 수천 개의 폴립들이 결장 내부에 발생하는데, 이런 폴립은 10세와 같이 이른 나이에도 시작될 수 있다. FAP를 가지고 있는 사람 중 90% 이상은 50세 이전에 결장암이 발병한다. 결장의 (유전성) 폴립증은 D12.6 상세불명의 결장의 양성 신생물(Benign neoplasm of colon, unspecified)로 분류된다.
가족성 선종성 폴립증을 가진 환자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D12.6 상세불명의 결장의 양성 신생물(Benign neoplasm of colon, unspecified)
M8220/0 선종성 결장 폴립증(Adenomatous polyposis coli)
Z83.7 소화계통질환의 가족력(Family history of diseases of the digestive system) 또는
Z80.0 소화기관의 악성 신생물의 가족력(Family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of digestive organs)

가족성 선종성 폴립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결장의 선암종이 발병한다면, 적합한 형태 코드는 M8220/3 선종성 결장 폴립증내의 선암종(Adenocarcinoma in adenomatous polyposis coli)이다.


II-C-14. 유전성 비-폴립증 결장암
유전성 비-폴립증 결장암(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HNPCC)은 가족성 선종성 폴립증(FAP)과 유사하게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비-폴립증(non-polyposis)'이라는 용어는 이 병태를 가족성 선종성 폴립증(FAP)으로부터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유전성 비-폴립증 결장암(HNPCC)은 모든 유형의 결장암 중 대략 1-5%를 차지한다. 이 유전자 돌연변이를 물려받은 사람의 약 80%에서 결장암이 발병한다.
유전성 비-폴립증 결장암(HNPCC)이 기록되어 있다면 다음의 코드를 부여한다.
C18._ 결장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colon)
Z80.0 소화기관의 악성 신생물의 가족력(Family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of digestive organs)


II-C-15. 원발성 및 속발성 종양
종양에 대한 코드를 적절하게 부여하려면, 우선 종양의 생물학적 행태가 무엇인지(예: 양성, 제자리암, 악성, 불명) 의무기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에게 전이가 있는 원발 신생물이 진단되고 치료가 원발부위와 전이부위 양쪽에 균등하게 시행되는 경우, 원발부위에 대한 코드가 전이부위 코드 보다 우선한다.
원발암이 해당 부위에서 이전에 절제되거나 근치되었고 추가 치료가 없으며 원발암 잔존의 증거도 없는 경우, Z85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코드를 부여하여 이전 원발암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야 한다. 전이(metastasis) 했다면, 해당 부위의 이차성 악성 종양으로 분류한다. 이 경우 전이부위암에 대한 코드가 주진단이 되며, Z85 코드는 기타진단이 된다.

사례 C-24
환자에게 오른쪽 하엽 폐 모세포종 및 척추 전이가 진단되어 원발 병변에 대해 항암화학요법이 시작되었고, 전이부위에 대해서는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다.
최종진단: 폐암(오른쪽 하엽 폐의 모세포종), 척추 전이
주 진 단 코드: C34.30 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하엽, 기관지 또는 폐, 오른쪽
                     (Malignant neoplasm of lower lobe, bronchus or lung, right)

기타진단 코드: M8972/3 폐모세포종(Pulmonary blastoma)
                     C79.50 골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bone)
                     M8972/6 폐모세포종, 전이성(Pulmonary blastoma, metastatic)

사례 C-25
환자가 변형된 근치적 유방절제술(modified radical mastectomy)을 위해 입원하였다.
병리결과에서 오른쪽 유방의 침윤성 관암종(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of the right breast)
및 세 개의 겨드랑이 림프절에 전이된 소견이 확인되었다.
최종진단: 유방암(침윤성 관암종), 겨드랑이 림프절로 전이
주 진 단 코드: C50.90 유방의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의 유방, 오른쪽

                   (Malignant neoplasm of breast, unspecified breast, right)
기타진단 코드: M8500/3 침윤성 관 암종(Infiltrating duct carcinoma) NOS
                     C77.3 림프절의 이차성 및 상세불명의 악성 신생물, 겨드랑 및 팔 림프절
                        (Secondary and unspecified malignant neoplasm of lymph
                          nodes, axillary and upper limb lymph nodes)
                     M8500/6 침윤성 관 암종, 전이성(Infiltrating duct carcinoma, metastatic)


II-C-16. 전이부위 신생물 분류
두 개 이상 부위의 전이성 병변이 기록되어 있으며 어느 것도 우세하지 않은 경우 (예: 흉막 및 뇌의 전이성 병변(metastatic lesions of pleura and brain), 언급된 부위는 모두 이차성 신생물로 분류하며, 원발부위 미상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 C80.0(원발부위 미상으로 언급된 악성 신생물)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면 원발부위를 알아내기 위한 일련의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끝내 밝히지 못하여 ‘원발부위 미상’이라는 진단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C80.0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례 C-26
허리통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게 검사를 통해 흉막과 척추에서 전이성 암종을 확인하였으나 원발부위는 밝히지 못했다.
최종진단: 흉막과 척추의 전이성 암종(Metastatic carcinoma of pleura and vertebra)
               원발부위 미상(Unknown primary site)
주 진 단 코드: C78.2 흉막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pleura)
기타진단 코드: C79.50 골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bone)
                     M8010/6 전이성 암종(Carcinoma, metastatic) NOS
                     C80.0 원발부위 미상으로 언급된 악성 신생물

