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신경학적 진단검사

야국화 2007. 11. 10. 10:48

1. 신경학적 진단검사

1) 비침습적 검사(Noninvasive studies)

(1) 두개골 촬영술(Skull films)

적용 : 뇌의 trauma, neoplasm, fracture, Intracranial calcification등의 진단에 유의함.

(2) 척추 촬영술(Spinal films)

적용 : fracture, tumor, Infarction, congenital defect

(3) 근전도 (electromyography, EMG)

근육에 전류를 통해서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휴식기와 수축기 동안의 활동전위를 관찰

신경장애의 성격은 알 수 없으나 병소에 위치(location)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적용 : lower motor neuron 장애와 muscle disease 감별진단.

(4) 뇌파검사(electroencephalography, EEG)

전극을 두피에 꼽거나 현미전극(microelectrode)을 뇌조직에 삽입하여 뇌에서 생성되는 전기적 활동을 유도하여 그래프에 기록하는 검사.

30분-2시간 소요. 동통은 없고 후유증도 없다.

뇌파는 정상과 비정상의 뚜렷한 차이가 있으며 뇌파가 없으면 뇌사를 의미.

수면뇌파가 필요한 경우 검사전날 잠을 자지 않도록 하고 필요하면 수면제 투여.

적용 : 간질과 같은 경련성발작을 일으키는 질환의 진단,

혼수상태나 기질적 뇌질환의 진단, 뇌농양, 뇌종양, 뇌혈종, 뇌감염, 뇌상흔조직 검사시

간호 : 검사 전 24-48시간 전부터 정온제나 자극제, 커피, 차, 코코아, 콜라, 술, 담배 금지, 검사를 위해서 금식하지는 않는다. 발작이 일어나는지 잘 관찰한다.

(5) 초음파 뇌촬영술(Echoencephalography)

Ultra sound를 skull에 보내고 반향을 기록한 후 초음파를 보내어 소리가 반향(echo)되어 돌아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

병변의 원인을 알 수 없으나 병소의 위치를 제시함.

적용 : Intra cranial shift, hydrocephalus등 진단에 도움. 특히 경막하 혈종의 진단에 도움.

특별한 간호가 필요 없음.

(6) 뇌단속 촬영(Brain Scanning)

방사성 동위원소(TC99m DTPA, TC99m GH)를 정맥주입(IV), 동맥주입 또는 구강투여도 가능.

병소나 종양이 있는부위에 동위 원소를 더 많이 흡수

동위원소 주사 1시간 후, 3-4시간 후 동위원소의 축적을 기록함.

적용 : 뇌와 수막의 혈관성 병소와 혈관성 종양 검사에 유용. 뇌졸중이나 뇌농양의 조기발견 등에 이용.

(7) 컴퓨터 단층촬영술(Computerized Tomography, CT)

우리 몸을 여러 개의 단층으로 나누어서 연속 촬영하는 방법

5-6개 이상의 Horizontal slice로 scan함.

적용 : 뇌, 척수의 병소를 발견하기 위해 치료효과를 파악하고 혈관변이, 뇌위축, 경색, 부종,과 뇌수종을 발견하기 위해 흔히 사용.

(8)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9) 양전자방사 전산화 단층촬영법(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2) 침습적 검사(Invasive studies)

(1) 요추천자(Lumbar puncture, (=spinal tapping))

척추의 요추부위에 바늘을 삽입하여 척수강내의 요추부 지주막하강에 이르게 한 다음 치료 목적과 진단 목적에 따라 지주막 하강에서 뇌척수액과 다른 물질을 제거 또는 주입하는 검사.

진단목적

① 뇌척수액의 압력을 측정

② CSF 검사물을 얻기 위해

③ CSF의 순환상태를 보기 위한 척수액 역동검사

④ 뇌와 척수관의 X선 촬영을 위한 공기, 산소, 혹은 조영제를 넣기 위한 것

치료목적

① 지주막으로부터 혈액 또는 농을 제거하기 위함.

② 약물과 혈청을 주입하기 위함 (Intra thacal injection of antibiotics or steroid)

결핵성 뇌막염, 뇌에 전이된 종양이 있을 때, 항생제 항결핵제 투여.

③ 뇌압을 하강시키기 위한 뇌척수액의 제거

④ 척수마취를 하기 위함.

체위 : lateral recumbent position(측와위)자세에서 다리는 대퇴에 굴절시켜서 복부에 끌어 당겨 붙이고 어깨와 머리는 무릎을 향해 구부린다.

