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수용 - 표현 언어 검사(REEL)
1)대상: 3세까지
2)목적: 아동의 언어발달 결함을 조기에 진단함으로써 재활 및 중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3)저자: 김영태
4)제작 년도: 1994
그림어휘력 검사(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edition(PPVT-R)
1)대상: 2세 0개월 - 8세 11개월
2)목적: 수용어휘능력을 측정한다.
3)저자: 김영태 장혜성
4)제작 년도: 1995
5)발행처: 서울 장애인 종합 복지관
문장이해력 검사
1)대상: 4-6세 11개월 아동
2)목적: 문장이해능력 수준을 측정한다.
3)발행처: 서울장애인 종합 복지관
유아 언어 검사 - 취학전 아동의 표현언어와 수용언어 수준검사
Preschool - Language Scale (PLS)
1)대상: ~7세까지
2)목적: 아동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연령을 알 수 있다.
3)저자: 김영태
4)제작 년도: 1994
구어-언어 샘플링
1)목적: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및 결함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평소에 사용하는 구어 및 언어가 대표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이 수집되어야 한다.
언어이해 인지력 검사
1)대상: 3-5세 11개월의 학령 전 아동
2)목적: 언어 이해력 및 인지능력을 평가한다.
언어평가 검사도구를 조사하면서....
언어평가 검사도구의 종류
1. 상징놀이검사
2. REEL: 유아 수용-표현 언어검사
3. Pragmatic 언어능력 검사 (화용론)
4. 그림어휘력 검사
5. 그림자음검사
6. 초기 언어발달검사
7. 웨스턴 실어증 검사
8. 노스웨스턴 구문선별 검사
9. 문장이해력 검사
10. 유아 언어 검사
11. 구어-언어 샘플링 양식
12. 언어이해/인지력 검사
13.Evaluating Acquired Skills in Communication (EASIC
14.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및 그에 필요한 인지발달
15. 구강조음기관의 기능선별검사
16. 말더듬 인터뷰 양식
17. 스토커 프로브 테크닉: 아동용 말더듬 진단 및 치료
언어 장애 진단 도구
1. 진단 평가의 기준
아동의 언어발달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은 크게 심리측정적인 방법과 기술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평가 방법은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심리 측정적 평가 (Psychometric Assessment)
심리측정적 평가는 아동이 언어 발달에 문제가 있는지의 유무를 결정하거나, 또래에 비해 또는, 같은 언어 수준인 아동에 비해 아동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살펴볼 때 많이 사용한다. 즉 Norm이나 average에 기초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Norm-data와 비교하여 결과를 해 석하여 아동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준다.
◆ 심리측정적 접근 방법을 사용한 진단 도구
그림 어휘력 검사 , MCDI-K(the McArthur Communication Development Inventory-Korean), EOWPVT-K(Expressive one Word Picture Vocabulary Test-Korean) , TOLD(Test of Language Development) ; TELD(Test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 , TPS(Test of Problem Solving).
(2) 기술적 평가(Descriptive Assessment)
또래 아동과의 수적인 비교보다는 아동의 문법, 의미, 말소리, 화용 등 언어 능력을 기술함 으로써 아동의 언어 특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밖에 듣기 능력, 전반적 표현 능력도 기술할 수 있다. 기술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진단할 때는 아동의 발화를 수 집(utterance sampling)하여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언어를 깊이 있게 평가한다.
2. 진단 평가 도구
(1) 음운 평가
① 그림 자음 검사
생활 연령 만 3세 이상의 아동을 대상으로 평가가 가능하다. 모두 21개의 그림 카드를 제시하고 아동이 그림을 보고 자발 발화한 것을 전사하여 분석한다. 21개의 그림에서 모 두 25개의 단어들이 유도되며, 이로부터 19개의 음소를 3개 조음 위치에서 평가하여 총 43개 중 몇 개가 정조음 되었는가를 분석한다.
② 한국어 일음절 낱말 발음 검사
50개의 일음절을 제시하여 낱말의 조음을 평가한다. 다양한 조음 환경과 조음 위치에서 각 음소가 어떻게 조음되는가를 알 수 있다.
③ 한국어 발음 검사
그림 발음 검사(낱말)와 문장 발음 검사로 구분된다. 그림 발음 검사는 한글을 해독하지 못한 아동들을 대상을 그림을 보여주고 해당 낱말을 조음하도록 하여 검사하고, 문장 발 음 검사는 한글을 읽을 수 있는 아동과 성인에게 해당 문장을 읽혀서 조음을 검사한다.