                            (Malignant neoplasm,primary site unknown, so stated)


사례 C-27
의식저하로 내원한 환자에서 폐와 뇌의 전이성 흑색종이 진단되어 방사선 치료가 시작되었다.
피부의 악성 흑색종이 원발 질환이다.
최종진단: 폐와 뇌의 전이성 흑색종(Metastatic melanoma of lung and brain), 피부의 악성흑색종
주 진 단 코드: C78.09 폐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 쪽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lung, unspecified side)
기타진단 코드: C79.30 뇌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brain)
                     M8720/6 전이성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 NOS, metastatic)
                     C43.9 상세불명의 피부의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 of skin, unspecified)
                     M8720/3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 NOS)
코딩적용사유: 형태학적 유형이 흑색종(melanoma)이므로 C43.9와 M8720/3을 원발부위 정보로 분류

                    한다.


신생물 질환을 기술하는데 있어 전이성(metastatic), 전이(metastasis)라는 용어가 흔히 모호하게 사용된다. 거론되는 부위가 원발부위일 수도 있고 속발부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면에서 진단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임상의사에게 확인하거나 의무기록에 추가정보가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아무런 정보도 얻을 수 없는 경우 다음의 지침을 적용한다:
1) ~로 전이
• ~로 전이(metastatic to)라는 용어는 언급된 부위가 속발성임을 나타낸다.
• 예를 들어, 폐로의 전이성 암종(metastatic carcinoma to the lung)은 폐의 이차성 악성종양이다(C78.0_).
2) ~로부터 전이
• ~로 부터 전이(metastatic from)는 언급된 부위가 원발부위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유방으로부터 전이된 암종(metastatic carcinoma from the breast)은 유방(C50.9_)이 원발부위이다.
• 전이부위에 대한 코드도 부여한다.
3) 여러 전이부위가 명시되어 있는 경우
• 진단명에 전이성(metastatic)으로 기술되는 2개 이상의 부위가 있는 경우, 각각의 부위가 이차성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 원발부위에 대한 정보가 있는 경우, 원발부위 코드가 부여되어야 한다. 원발부위 미상으로 기재되어 있으면 C80.0 원발부위 미상으로 언급된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primary site unknown, so stated) 코드로 분류하고, 아무런 정보도 없다면 C80.9 원발부위 상세불명인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primary site unspecified) 코드로 분류한다.
4) 전이부위가 하나인 경우
• 추가 정보 없이 한 부위만이 전이성(metastatic)이라고 기술되어 있으며 의무기록을 검토해도 더 이상의 정보가 없는 경우, 다음 단계에 따라 분류한다:
① 알파벳 색인에서 형태 유형(morphology type)을 먼저 찾아보고 그 부위에 대한 원발병태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폐의 전이성 신장세포 암종(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of the lung)은 원발부위가 신장이고 전이부위가 폐임을 나타내므로 아래의 코드로 분류한다.
• C64.9 신우를 제외한 신장의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 쪽

     (Malignant neoplasm of kidney, except renal pelvis, unspecified side)
• C78.09 폐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 쪽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lung, unspecified side)


② 형태(morphology)에 대한 특정 부위가 코드 목록에 명시되거나 색인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해부학적 부위 내에서 상세불명 부위에 대한 코드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소세포암종(small cell carcinoma)과 같이 상세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 아래의 코드로 분류한다.
• C34.99 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의 기관지 또는 폐, 상세불명 쪽
(Malignant neoplasm of bronchus and lung, bronchus or lung, unspecified, unspecified side)


• 형태 유형이 명시되지 않거나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코드가 C80.0 또는 C80.9인 경우, 가능하면 의사에게 질의하여 확인한 후 분류한다.
• 다음은 전이가 잘되는 부위로 추정할 수 있다.
뼈(bone)
뇌(brain)
횡격막(diaphragm)
간(liver)
폐(lung)
림프절(lymph nodes)
종격(mediastinum)
수막(meninges)
복막(peritoneum)
흉막(pleura)

불명확한 부위(C76 해당부위)
척수(spinal cord)
불명확한 부위(C76 해당부위)

사례 C-28
척추에서 전이성 암종이 진단되었으나 원발부위는 확인할 수 없었다.
최종진단: 뼈의 전이성 암종(Metastatic carcinoma of bone)
              원발부위 불명의 암종(Carcinoma, site unknown)
주 진 단 코드: C79.50 골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bone)
기타진단 코드: M8010/6 전이성 암종(Carcinoma, metastatic)
                    C80.0 원발부위 미상으로 언급된 악성 신생물

                         (Malignant neoplasm, primary site unknown, so stated)
코딩적용사유: 최종진단에 원발부위 불명(Carcinoma, site unknown)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

                    C80.0으로 분류한다.


