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약자나 호흡기 질환자 외출 삼가고 마스크 착용해야 = 평소 건강한 사람이라도 황사가 폐로 들어가면 기도 점막을 자극해 호흡이 어려워지고 목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또 감기나 급성 기관지염이 잦아지거나 폐활량이 감소하는 증상을 보이게 된다.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도 재채기가 계속되고 맑은 콧물이 흐르는 등 증상이 악화된다. 특히 천식 같은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거나 기관지가 약한 노인·어린이는 황사에 노출되면 더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황사가 심할 땐 아예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 박명재 경희의료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실내에도 황사가 들어올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기를 사용하면서 가습기로 실내 습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다”며 “노약자나 폐 기능에 장애가 있는 환자는 외부 출입을 자제하고 나들이 때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또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면 기관지 안쪽이 건조해지지 않아 가래 배출에 도움이 된다. 기관지 섬모 기능을 방해하는 흡연도 자제해야 한다.
◆ 콘택트렌즈 대신 안경 착용으로 눈 보호 = 황사에 들어있는 공해물질은 눈을 자극해 자극성 각결막염과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눈이 가렵고 이물질이 낀 듯한 느낌이 들면서 눈을 비비면 충혈되고 끈끈한 진물이 나오는 게 대표적인 증상이다. 이럴 때는 틈틈이 미지근한 물로 눈을 씻어내야 한다. 소금물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좋지 않다. 물속에서 눈을 깜빡거리거나 얼음찜질을 해도 차도가 없으면 함부로 안약을 쓰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특히 콘택트렌즈를 끼는 사람은 황사가 심한 날엔 렌즈를 쓰지 않거나 부득이한 경우 보호안경을 끼고 외출하는 게 안전하다. 눈물 분비가 줄어 눈이 빡빡한 느낌을 호소하는 안구건조증 환자도 황사 때에는 증상이 심해질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 피부엔 ‘잘 씻는 습관’ 최고 = 황사는 피부를 자극해 가렵고 따가워지는 증상을 불러온다. 또 봄에는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면서 피지 분비가 증가하는데 이때 황사에 실려온 먼지가 날아다니다 모공을 막게 되면 여드름, 뾰루지도 늘게 된다.
황사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려면 외출할 때 맨 얼굴보다는 가벼운 화장을 하거나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게 좋다. 이렇게 하면 황사가 직접 피부에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강한 햇빛도 막을 수 있다. 여성의 경우 치마 대신 바지를 입는 등 노출이 적은 옷을 택하는 게 먼지와의 직접 접촉을 막아 황사 예방에 효과적이다. 그렇지만 가장 좋은 예방법은 먼지를 꼼꼼히 씻어내는 것이다.
허충림 경희의료원 피부과 교수는 “피부에 붙은 황사 먼지를 긁거나 문지르지 말고 잘 씻어내야 한다”면서 “체질에 맞는 전문 제품을 이용해 세안한 뒤 다시 비누로 마무리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중 세안을 마친 뒤에는 스킨, 로션, 에센스, 영양크림 순으로 화장품을 발라 지친 피부에 활력을 주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황사는 탈모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왁스나 무스, 겔 같은 제품을 쓰지 말고 머리카락 속 먼지를 자주 털어내야 한다. 일상 생활에서는 비타민이 풍부한 야채나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고, 적당한 운동과 수면시간을 유지해 피부 스트레스를 줄이는 기본 수칙을 충실히 지키는 것도 도움이 된다.
황사가 심할 땐 아예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 박명재 경희의료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실내에도 황사가 들어올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기를 사용하면서 가습기로 실내 습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다”며 “노약자나 폐 기능에 장애가 있는 환자는 외부 출입을 자제하고 나들이 때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또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면 기관지 안쪽이 건조해지지 않아 가래 배출에 도움이 된다. 기관지 섬모 기능을 방해하는 흡연도 자제해야 한다.
◆ 콘택트렌즈 대신 안경 착용으로 눈 보호 = 황사에 들어있는 공해물질은 눈을 자극해 자극성 각결막염과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눈이 가렵고 이물질이 낀 듯한 느낌이 들면서 눈을 비비면 충혈되고 끈끈한 진물이 나오는 게 대표적인 증상이다. 이럴 때는 틈틈이 미지근한 물로 눈을 씻어내야 한다. 소금물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좋지 않다. 물속에서 눈을 깜빡거리거나 얼음찜질을 해도 차도가 없으면 함부로 안약을 쓰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특히 콘택트렌즈를 끼는 사람은 황사가 심한 날엔 렌즈를 쓰지 않거나 부득이한 경우 보호안경을 끼고 외출하는 게 안전하다. 눈물 분비가 줄어 눈이 빡빡한 느낌을 호소하는 안구건조증 환자도 황사 때에는 증상이 심해질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 피부엔 ‘잘 씻는 습관’ 최고 = 황사는 피부를 자극해 가렵고 따가워지는 증상을 불러온다. 또 봄에는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면서 피지 분비가 증가하는데 이때 황사에 실려온 먼지가 날아다니다 모공을 막게 되면 여드름, 뾰루지도 늘게 된다.
황사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려면 외출할 때 맨 얼굴보다는 가벼운 화장을 하거나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게 좋다. 이렇게 하면 황사가 직접 피부에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강한 햇빛도 막을 수 있다. 여성의 경우 치마 대신 바지를 입는 등 노출이 적은 옷을 택하는 게 먼지와의 직접 접촉을 막아 황사 예방에 효과적이다. 그렇지만 가장 좋은 예방법은 먼지를 꼼꼼히 씻어내는 것이다.
허충림 경희의료원 피부과 교수는 “피부에 붙은 황사 먼지를 긁거나 문지르지 말고 잘 씻어내야 한다”면서 “체질에 맞는 전문 제품을 이용해 세안한 뒤 다시 비누로 마무리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중 세안을 마친 뒤에는 스킨, 로션, 에센스, 영양크림 순으로 화장품을 발라 지친 피부에 활력을 주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황사는 탈모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왁스나 무스, 겔 같은 제품을 쓰지 말고 머리카락 속 먼지를 자주 털어내야 한다. 일상 생활에서는 비타민이 풍부한 야채나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고, 적당한 운동과 수면시간을 유지해 피부 스트레스를 줄이는 기본 수칙을 충실히 지키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D&EMR (0) | 2008.03.17 |
---|---|
AV SHUNT (0) | 2008.03.11 |
스트레스 방치로 나타날 수 있는 질환 (0) | 2008.03.04 |
황사질환의 종류와 예방법 (0) | 2008.03.04 |
언어장애진단검사방법 (0) | 2008.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