④ 한국어 자음 선별 검사
22개 단어를 그림으로 제시하여 검사한다. 어두 초성, 어중 초성, 어중 종성, 어말 종성의 4개 위치에서 19개의 음소가 어떻게 조음되는가를 분석하여 총 48개 중 몇 개가 정조음 되었는가를 백분율로 나타낸다.
(2) 의미 평가
① 그림 어휘력 검사
만 2세 - 7세 11개월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낱말 이해력을 lexicon size에 의거해 측정 한다.
② MCDI-K(the M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n)
8개월 - 30개월의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 보고에 의해 아동의 어휘 발달을 체크하는 검사이다. 600여 개의 낱말이 범주별로 묶여 있으며, 낱말 이해 및 표현 영역을 보호자가 체크하도록 되어 있다.
③ EOWPVT-K(Expressive one Word Picture Vocabulary Test-Korean)
만 2세 - 11세 11개월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100개의 낱말에 대한 그림을 제시하고 명명하게 하는 검사이다.
④ 문장 이해력 검사
만 4세 - 6세11개월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문장에 대한 이해 수준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모두 2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점수로 백분위 점수와 등가 연령을 산출할 수 있다.
⑤ 언어 이해 인지력 검사
만 3세 - 5세11개월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언어 이해력과 인지력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아동의 생활 연령에 따라 시작하는 문항이 다르며, 원점수에 따라 백분위 점수와 등 가 연령을 산출할 수 있다.
(3) 문법 평가
① KDLS(Korean Developmental Language Scoring)
문법 형태소와 구문 구조의 하위 영역을 기술하여 분석하며, 아동의 문법 형태소와 구문 구조 발달 특성에 대해 동일 연령 아동․언어 연령이 같은 아동과 비교하여 profile을 그 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사, 의존명사, 어미, 이은 문장, 안긴 문장 등 문법의 하위 영 역별로 체크할 수 있다.
② TOLD(Test of Language Development)
TOLD 검사는 검사 대상 연령에 따라 두가지 version으로 나누어져 있다. TOLD-P(primary)는 4세부터 8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검사이며 우리나라에 번역 되어 나와 있다.
TOLD-I(intermediate)는 8세부터 11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검사이며 우리나라 에는 번역되어 있지 않다.
◆ TOLD의 하위 검사들
Picture Vocabulary , Oral Vocabulary , Gram. Understanding , Sentence Imitation , Grammatical Completion , Word Discrimination , Word Articulation , SectionⅡ. Profile of Scores , Quotients.
(4) 화용 평가
① CSBS(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
만 8개월부터 24개월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검사이며, 엄마가 함께 할 수 있다. 반드 시 video taping을 하고, video를 보며 전사하고 분석해야 한다.
전사할 때는 의사소통 의도가 보이는 vocalization이나 gesture 가운데 상대방에게 전달 된 것만을 기록한다. 또, 아동의 의사소통 수단, 기능, 사회성과 화용적 기술 등을 평가할 수 있다. 이 검사는 40-50분 정도 소요되며, 아이에 따라 두 번에 걸쳐 할 수도 있다.
② 언어 문제 해결력 검사
만 5세부터 12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검사이다. 각각 상황이 다른 17장면의 그림 판을 사용하며, 아동에게 open question을 질문하면 아동이 서술형으로 대답한다.
(5) 다(多)영역에 걸친 평가도구
① PRESS(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만 2세부터 6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검사이다. 언어 발달의 지체 여부 판별, 수용 언어 및 표현 언어 발달간의 차이, 구체적인 언어 영역들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② TELD(Test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
1세부터 8세 11개월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검사이다. 관찰에 대한 서술적 묘사를 기 록하는 format이며 모두 68문항으로 되어 있다. Syntax와 Semantics 모두를 관찰할 수 있으나 다소 광범위하고 개략적이다.
③ EASIC(Evaluating Acquired Skills in Communication, Pre-Language Level)
만 3개월부터 8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검사이다. 언어 이전 단계와 언어 이해 Ⅰ, Ⅱ단계, 언어표현Ⅰ,Ⅱ의 다섯 단계로 나누어 의사소통 기능을 검사할 수 있으며, 평가 후 각 항목 별 치료와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④ REEL(Receptive-Expressive Emergent Language Scale)
0 개월부터 36개월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보호자와의 상담을 통해 검사가 이루어진다.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 두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3개월 간격으로 각 영역당 3문항 씩으로 구성되어 있다.