II-C-17. 암종증
1. 원발부위가 명시되어 있으면서 최종진단에 암종증(carcinomatosis)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세한 전이부위에 대한 언급이 없다면 C79.9 상세불명 부위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unspecified site) 코드로 분류한다. 상세한 전이부위에 대한 언급이 있으면, 전이부위에 대해 각각의 코드를 부여한다.
2. 원발부위가 상세불명인데 최종진단이 암종증(carcinomatosis)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 두 개의 코드를 부여한다:
• C80.9원발부위 상세불명인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primary site unspecified)
• C79.9상세불명 부위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unspecified site)
C80.0 원발부위 미상으로 언급된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primary site unknown, so stated) 코드는 환자에게 진행성 종양/신생물이 있으나 원발부위가 미상으로 언급된 경우에만 부여할 수 있다. 원발부위 및 알려진 전이부위에 대한 코드를 대신하여 사용되지는 않는다.

사례 C-29
환자가 구불결장(sigmoid colon)의 원발성 암과 더불어 암종증을 동반한(with carcinomatosis)
것으로 진단받았다. 전이부위에 대해서는 따로 기록되어 있지 않다.

최종진단: 구불결장의 암종, 암종증
주 진 단 코드: C18.7 결장의 악성 신생물, 구불결장(Malignant neoplasm of colon,sigmoid colon)
기타진단 코드: M8010/3 암종(Carcinoma) NOS
          C79.9상세불명 부위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unspecified site)
          M8010/6 전이성 암종(Carcinoma, metastatic) NOS
코딩적용사유: 원발부위가 알려져 있으므로, 암종증(carcinomatosis)이라는 진단은 원발부위에서 전이로 볼 수 있다.
전이부위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전이성 암을 나타내기 위해 C79.9 코드를 부여한다.


사례 C-30
환자가 심한 복통으로 실려 와 외과로 입원하여 시험적 개복술을 시행한 결과 광범위한 암종증
(extensive carcinomatosis) 상태이다.
최종진단: 광범위한 암종증, 원발부위 미상
주 진 단 코드: C80.0 원발부위 미상으로 언급된 악성 신생물

                       (Malignant neoplasm, primary site unknown, so stated)
기타진단 코드: M8010/3 암종(Carcinoma) NOS
        C79.9상세불명 부위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unspecified site)
        M8010/6 전이성 암종(Carcinoma, metastatic) NOS
코딩적용사유: 환자가 전이성 신생물로 진단되었으므로 원발부위를 밝혀야 한다.
이 사례에서 원발부위 미상으로 언급되었으므로 C80.0 코드가 부여된다


사례 C-31
입원 중 검사를 시행한 결과 병리결과에 췌장이 원발인 선암종과 폐, 뼈 및 뇌로 전이가 보고되었다.
최종진단: 췌장의 선암종, 암종증
주 진 단 코드: C25.9 췌장의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의 췌장

                    (Malignant neoplasm pancreas, pancreas 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M8140/3 선암종(Adenocarcinoma) NOS
                     C78.09 폐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 쪽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lung, unspecified side)
                     C79.30 뇌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brain)
                     C79.50 골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bone)
                     M8140/6 전이성 선암종(Adenocarcinoma, metastatic) NOS
코딩적용사유: 원발 및 전이부위가 알려져 있고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전이 부위에 대한

                    코드가 부여된다.


II-C-18. 신생물 질환에 대한 코드 순서
주진단을 정하는 기초적인 규칙은 다른 병태에 대한 규칙처럼 신생물에 대해서도 같다. 즉, 주진단은 검사 후에 밝혀진 병태로 현재 입원이나 내원을 유발한 것이다. 악성신생물 코드가 우선권을 가진다고 명시하는 지침은 없으나, 악성 종양이 있는 환자에서 주진단을 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치료 시행이 흔히 주진단 선정에 길잡이로 사용 될 수 있다.
일부 신생물은 기능적으로 활동적이어서 내분비선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모든 신생물은 기능상 활동적이든 아니든 신생물에서 분류된다. 이 경우 신생물에 대한 코드가 먼저 부여되고, 신생물과 관련된 내분비 기능이상을 나타내는 코드(4장의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가 추가로 부여된다.

사례 C-32
최종진단: 오른쪽 난소의 장액성 낭선암종으로 인한 여성호르몬과다
                  (Hyperestrogenism due to carcinoma of right ovary)
주 진 단 코드: C56.0 난소의 악성 신생물, 오른쪽(Malignant neoplasm of ovary, right)
기타진단 코드: M8441/3 장액성 낭선암종(Serous cystadenocarcinoma) NOS
                     E28.0 에스트로젠과다(Estrogen excess)


사례 C-33
최종진단: 털과다증을 동반한 오른쪽 난소의 유두상 낭선암종
               (Papillary cystadenocarcinoma of right ovary with hirsutism)
주 진 단 코드: C56.0 난소의 악성 신생물, 오른쪽(Malignant neoplasm of ovary, right)
기타진단 코드: M8450/3 유두상 낭선암종(Papillary cystadenocarcinoma) NOS
                     L68.0 다모증(Hirsutism)


1. 주진단 선정의 우선순위
1) 원발암의 치료를 위한 내원
원발암의 치료를 위해 내원했다면, 암을 주진단으로 분류한다. 원발부위를 먼저 분류하고, 전이부위에 대한

코드를 부여한다.
2) 암의 진행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경우
암의 진행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또는 천자(paracentesis)나 흉강천자(thoracentesis)와 같은 시술을 위해

내원했다면,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가 시행되더라도 원발암이나 적합한 전이부위 암이 주진단이 된다.

