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

평년보다 더운 날씨에 각별한 건강주의 필요

야국화 2013. 6. 11. 21:27

 

 

평년보다 더운 날씨에 각별한 건강주의 필요

- 응급의료기관 온열질환자 사례 6월 첫 주(6.2~6.8)에 총 37명 보고 -

 

보건복지부(장관 : 진 영)와 질병관리본부는 하절기를 맞아 전국 응급의료기관을 통해 운영 중인「폭염건강피해 감시체계」결과, 6월 첫 주(6.2~6.8) 총37명 온열질환자 발생하여, 작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 2012년 6월 1주차 결과 : 온열질환자 총 15명

 

○ 보고된 온열질환자는 열사병 14건*, 열실신 11건, 열탈진 8건 등으로 남자가 27명(73%)이었으며, 연령별로는 60대 이상과 40대가 각각 14명, 11명으로 많았다. 온열질환이 주로 발생한 시간은 12~16시이고 장소는 실외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 유의미한 폭염 피해 사례는 아니나, 아침식사와 함께 음주 후 본인 승용차에서 잠이 들어 호흡부전으로 사망한 사례 1건 포함(42세 남성)

 

질병관리본부는 아직 폭염특보가 발효되지는 않았지만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무더운 날이 많아 갑작스러운 무더위우리 몸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활동 강도조절할 것을 당부하였다.

 

< 폭염특보 발령기준>

 

 

 

폭염주의보 : 6∼9월 일최고 33℃ 이상인 상태가 2일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

폭염 경보 : 69월 일최고 35℃ 이상인 상태가 2일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

 

○ 평소보다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12~17시 사이에는 장시간 야외활동이나 작업을 가급적 자제하는 한편,

 

- 차안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주정차 된 차에 혼자 있지 말고, 과도한 음주는 몸 안의 수분이 급격히 빠져나가 탈수를 유발하고 체온조절 중추의 기능이 둔화시킬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붙임 1) 응급의료기관 기반 폭염건강피해 감시결과(6월 1주차)

(붙임 2) 2013년 응급의료기관 기반 폭염건강피해 감시체계 운영계획

 

<참고자료 1> 폭염 시 건강보호를 위한 9대 건강수칙

<참고자료 2> 온열질환의 증상 및 응급조치 요령

<참고자료 3> 응급상황 행동요령

<참고자료 4> 2012년 응급의료기관 기반 폭염건강피해 감시결과(6월~9월)

붙임 1

 

‘13년 응급의료기관 기반 폭염건강피해 감시결과(6월 1주차)

 

□ 폭염피해 현황

전국 응급의료기관으로 부터 6월 1주차(6월2일 ~ 6월8일)37명(사망자 1명 포함) 온열질환자 응급진료 사례를 보고 받음

 

<온열질환자 응급진료 사례 현황(6.2~6.8)>

(단위: 명)

구 분

6.2(일)

6.3(월)

6.4(화)

6.5(수)

6.6(목)

6.7(금)

6.8(토)

소계

온열질환자

4

0

8

9

8

7

1

37

 

 

- 사망자는 경북 고령군에 거주하는 42세 남성으로 6월5일 아침식사와 함께 음주 후(08:00), 식당 앞 본인 승용차에서 잠을 자다 사망한 채로 발견됨(12:00)

* 발견당시 차량 실내온도 57℃측정, 사망원인은 호흡부전(사망추정시간 : 11:00)

 

□ 온열질환자 특성별 분석

 

○ 성별은 남자가 27명으로 여자 10명보다 많았음

(단위: 명)

성별

남자

여자

온열질환자

27

10

37

○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14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1명, 20대 미만 6명, 50대 5명, 30대 1명 순으로 발생하였음

(단위: 명)

연령별

20세 미만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온열질환자

6

0

1

11

5

14

37

 

발생시간대는 12시-15시에 12명, 15~18시에 11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06-12시에 7명, 18-24시 4명 순으로 발생하였음

(단위: 명)

발생시간별

00-06시

06-12시

12-15시

15-18시

18-24시

미상

온열질환자

0

7

12

11

4

2

37

 

온열질환별로는 열사병&일사병이 14명으로 가장 많았고, 열실신 11명, 열탈진 8명, 열경련 4명 순으로 발생하였음

(단위: 명)