⑤ PLS(Preschool Language Scale) - Zimmerman & Steiner(1979),
만 1세부터 7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검사이며, 청각적 이해 능력(수용 언어 능력)과 언어 표현 능력을 모두 평가할 수 있다. 언어 발달의 초기 단계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전반적인 screening검사로 유용하다.
(6) 컴퓨터 프로그램
① KCLA(Korean Computerized Language Analysis)2.0
언어학, 아동 언어학, 언어 병리학의 연구를 토대로 언어 임상가들이 발화 자료를 한국어 의 특성에 맞게 분석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어 발화 자료를 수집하여 전사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읽을 수 있도록 코딩하면, 여러 가지 언어 발달 지표들을 자동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분석 해준다. 1세 - 5세 아동의 기초 비교 자료 평균과 표 준편차를 제공하고 있으며, 아동의 언어 능력 평가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가능하다.
② RIC(Reading Inventory for the Classroom)
초등학생 이상의 아동이면 평가가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읽기 오류 유형 분 석을 통한 평가뿐 아니라 교수 과정으로의 연계가 가능하다.
③ RPA(Reading Performance Assessment)
초등학생 이상의 아동이면 평가가 가능하다. 읽기 수행 능력을 측정하여 이에 적절한 교 수 계획과 중재 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검사 자료의 관리 시스템이 다.
(7) 발화 분석
아동이 의사소통 대상자와 상호작용 하는 동안 발화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상호작용 유형 은 검사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발화를 분석할 때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검사 목적이나 아동의 언어 단계에 따라 그 내용은 일부 달라질 수 있다.
① 의사소통 의도 평가
의사소통의 표현 방식, 선호 낱말, 의사소통 기능, 의사소통 의도, Fine-Turning의 정도, 상징 행위, 대인관계 등을 평가한다.
② 의미평가
발화 유형(Type-Token-Ratio, Number of Different Word), 의미 영역, 의미 습득 스타 일 및 기제 등을 평가한다.
③ 구문 구조 평가
MLU in words, MLU in morphemes, Mean Syntactic Length, T-unit, DSS(Developmental Sentence Analysis), ASS(Assigning Structural Stage), LSAT(Language Sampling, Analysis, and Training), LARSP(Language Assessment, Remediation and Screening Procedure) 등을 평가한다.
④ 문법 형태소 발달의 평가
⑤ 화용 발달의 평가
실제 상황에서 언어 및 말의 쓰임새가 언어적, 상황적으로 적절한가를 평가
⑥ 담화 평가
대화, 이야기, 발표 등
(8) 인지 발달 및 기타
인지 발달 검사 등은 본격적인 언어 진단 검사는 아니지만, 언어 장애가 있을 수 있는 아 동의 screening검사로 사용되고 있다. 또, 아동은 언어 뿐 아니라 사회성, 운동성, 인지 능 력등 다른 모든 부분이 발달기에 있으므로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특성을 파악하는 일도 중요하다. 자세한 평가를 원할 경우 다른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DDST(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0세부터 6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전반적인 발달 검사이다. 언어 발달, 운동, 미세 운동 및 적응 등을 간략히 평가한다.
② K-WIPPS(유아용 웩슬러 지능검사)
만 3세부터 7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능검사이다. 동작성 검사와 언어성 검사로 나뉘어 12개 하위 항목을 검사한다.
③ KEDI-WISC(아동용 개인 지능검사)
만 5세부터 15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능검사이다. 동작성 검사와 언어성 검사로 나뉘어 12개 하위 항목을 검사한다.
④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1개월부터 42개월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발달 검사이다. 정신 발달, 운동 발달, 행동 발달 등을 간략히 평가한다. 검사 후 발달지수가 산출되는데, 미국에서 표준화된 검사 결과를 근거로 한 것이므로 결과 분석에 주의해야 한다. (펌글)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방치로 나타날 수 있는 질환 (0) | 2008.03.04 |
---|---|
황사질환의 종류와 예방법 (0) | 2008.03.04 |
혈액종양 (0) | 2008.01.26 |
입냄새(구취) (0) | 2008.01.04 |
[스크랩] ‘암환자 통증관리’ 권고안 마련 (0) | 2007.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