한다.
현재 병태인 원발/속발 암과 관련이 있는 증상(18장의 증상, 징후 및 불명확한 병태) 코드는 암을 대신하여 주진단으로 사용될 수 없다. 이는 암 치료 및 진료를 위해 입원한 횟수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4) 속발암의 치료를 위한 내원
전이가 있는 원발암으로 내원하여 치료가 전이부위에만 시행되는 경우, 원발암이 여전히 남아있다 하더라도 전이부위가 주진단으로 선정된다. 원발암은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5) 임신한 환자에서의 암
임신한 여성에게 암이 있는 경우 15장의 임신, 출산 및 산후기 코드를 먼저 부여하고, 암에 대한 상세 코드를 후속으로 부여한다.
6) 종양과 관련이 있는 합병증으로 내원
암과 관련이 있는 합병증(예: 탈수 관리)으로 내원하여 치료가 합병증에 대해서만 시행되었다면, 합병증을

먼저 분류하고 암에 대한 코드를 후속으로 부여한다.
이 지침에 대한 예외가 빈혈이다. 암과 관련이 있는 빈혈의 관리를 위해 내원한 경우, 암에 대한 코드가 주진단으로, D63.0* 신생물질환에서의 빈혈(Anaemia in neoplastic disease) 코드는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7) 종양의 치료를 위한 외과적 시술 후 발생한 합병증
환자가 종양치료를 위해 시행한 외과적 시술로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를 위해 내원한 경우, 합병증을 주진단으로 선정한다. 종양에 대해서는 현재 병태인 경우 신생물 코드로, 병력인 경우 Z85 코드로 분류한다.
2. 치료가 원발부위에 대해 시행되는 경우
• 치료가 원발부위에 대해 시행되는 경우, 해당 부위의 악성 신생물이 주진단으로 선정된다. 이 경우 원발부위 악성 신생물을 주진단으로 하고, 전이부위 코드를 후속으로 부여한다.
• 이 지침에 대한 유일한 예외는 환자 입원의 사유가 항암화학요법, 면역요법, 방사선 치료만을 위한 경우다. 이 경우 Z51._을 주진단 코드로 부여하며, 치료를 받게 한 진단이나 문제에 대해서는 기타진단 코드로 분류

한다.

사례 C-34
간에 작은 전이성 결절을 동반한 구불결장의 비정형적 카시노이드 종양으로 구불결장절제술이 시행

되었다.

sigmoid colon)
주 진 단 코드: C18.7 결장의 악성 신생물, 구불결장(Malignant neoplasm of colon,sigmoid colon)
기타진단 코드: M8249/3 비정형적 카르시노이드 종양(Atypical carcinoid tumour)
                     C78.7  간 및 간내담관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Malignant neoplasm of liver and intrahepatic bile duct)
                     M8249/6 비정형적 카르시노이드 종양, 전이성(Atypical carcinoid tumour, metastatic)


사례 C-35
구불결장 암종으로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가 항암화학요법을 위해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구불결장 암종
주 진 단 코드: Z51.1 신생물에 대한 화학요법기간(Chemotherapy session for neoplasm)
기타진단 코드: C18.7 결장의 악성 신생물, 구불결장(Malignant neoplasm of colon,sigmoid colon)


• 때때로 두 개의 원발부위가 있는 경우, 각각을 원발암으로 분류한다. 치료가 일차적으로 한 부위에 시행된 경우, 해당 부위의 신생물이 주진단으로 지정되어야 한다.
치료가 두 부위에 대해 동등하게 시행된다면, 어느 것이든 주진단이 될 수 있다.
• 가끔 종양이 아닌 다른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수술로 입원한 환자의 병리검사결과에서 악성 신생물이

  현미경적 크기로만 발견(microscopic focus of malignancy)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입원을

  유발한 병태가 주진단이 되고, 악성 신생물은 기타진단이 된다.

사례 C-36
환자가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한 심한 요 정체(severe urinary retention due to hypertrophy of
the prostate)로 전립선절제술(prostatectomy)을 위해 입원하였다. 경요도 전립선절제술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이 시행되고, 환자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benign
hypertrophy of the prostate) 진단으로 퇴원하였다. 병리결과에서 현미경상 확인된 선암종
(microscopic focus of adenocarcinoma)이 보고되었다.
최종진단: 양성 전립선 비대증, 심한 요 정체
전립선 암(수술 후 현미경상 확인된 선암종)
주 진 단 코드: N40.1 요로 폐색을 동반한 전립선증식증

                    (Hyperplasia of prostate with urinary tract obstruction)
기타진단 코드: C61 전립선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prostate)
                     M8140/3 선암종(Adenocarcinoma) NOS
코딩적용사유: 입원의 사유인 양성 전립선 비대증을 주진단으로, 현미경상 확인된 선암종은 기타진단

                    으로 분류한다.


