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수족구병(질병관리본부 출)

야국화 2009. 7. 8. 09:11

수족구병(Hand, Foot, & Mouth Disease)이란?

 

1. 병원체 : 장내 바이러스 - 콕사키, 에코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71

2. 잠복기 및 전파경로

○ 잠복기 : 3~5일

○ 감염된 사람의 대변 또는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콧물)을 통해서 전파

3. 주요 증상

○ 발열, 인후통, 식욕부진 등으로 시작

○ 발열후 1~2일째에 수포성 구진이 손바닥, 손가락, 발바닥에 생김

○ 구내병변은 볼의 점막, 잇몸이나 혀에 나타남

○ 때로는 둔부에도 나타나지만, 수포가 아닌 발진만 나타나는 경우도 많음

○ 감기증상이 대부분이지만, 면역체계가 완전하지 않은 생후 2주 이내의 신생아가 감염될 경우, 드물게 사망하는 예도 있음

수족구병을 예방하려면??

4.예방법

현재까지 수족구병에 대해서는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며, 특히 출산 직후의 산모와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등의 근무자들이 감염에 각별히 주의하고,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해야합니다.

<예방수칙>

○ 배변 후 또는 식사 전후에 손씻기

○ 기저귀 갈아줄 때마다 손씻기

○ 끊인 물 마시기

○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외출 후 양치질 및 손씻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은 철저히 소독하기

 

5.Q&A

1)원인 병원체는 무엇인가?

- 가장 흔한 원인은 콕사키바이러스 A16 이며, 엔테로바이러스 71 또는 기타 다른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서도 발병함.

- 엔테로바이러스군에는 폴리오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기타 엔테로바이러스 등이 포함됨.

2)어떻게 감염되는가?

- 수족구병은 중등도의 전염력을 가지며, 코와 목의 분비물, 침, 그리고 물집의 진물 또는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의 직접 접촉을 통해 사람간 전파가 가능함

- 발병 1주일간이 가장 전염력이 강함.

3)언제 어디서 발생이 되는가?

- 영유아 또는 어린이 보육시설에서의 수족구병 유행은 여름과 가을철에 흔하며, 일반적으로 동일 시기에 지역사회내에서도 발 생이 증가함.

- 엔테로바이러스 71에 의한 뇌염은 치명적일 수 있으며, 1997년 말레이시아에서의 유행과 1998년 대만 사례에서 뇌염에 의한 사망 사례가 있었음.

4) 감염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가?

- 수족구병은 영유아와 어린이에게 흔한 질병으로 발열, 발진, 구강내 물집 등을 동반함

- 열이 나기 시작한 1-2일 후, 구강내 통증성 물집이 발생하는데, 이들은 작고 붉은 반점으로 시작하여 물집이 되고 종종 궤양 으로 발전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혀, 잇몸, 뺨의 안쪽에 위치함.

- 일반적으로 수족구병은 중증도가 낮으며 콕사키 A16 감염에 의한 수족구병은 증상이 경미하고 대부분의 환자들은 의학적 치 료없이도 7-10일 안에 회복됨

- 합병증은 흔치 않지만 콕사키 A16 감염의 경우 드물게 발열, 두통, 경추 경직, 요통과 함께 수일간의 입원을 요하는 무균성(바 이러스성)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도 있음. 수족구증의 또 다른 원인인 엔테로바이러스 71에 의해서도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이 발생하며 이 경우 뇌염, 소아마비와 유사한 마비 등의 보다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음.

 

5)예방 방법은?

- 기저귀를 갈고 난 후, 오염된 표면 또는 오염된 물질을 세척한 경우에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잘 씻도록 해야 함.

- 수족구병에 감염된 어린이와의 입맞춤, 안아주기, 생활용품 함께 쓰기 등을 제한함으로써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음.

- 감염된 어린이는 감염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발병 초기 수일간 집단생활에서 제외시키기도 함.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속 의학용어   (0) 2009.07.10
신경섬유종증  (0) 2009.07.08
A형간염(질병관리본무 출)   (0) 2009.07.08
레이노 현상   (0) 2009.07.06
자가 이식술 확대   (0) 2009.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