부위 : L3,4

방법 : hollow needle & stylet (탐침)을 이용하여 바늘이 지주막하강에 들어간 후 탐침을 제거하고 뇌척수액이 떨어지면 바늘을 압력계와 연결하여 척수압 측정 후 Q-test 실시

▶ Queckenstedt's test(퀴켄스테트 검사) -척수액 역동검사

CSF의 순환을 알아보기 위해서 척수 공간의 개방성(patency)를 확인하는 검사.

뇌척수액압을 읽은 뒤 양쪽 경정맥에 distal pressure(지압)을 가한 후에 5초 간격으로 압력을 기록

spinal tumor, vertebra dislocation(탈구), fracture로 인하여 CSF 순환 차단이 의심될 때 시행

금기 : intra cranial disease 특히 hemorrhage, ICP 상승시 Q-test 금기

☞ 퀴켄스테트 검사 음성(정상인 경우)

: 경정맥 압박하면 두부로부터 정맥귀환이 막혀서 두개강내 정맥압이 올라가서는 뇌척 수액압이 급속히 상승했다가 압박을 중지한 후 10초 후에 정상으로 되돌아감.

☞ 퀴켄스테트 검사 양성(척수종양이나 척수염으로 인한 지주막하강의 폐색)

: 척수관강 폐쇄시 경정맥을 압박하면 뇌척수액압이 상승하지 않거나 서서히 약간 올 라갔다가 내려온다.


요추천자의 검사치에서

① RBC ↑시 - hemorrhage

② WBC ↑ - infection, lymphocyte의 증가는 Tb.

③ Sugar ↓- bacterial infection

④ Protein ↑- bain tumor

⑤ Chloride ↓- bacterial infection


요추천자의 Hazard(또는 side effect)

① leakage of CSF

② infection

③ demage to intravertebral disc

④ respiratory failure

⑤ post puncture headache(most common side effect)


요추천자 검사 후 간호

① 환자를 4-24시간 동안 침상안정 but 체위변경은 권장

② 소실된 뇌척수액을 보충하기 위해서 수액공급이 필요.


간호 : 검사 4-6 시간전부터 금식



(2) 척수촬영법(Myelography: 척수조영술)


요추천자를 하면서 소량의 뇌척수액을 빼내고 spinal subarachnoid space에 air나 contra media(pantopaque; 지용성 조영제)를 주입한 후 spinal cord와 vertebral canal을 X-ray 촬영

적용 : spinal cord의 tumor, 추간판 탈출이나 추간판 파열 등을 진단.


(3) 기뇌촬영술(pneumoencephalography, PEG)


Lumbar puncture 통해 CSF를 빼낸 후 조영제나 산소를 주입한 후 뇌지주막하강과 뇌실계를 X-ray로 찍는 방법

적용 : 뇌실, 뇌조, 척수내 작은 종양, 뇌내 지주막하강을 탐지하고 뇌하수체를 볼 수 있음.

간호 : 검사 전 금식, permission 필요.

검사 후 또는 두통이 사라질 때까지 12-24시간 동안 머리를 낮추어 똑바로 눕도록.

방을 어둡게, 소음이나 대화는 최소한으로 줄인다.


(4) 뇌실촬영술(ventriculography)


뇌실천자해서 측뇌실에 직접 공기나 조영제를 주입하고 X-ray찍음.

국소나 전신마취하에서 두개에 구멍 만들 부위를 삭모하고 수술장에서 coronal suture부위를 2.5㎝의 구멍을 뚫는 것 외에는 기뇌촬영과 유사.

적용 : 기뇌촬영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실시

간호 : 검사 전 6-8시간 NPO. 승낙서 필요.

검사 후 머리를 10-15도 상승.


(5) 뇌혈관 촬영술(Cerebral Angiography)

뇌의 혈관을 보기 위하여 방사성 조영제를 두부나 경부의 혈관내로 주입하여 방사선으로 촬영함으로써 동맥류, 동정맥 기형, 종양, 부종, 헤르니아 형성, 등으로 인한 장기의 위치변화 등 발견

경동맥, 상완동맥, 대퇴동맥 등으로 조영제 주입시 작열감, 온감 등이 4-6초간 지속됨.

간호 : 검사 전 금식

검사 후 검사부위 압박 15분간, 활력징후, 충분한 수분공급


3) 신경학적 진단검사 후 간호(Nursing Observation after Neurodiagnostic studies)


☞ AROMA

① Alertness

② Respiration

③ Ocular change

④ Movement

⑤ Autonomic dysfuction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분석  (0) 2007.11.14
진료실적 지표 분석  (0) 2007.11.14
흔한 사지골절  (0) 2007.11.10
신경학적검사  (0) 2007.11.10
감마나이프 시술  (0) 2007.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