사례 C-37
환자가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of the uterus) 치료를 위해 입원하여 복식 전자궁절제술
(total abdominal hysterectomy)을 시행 받았다. 병리검사결과에 자궁내막증(endometriosis)이
확진되고, ‘자궁경부의 상피내암종 (carcinoma in situ of the cervix)도 있음’으로 명시되어
있다.
최종진단: 자궁내막증, 자궁경부의 상피내암종
주 진 단 코드: N80.0 자궁의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of uterus)
기타진단 코드: D06.9 자궁경부의 제자리암종, 상세불명의 자궁경부

                     (Carcinoma in situ of cervix uteri, cervix unspecified)
                     M8010/2 상피내 암종(Carcinoma in situ) NOS
코딩적용사유: 이 경우 자궁내막증이 입원의 사유이므로 주진단이 되고, 자궁경부 신생물에 대한

                    코드는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된다.
• 전이를 동반한 원발성 신생물로 입원한 환자에서 치료가 전이부위에 대해서만 시행되었다면, 원발성 암이 여전히 있더라도 전이부위(코드)가 주진단으로 선정된다.
원발성 악성 신생물에 대한 코드는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 전이를 동반한 원발성 신생물로 입원한 환자에서 치료가 원발부위와 전이부위에 대해 동등하게 시행되었다면, 원발성 암이 주진단이 되고 전이성 암은 기타진단이 된다.
4. 악성 신생물과 관련된 합병증의 치료를 위한 입원
암이나 암에 대한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의 분류와 코드 순서는 다음의 지침을 적용한다:
1) 암과 관련이 있는 빈혈
악성 신생물로 입원하는 환자는 악성 신생물 자체 때문에 또는 그들이 받는 치료때문에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일차적으로 합병증의 치료를 위해 입원했다면, 합병증을 먼저 분류하고, 이후 신생물에 대한 코드를 분류한다. 단, 빈혈(anaemia)은 이 지침의 예외사항에 해당된다.
암과 관련한 빈혈의 치료를 위해 입원하고 치료가 빈혈에 대해서만 시행되는 경우, 이원분류 규칙에 따라 암에 대한 코드가 주진단이 되고, D63.0*, 신생물질환에서의 빈혈(Anaemia in neoplastic disease) 코드가 기타진단이 된다.

2) 항암 화학요법, 면역요법 및 방사선치료와 관련된 빈혈
입원/내원 사유가 항암화학요법, 면역요법의 유해작용과 관련한 빈혈의 관리이며 빈혈에 대한 치료만 시행된 경우, 빈혈 분류 코드를 먼저 부여하고 신생물 코드와 항암화학요법, 면역요법 치료로 인한 유해작용(Adverse effect of antineoplastic and immunosuppressive drugs)을 나타내는 외인코드인 Y43._주로 전신에 작용하는 제제(Primarily systemic agents)를 부여한다.
입원/내원 사유가 방사선치료의 유해작용과 관련한 빈혈의 관리이며 빈혈에 대한 치료만 시행된 경우, 빈혈 분류 코드를 먼저 부여하고 신생물 코드와 방사선치료로 인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외인코드인 Y84.2 처치 당시에는 재난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의 이상반응 또는 이후 합병증의 원인이 된 기타 내과적 처치, 방사선과적 처치 및 방사선 요법(Other medical procedures as the cause of abnormal reaction of the patient,

or of later complication, without mention of misadventure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radiological

 procedure and radiotherapy)을 부여한다.

사례 C-38
오른쪽 유방에 암이 있는 환자가 방사선치료로 인한 빈혈의 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최종진단: 방사선치료로 인한 빈혈, 유방암
주 진 단 코드: D64.9 상세불명의 빈혈(Anaemia, 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Y84.2 처치 당시에는 재난의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에게 이상반응이나
                      후에 합병증을 일으키게 한 방사선과적 처치 및 방사선요법
                       (Other medical procedures as the cause of abnormal reaction of the patient, or of

                       later complication, without mention of misadventure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radiological procedures and radiotherapy)
                     C50.90 유방의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의 유방, 오른쪽

                       (Malignant neoplasm of breast, unspecified breast, right)


3) 암으로 인한 탈수의 관리
암과 암에 대한 치료로 인해 생긴 탈수(dehydration) 치료를 위해 내원하여 탈수만이 정맥내주사로 치료되는 경우, 탈수를 먼저 분류하고 암에 대한 코드를 뒤이어 부여한다.
4) 외과적 시술로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
외과적 시술로 인해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를 위해 내원한 경우, 치료가 합병증을 해결하는데 있다면 합병증이 주진단으로 선정된다.