온열질환별

열사병&일사병

열경련

열부종

열실신

열탈진

온열질환자

14

4

0

11

8

37

 

응급실 내원은 119 구급차 이용이 18명으로 가장 많았고, 자가용이 9명, 도보와 기타 구급차 이용이 각각 5명이었음

(단위: 명)

내원수단별

119 구급차

기타 구급차

대중

교통

도보

자가용

기타

본인

타인

온열질환자

18

5

0

5

3

6

0

37

 

온열질환자 발생장소는 대부분 실외이며, 실외 발생건 중 논/밭 8명, 실외작업장과 운동장(공원)이 각각 7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음

(단위: 명)

발생

장소별

실외

실내

소계

실외

작업장

운동장

(공원)

(인도, 도로)

논/밭

주거지주변

강가, 산, 해변

기타

소계

실내

작업장

비닐

하우스

건물

기타

온열

질환자

31

7

7

4

8

1

0

4

6

0

1

0

4

1

37

 

붙임 2

 

‘13년 응급의료기관 기반 폭염건강피해 감시체계 운영계획

 

□ 목 적

○ 전국 응급의료기관(응급실)을 기반으로 폭염에 따른 실시간 건강피해 조사 감시 실시 및 대국민 관련정보 제공으로 폭염에 대한 주의 환기 유도

 

운영기간 : 2013년 6월2일(일)~9월30일(월)

* 시범운영 : 5월 27일~6월 1일

* 폭염특보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 보고대상

○ 응급실 일일 내원 현황(총 내원자수/총 사망자수)

○ 응급실 일일 내원자 중 「온열질환자」로 진단된 모든 환자

열사병(일사병)

뜨겁고 건조한 피부(땀이 나지 않음) 빠르고 강한 맥박, 두통, 어지러움, 오심, 의식저하

* 일사병은 땀이 많이 나고 증상은 열사병과 비슷

열탈진

피로감, 두통, 오심, 구토

열경련

근육경련, 피로감

열부종

발이나 발목이 부음

열실신

일시적 의식소실

 

보고체계

 

 

 

 

참고자료 1

 

폭염 시 건강보호를 위한 9대 건강수칙

1. 식사는 가볍게 하고, 충분한 양의 물을 섭취합니다.

- 뜨거운 음식과 과식을 피하고, 규칙적으로 물을 섭취

- 운동 할 경우 매시간 2-4잔의 시원한 물을 섭취

- 수분섭취를 제한해야하는 질병을 가진 경우 주치의와 상의

2. 땀을 많이 흘렸을 때는 염분과 미네랄을 보충합니다.

- 스포츠 음료는 땀으로 소실된 염분과 미네랄 보충 가능

- 염분섭취를 제한해야하는 질병을 가진 경우 주치의와 상의

3. 헐렁하고 가벼운 옷을 입습니다.

- 가볍고 밝은 색의 조이지 않는 헐렁한 옷

 

4. 무더운 날씨에는 야외활동을 삼가며 햇볕을 차단합니다.

- 가급적 야외활동 피하며, 서늘한 아침이나 저녁시간 활용

- 야외 활동 중에는 자주 그늘에서 휴식

- 창이 넓은 모자와 선글라스 착용, 자외선 차단제 바름

 

5. 가급적 실내에서 활동하며 냉방기기를 적절히 사용하여 실내온도를 적정수준(26~28℃)으로 유지합니다.

- 에어컨이 작동되는 공공장소 이용

6.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우리 몸이 적응할 수 있도록, 신체활동을 제한, 적응시간확보

- 또한 스스로 몸의 이상증상을 느낄 경우 즉시 휴식

 

7. 주변 사람의 건강을 살핍니다.

- 노인, 영유아, 고도 비만자, 야외 근로자, 만성질환자(고혈압, 심장질환, 우울증 등) 각별한 주의 필요

- 주변에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이 계신 경우 이웃과 친인척이 하루에 한번이상 건강상태 확인

8. 주정차된 차에 어린이나 동물을 혼자 두지 않습니다.

- 창문을 일부 열어두더라도, 차안의 온도는 급격히 상승

9.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119나 1339에 전화 후 다음의 응급처치를 취합니다.

