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레이노 현상

야국화 2009. 7. 6. 11:44

1862년 불란서의 Maurice Raynaud 가 처음 보고한 현상으로서 서늘하거나 추운곳, 찬물에 손,발등을 담글때나 감정이 자극되었을 때 발작적으로 손가락, 발가락, 코나 귀, 유두나 무릎 등의 끝부분이 혈관 수축을 일으키고 혈액 순환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레이노 현상(Raynaud phenomenon)이라고 한다.

 

[ 레이노 현상을 일으킬수 있는 질환 ]

피부경화증(皮膚硬化症)

Sjögren 증후군

다발성 근염

루푸스

피부근염(皮膚筋炎)

버거씨병,말초병변을 동반한 폐쇠성 동맥 경화증

흉곽 출구 증후군등의 혈관폐쇠

만성 류마치성질환등의 교원성 질환

진동장애

손목굴증후군

흡연

외상

동상

 

약제

베타차단제

에르고타민등 같은 편두통 치료제

일부 화학요법

혈관을 수축시키는 작용이 있는 감기약등

일부 화학물질 노출

기타

 

이상과 같은 질환에 의해 생기는 레이노 현상을 레이노 증후군, 또는 이차성 레이노 현상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질적인 질환이 없이 오직 혈관 운동 신경의 과도한 긴장에 의해 창백해 지는 것을 원발성 레이노 병( primary Raynaud's disease )이라고 한다.

 

[ 증 상 ]

차거나 서늘한 곳, 찬물, 감정 자극에 의하여 손 발에 발작적으로 과도한 혈관의 수축을 일으켜 피의 공급이 부족해져서 일시적으로 창백해 졌다가 다시 따뜻해 져서 약 15분이면 붉으스레 색갈이 정상으로 돌아 오게된다.

 

부종, 저리거나 둔통, 주율성 박동(周律性搏動)

피부색 변화(청색)

무감각

통증

궤양이 생길수도 있다.

레이노병은 이러한 발작이 계속 반복되고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지만 병이 진행할 때는 손 발의 끝부분이 만성적인 영양 장애 상태가 되어 손이나 발 끝이 위축, 궤양을 일으키게 된다.

 

레이노병은 버거씨병에 비해 표재성(表在性)이어서 통증은 심하지 않다.

 

[ 레이노병의 진단 기준 ]

찬곳에 노출되거나 감정에 의해 유발되는 혈관 수축성의 일과성 피부색 변화

동맥 박동의 촉진 정상

괴사가 없으며 있다해도 피부의 매우 작은 부분에 국한

레이노 병을 일으키는 근본 질환이 없다.

적어도 이년이상 지속

양측성

(Bull Rheuma Dis 1983;33:1-8)

 

[ 검사소견 ]

과거력

일반검사 : 레이노병은 특징적인 소견은 없으나 면역학적 검사에 이상을 보이는 수가 있다.

혈액검사 : 면역질환 확인 (Antinuclear antibodies (ANA) test), ESR

한냉부하검사 : 4-6 °C 냉수에 2분 정도 양손이나 양발을 담군 후 피부 온도측정계나 체열 측 정기에 의해 피부 온도의 회복 과정이나 혈류계측기를 이용해서 관찰

손발톱주름(nail fold) capillaroscopy

혈관 촬영

 

[ 유사한 증상의 질환 ]

혈관염

팔목터널 증후군

반사성 교감신경위축증

혈전색전증 질환(Thromboembolic disease)

흉곽출구 증후군

기타

[ 치 료 ]

담배를 끊어야 한다(담배는 피부체온을 떨어뜨려 발작 유도).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한다.

적당한 운동

발작이 있을땐 기간과 강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가장 중요한 사항은 손과 발을 따뜻하게 해야 한다.

추울때는 실내로 들어가도록 한다.

손가락을 흔들어 대거나 팔을 돌린다.

따뜻한 물에 손이나 발을 담구고 움직여 준다.

얼음과자나 얼린 음식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안정을 취하고 그 상황을 벗어 나도록 노력한다.

장갑이나 양말을 착용

 

신경차단치료요법: 교감신경 차단치료법으로 완치는 어렵지만 창백하게 되는 발작횟수 감소, 발작 기간 감소로 치료효과를 최대화 할수 있다.

 

약물요법

칼슘통로차단제

nifedipine (Adalat, Procardia), diltiazem (Cardizem, Dilacor), amlodipine (Norvasc), verapamil (Calan, Isoptin) , nicardipine (Cardene)

알파차단제: prazosin (Minipress), doxazosin (Cardura)

혈관확장제 : nitroglycerin 크림

pentoxifylline (Trental) : 좁아진 혈관에 적혈구가 잘 통과하도록 혈액순환 개선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 Benazepril(Lotensin)

안지오텐신 II 길항제 : Losartan(Cozaar)

토코페롤

nicotiante

항혈소판제: ticlopidine

prostaglandin 제제 :alprostadil

nitrate

피해야할 약제

다음 약제는 혈관의 경련을 일으키거나 증상을 악화시킬수 있음으로 주의해야 한다.

PPA포함 약제, 베타차단제(metoprolol , nadolol, propranolol), 피임약제

기타

omega-3-fatty acid 포함한 어유 : 효과가 있을때가 있음

생체되먹임(Biofeedback)

비타민 B3(Niacin)

피부로 가는 혈관 확장, 혈류증가로 도움이 될수도 있다

 

수술요법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족구병(질병관리본부 출)  (0) 2009.07.08
A형간염(질병관리본무 출)   (0) 2009.07.08
자가 이식술 확대   (0) 2009.06.17
부갑상선 신티그램(Parathyroid Scintigraphy)  (0) 2009.06.12
99mTc-MIBI Parathyroid Scan  (0) 2009.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