사례 C-39
전립선의 선암종(adenocarcinoma of the prostate)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통원수술실에서 고환
절제술(orchiectomy)을 받았는데, 시술 후 합병증으로 발생한 처치 후 요도협착(postprocedural
urethral stricture)으로 입원하였다.
최종진단: 처치 후 요도협착, 전립선암(선암종)
주 진 단 코드: N99.1 처치 후 요도협착(Postprocedural urethral stricture)
기타진단 코드: Y83.6 처치 당시에는 재난의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에게 이상반응이나
                      후에 합병증을 일으키게 한 기타 기관의 (부분, 전체) 절제
                      (Surgical operation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as the cause of abnormal

                      reaction of the patient, or of later complication, without mention of misadventure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removal of other organ (partial) (total))
                     C61 전립선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prostate)
                     M8140/3 선암종(Adenocarcinoma) NOS
코딩적용사유: 처치 후 요도협착(N99.1)을 유발한 외인은 고환절제술이므로 Y83.6 코드를 추가로

                   부여한다.


5) 주진단 결정시 치료의 초점 고려
주진단을 결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진단 결정시 치료의 초점을 고려한다.

사례 C-40
전립선의 선암종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가 육안적 혈뇨로 입원하였다. 환자에게 15팩의 혈액을
수혈하고 소변이 깨끗해질 때까지 방광 세척(bladder irrigation)을 시행하였다.
최종진단: 육안적 혈뇨(gross hematuria), 전립선암(adenocarcinoma of the prostate)
주 진 단 코드: R31.0 육안적 혈뇨(Gross hematuria)
기타진단 코드: C61 전립선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prostate)
                    M8140/3 선암종(Adenocarcinoma) NOS
코딩적용사유: 이 경우 환자는 육안적 혈뇨로 입원하여 치료받았으며, 암에 대한 치료는 이루어지 않았다.


5. 항암 화학요법, 면역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1) 종양에 대한 외과적 절제술이 동반되는 경우
원발 또는 전이 부위 종양의 외과적 절제술이 시행되고, 같은 입원기간 중 부가적인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가 시행되는 경우, 신생물에 대한 코드가 주진단이 되어야 한다.

있다.
환자의 입원/내원의 목적이 단지 항암 화학요법, 면역요법, 방사선치료인 경우, 주진단 코드로 Z51.0 방사선요법기간(Radiotherapy session)이나 Z51.1 신생물에 대한 화학요법기간(Chemotherapy session for neoplasm) 코드를 부여한다.
이러한 치료가 같은 입원기간 중 한 가지 이상 시행되는 경우, 순서에 상관없이 해당 코드를 모두 부여할 수 있다. 치료 대상 암에 대한 코드는 기타진단으로 부여한다.
외과적으로 절제되었다 하더라도, 환자가 여전히 암에 대해 치료를 받고 있기 때문에 Z85 코드 보다는 암에 대한 코드를 부여해야 한다.
3) 항암 화학요법, 면역요법, 방사선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는데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환자가 항암화학요법, 면역요법, 방사선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는데 조절되지 않는 구역, 구토, 탈수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주진단 코드로 Z51.0 방사선요법기간(Radiotherapy session)이나 Z51.1 신생물에 대한 화학요법기간(Chemotherapy session for neoplasm) 코드를 부여하고, 합병증은 기타진단으로 분류한다.
4) 항암화학요법을 위한 케모포트 삽입
환자가 향후 항암화학요법을 위한 포트를 삽입하기 위해 입원하였으나, 같은 입원기간 중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지 않은 경우, Z51.4 달리 분류되지 않은 후속 치료를 위한 예비치료(Preparatory care for subsequent treatment, NEC)을 주진단 코드로 분류하고, Z51.1 코드는 부여하지 않는다.
포트 삽입 후 항암화학요법이 같은 입원기간 중 시행되었다면, Z51.1 코드를 주진단으로 부여한다.
6. 현재 암인지 암의 개인력인지 고려
원발암이 절제되었으나 추가 치료(암에 대한 추가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가 해당 부위에 대해 시행되는 경우, 치료가 완료될 때까지 원발암 코드가 사용되어야 한다.
Z85._ 코드는 원발암이 이전에 절제되었거나 해당 부위에서 완전히 근치(eradicate)되어 더 이상 어떤 유형의 치료도 필요하지 않은 경우와 원발암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만 부여된다.
이 지침은 고형암과 백혈병을 포함하여 조혈계 및 림프계 종양에 모두 적용된다.
그러나 백혈병이 있는 환자는 여러 가지 검사나 항암 치료 외에 다른 치료를 위해 자주 입원하므로 주의한다.
입원이 항암화학요법, 면역요법, 방사선치료만을 위한 것인지 의문이 있다면, 의사에게 질의한다.

7. 악성 복수
악성 복수(malignant ascites)는 암으로 인해 복강 내에 체액(fluid)이 비정상적으로 고인 것이다. 기저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진단목적의 검사로 혈액검사, 복부초음파, 복강천자가 시행된다. 치료는 이뇨제, 치료목적의 복강천자, 기저원인에 대한 기타 치료가 있다.