- 환자를 그늘진 시원한 곳으로 이동

-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재빨리 환자의 체온 낮춤

- 시원한 물 섭취 (의식이 없는 환자는 제외)

참고자료 2

 

온열질환의 증상 및 응급조치 요령

 

온열질환별 응급조치 요령

 

현장에서의 응급처치 요령

 

참고자료3

 

응급상황 행동요령

 

 

 

 

 

 

참고자료 4

 

2012년도 폭염 건강피해 조사 결과(6.1~9.6)

 

 

○ (폭염피해현황) 전국 응급의료기관으로 부터 6월1일 ~ 9월6까지의 폭염에 따른 응급진료 사례를 보고받은 결과,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 총 984명이 응급실 진료를 받았으며, 사망자는 14명이었음

 

<폭염피해 현황 (6.1 ~ 9.6)>

구분

온열질환자

사망자

1주차(6.1~6.9)

15

 

2주차(6.10~6.16)

9

 

3주차(6.17~6.23)

22

 

4주차(6.24~6.30)

11

 

5주차(7.1~7.7)

17

1

6주차(7.8~7.14)

14

 

7주차(7.15~7.21)

25

 

8주차(7.22~7.28)

205

4

9주차(7.29~8.4)

322

5

10주차(8.5~8.11)

237

4

11주차(8.12~8.18)

41

 

12주차(8.19~8.25)

37

 

13주차(8.26~9.1)

20

 

14주차(9.2~9.7)

9

 

월계(6월)

57

-

월계(7월)

378

7

월계(8월)

540

7

월계(9월)

9

 

누계(6.1~9.06)

984

14

 

※ 사망자 집계는 사망일 기준(온열질환자수에 사망자수 포함)

 

○ (사망사례) 6월 1일부터 9월 6일까지 발생한 사망사례 14건은 사망자는 70대 이상이 8명이었고 발생장소는 집과 논/밭이 각각 4명으로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충남 4명, 경북 3명, 전남과 부산이 각각 2명이었음

사망자 발생현황 (6.1~9월6일)>

지역

폭염특보

성별

연령

발생장소

발생시간

특이사항

강원

×

70

논/밭

7월 4일

고혈압

경북

78

비닐하우스

7월 24일

고혈압, 협심증

경북

76

비닐하우스

7월 24일

고혈압

전남

78

논/밭

7월 27일

없음

전남

50

실외작업장

7월 28일

없음

부산

68

7월 30일

미상

경북

86

논/밭

7월31일

당뇨병

충남

47

8월 1일

술 마신 상태

충남

81

8월 2일

깨털기 작업 흔적

충남

58(추정)

8월 2일

신원파악 안됨

광주

72

8월 5일

술 마신 상태

부산

55

8월 6일

미상

충남

90

논/밭

8월 6일

없음

인천

47

8월 6일

발작

 

□ 온열질환자 특성별 분석

 

○ 성별은 남자가 683명(으로 여자 301명 보다 많았음

성별

남자

여자

온열질환자

683

301

984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380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67명 , 50대 166명이었음

연령별

20세 미만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온열질환자

81

82

108

167

166

380

984

 

 

○ 온열질환은 열탈진이 386으로 가장 많았고, 열사병 & 일사병 317명, 열실신 151명, 열경련 128명 순이었음

온열질환별

열사병&일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온열질환자

317

386

128

151

2

984

 

 

발생시간대는 12시-15시가 294명, 15-18시가 276명으로 전체의 58%이었음

발생시간별

00-06시

06-12시

12-15시

15-18시

18-24시

온열질환자

63

203

294

276

148

984

 

응급실 진료결과는 퇴원이 658명이었고 입원(일반병실) 171명, 입원 중환자실 86명, 사망 14명 이었음

진료결과

퇴원

전원

입원(일반)

입원(중환)

사망

기타

온열질환자

662

46

172

86

14

4

984

 

온열질환 발생한 장소는 실외에서 758명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실외작업장이 224명으로 가장 많았고, 논/밭이 153명, 길 (인도, 도로) 151명, 주거지 주변 82명, 운동장(공원) 60명 순이었으며, 실내는 226명으로 집이 99명, 실내작업장이 74명이었음

발생

장소별

실외(757명)

실내(226명)

실외

작업장

운동장

(공원)

(인도, 도로)

논/밭

주거지주변

강가, 산, 해변

기타

실내

작업장

비닐

하우스

건물

기타

온열

질환자

224

60

151

153

82

49

39

74

16

29

99

8

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