사례 C-41
췌장암 환자가 광범하게 퍼진 악성 복수로 입원하여, 치료 목적의 천자와 췌장암에 대한
치료도 받았다.
최종진단: 췌장암(Solid pseudopapillary carcinoma), 악성 복수, 후복막 전이
주 진 단 코드: C25.9 췌장의 악성 신생물, 상세불명의 췌장

                     (Malignant neoplasms of pancreas, pancreas, unspecified)
기타진단 코드: M8452/3 고형 가유두상 암종(Solid pseudopapillary carcinoma)
                     C78.6 후복막 및 복막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retroperitoneum and peritoneum)
                     M8452/6 고형 가유두상 암종, 전이성(Solid pseudopapillary carcinoma,metastatic)
코딩적용사유: 기저 원인에 대한 치료가 있으므로 췌장암(C25.9)이 주진단이 된다.


neoplasms involving the stomach)은 위의 악성 신생물(C16._)로 분류한다.
악성 흉막삼출액(malignant pleural effusion)은 흉막으로의 직접적인 종양 침범(invasion) 때문이 아닌, (특히 림프종에서) 종격 종양(mediastinal tumor)으로부터 흉막림프 배출에 장애가 생겨 발생할 수 있다. 림프종이 배출시스템을 막아, 흉막강 내에서 체액의 재흡수를 조절하는 정상적인 물막이 힘을 방해하는 것이다.
원발암에 대한 치료가 시행되었다면 암에 대한 코드를 먼저 부여하고, 악성 흉막 삼출액에 대한 코드인 C78.2를 후속으로 분류한다.


9. 예방적 장기 절제를 위한 내원
암에 대한 유전적 감수성(susceptibility)이나 암의 가족력 때문에 예방 목적으로 유방, 난소, 기타 장기를 제거하기 위해 내원하는 경우, 주진단은 Z40._ 예방적 수술(Prophylactic surgery) 코드가 되어야 한다. 관련된 위험요인을 밝히기 위해 적합한 코드를 기타진단으로 부여한다.
환자가 한쪽 부위에 암을 가지고 있는데, 새로운 암 발생이나 전이를 예방하기 위해 다른 부위를 예방적으로 절제하는 경우, Z40.0 악성 신생물에 관련된 위험요인에 대한 예방적 수술(Prophylactic surgery for risk-factors related to malignant neoplasms) 외에 암에 대한 코드도 부가로 부여한다.

전립선암(prostate cancer) 치료를 위해 고환을 제거하는 경우와 같이 환자가 암의 치료를 위해 장기를 절제하는 경우, Z40.0 코드는 부여하지 않는다.


10. 추적검사를 위한 입원 및 내원
일단 악성 신생물이 절제되거나 근치되면, 원발암의 재발이나 전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추적관리 검사(follow-up examinations)를 시행한다.
원발부위나 전이부위에 재발의 증거가 없는 경우, Z08 악성 신생물에 대한 치료후 추적검사(Follow-up examination after treatment for malignant neoplasms) 코드를 주진단으로 부여한다.
암의 개인력을 나타내기 위해 Z85._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코드를, 장기의 후천적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Z90._ 달리 분류 되지 않은 기관의 후천성 결여(Acquired absence of organs, NEC) 코드를 부가로 부여한다.
원발부위에 재발의 증거가 있는 경우, 암에 대한 코드를 주진단으로 부여한다. 예를 들어 방광의 전벽(anterior wall)에 원발성 암종(primary carcinoma)이 있어 이전에 절제하였으나 측벽(lateral wall)에 재발한 경우 C67.2 방광의 악성 신생물, 방광의 측벽(Malignant neoplasm of bladder, lateral wall of bladder)과 U99 재발한 악성 신생물(Recurrent malignant neoplasm) 코드를 부여한다.
원발부위에 재발이 없으나 다른 부위로 전이한 증거가 있는 경우, Z85._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코드와 해당 부위의 이차성 신생물에 대한 코드를 부여한다. 이 경우 Z08._ 악성 신생물에 대한 치료후 추적검사(Followup examination after treatment for malignant neoplasms) 코드는 부여하지 않는다.


II-C-19. 이소성 조직의 악성 신생물
WHO의 지침 개정에 따라 KCD-7에서 이소성 또는 비정상적인 조직의 신생물은 발견된 부위의 신생물로 분류한다.
예를 들면 위를 침범한 췌장의 이소성 악성 신생물(ectopic pancreatic malignant neoplasms involving the stomach)은 위의 악성 신생물(C16._)로 분류한다.

사례 C-42
54세의 여자환자가 부갑상선 선종이 의심되는 앞 종격 종괴로 입원하여, 부분 흉골절개술
(partial sternotomy)을 통해 종괴절제술을 받았다. 병리보고서 진단은 이소성 결절성 부갑상선
선종 (ectopic nodular parathyroid adenoma)이다.
최종진단: 앞 종격의 이소성 결절성 부갑상선 선종
              (Ectopic nodular parathyroid adenoma of anterior mediastinum)

              부갑상선이 아닌 종격의 종양으로 분류한다.
              (neoplasm of other and unspecified intrathoracic organs,mediastinum)
기타진단 코드: M8140/0 선종(Adenoma) NOS
코딩적용사유: ‘이소성’으로 진단된 경우 발견된 해부학적 부위의 신생물로 분류하므로 부갑상선이

                    아닌 종격의 종양으로 분류한다.


II-C-20. 신경내분비 종양
신경내분비종양(neuroendocrine tumors)은 몸 전체에 산재되어 있는 내분비 또는 신경내분비 세포에서 발생한다. 가장 흔한 부위는 기관지, 위, 소장, 충수, 직장(bronchi, stomach, small intestine, appendix, rectum)이다.
이 종양은 흔히 추정되는 배아의 원발부위[전장(기관지 및 위), 중장(소장 및 충수),후장(결장 및 직장)]에

따라 분류된다.
카시노이드 종양(carcinoid tumor)은 장크롬친화세포(enterochromaffin cells), 가스트린세포 등 여러 세포에서 발생할 수 있어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게 되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일 수 있는 종양이다.

이 세포는 소장, 충수, 대장, 직장, 기관지, 췌장, 난소, 고환, 담관, 간, 기타 장기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되는

호르몬을 생성한다. 카시노이드 종양은 이러한 동일한 호르몬을 다량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카시노이드증후군(E34.0, Carcinoid syndrome)을 유발할 수 있다.
카시노이드 종양은 몸 어디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대부분은 소화관에서 발견된다. 카시노이드 종양의 대략 25%는 기도(bronchial airways)와 폐에서 발견된다.
카시노이드 종양의 증상이 있다 하더라도, 일부 사례에서는 그 원발부위를 정하지 못할 수도 있다. 카시노이드 종양은 원발성 악성, 전이성 종양, 양성종양으로 발현할 수 있다. 악성 신경내분비종양이 절제되고 추가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병력코드(Z85._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Personal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로 분류한다.
다발내분비선종양(multiple endocrine neoplasia, MEN) 증후군이 악성 또는 양성신경내분비종양과 관련이 있는 경우, MEN 증후군 코드도 부여한다. 그러나 의무기록에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이 코드를 부여하지는

않는다. 관련되는 내분비 증후군이 있으면, 카시노이드증후군(E34.0)과 같이 적합한 추가 코드를 부여한다.
폐에서 발생하는 소세포암은 신경내분비종양(neuroendocrine ca)의 일종이다.
아래의 그림1은 폐종양에 대한 WHO 분류(WHO Classification of Tumors for tumors of the lung)에 근거한

 자료이다.

그림1. 폐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신생물의 형태분류 코드
자료원: http://seer.cancer.gov/tools/mphrules/mphrules_definitions.pdf


level 1

level 2

level 3

level 4

Malignant
neoplasm, NOS and
Malignant tumor
cells (8000 and
8001)




Carcinoma, NOS,
Carcinoma,undifferentiated, NOS
and Carcinoma, anaplastic, NOS (8010, 8020 and 8021)

Neuroendocrine CA,
NOS (8246)

Carcinoid, NOS (8240)

Small Cell CA, NOS(8041)

Non-Small Cell CA
(8046)

Sarcomatoid CA (8033)



※ level 4 - Sarcomatoid CA (8033)

level 4

level 5

level 6

level 7

Sarcomatoid CA
(8033)

Pleomorphic CA
(8022)

Large Cell CA, NOS
(8012)

AdenoCA, NOS(8140)

Squamous Cell CA, NOS (8070)


II-C-21. 소화계 신생물의 형태분류 코드 목록5)
소화기계에 발생하는 신생물의 형태분류 코드는 다음의 목록을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임상지식의 업데이트 및 환자별 사례에 따라 행동양식코드(behavior code)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병리의사 및 임상의사의 의견을 확인한다.
1. 식도(esophagus)
가. Epithelial tumours


구분

morphology

code

Premalignant lesions

- Squamous

Intraepithelial neoplasia(dysplasia), low grade
Intraepithelial neoplasia(dysplasia), high grade

8077/0

8077/2

- Glandular

Dysplasia (intraepithelial neoplasia), low grade

Dysplasia (intraepithelial neoplasia), high grade

8148/0

8148/2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Adenocarcinoma

8070/3

8140/3


Adenoid cystic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Mucoepidermoid carcinoma
Spindle cell (squamous) carcinoma
Verrucous (squamous) 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8200/3

8560/3

8083/3

8430/3

8074/3

8051/3

8020/3

Neuroendocrine neoplams

- Neuroendocrine tumour (NET)

NET G1 (carcinoid)

NET G2

8240/3

8249/3

- Neuroendocrine carcinoma (NEC)

 

 Large cell NEC

 Small cell NEC

8013/3

8041/3

 - Mixed adenoneuroendocrine carcinoma  8244/3


나. Mesenchymal tumours


morphology

code

Granular cell tumour
Haemangioma
Leiomyoma
Lipoma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ur
Kaposi sarcoma
Leiomyosarcoma
Melanoma
Rhabdomyosarcoma
Synovial sarcoma

9580/0

9120/0

8890/0

8850/0

8936/3

9140/3

8890/3

8720/3

8900/3

9040/3

115/495


[검색용]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질병코딩지침서(ver.2016).pdf


[검색용]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질병코딩지침서(ver.2016).pdf
4.3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