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관련 ⊙ 유방암 Base 1.유방암 수술과 수술 전/후 치료법 수술적 치료는 크게 유방부분절제술 (유방보존술)과 유방전절제술로 나눌 수 있다. 최근 겨드랑이 림프절 곽청술로 인한 림프부종 등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임상적으로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에게는 겨드랑이 감시 림프절 .. 의학상식 2018.03.15
척추 압박 골절 흉요추 골절 1. 흉,요추부 골절이란 척추는 신체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체중을 하지로 전달하고 몸의 균형과 중심을 잡는 부위입니다. 특히 뇌와 장기 및 사지 간의 신호를 전달해주는 신경의 줄기(척수)가 지나가는 통로로써, 이 신경을 보호해 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 의학상식 2018.03.09
부르가다 증후군(Brugada Syndrome) 부르가다 증후군(Brugada Syndrome) 증상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심실세동, 심실 부정맥, 돌연사, 실신, 어지러움 관련질환부정맥, 심실세동, 심실빈맥, 발작성상심실성빈맥 진료과심장내과 동의어 부르가다,브루가다,브루가다 증후군 정의 1992년 학계에 처음 보고된 질환으로 유전에 의한 .. 의학상식 2018.02.23
Lactate,젖산 혐기성 대사의 최종산물로 주로 뇌, 위장관,피부,적혈구,골격근에서 생성된다. 심한 패혈증이나 쇽환자는 감염이나 심박출부전으로 혈관이 확장하고 이로인해 동맥순환이 장애를 겪는다. 이와같이 혈류량이 감소하게되면 조직전반에 걸쳐 저산소증이 초래되는데 이는 혈청유산 증가와 .. 의학상식 2018.02.22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면역 글로블린 G,M 구분 임상적 의의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면역 글로블린 HAV-Ab(IgG) HAV는 잠복기 말기 및 급성 전구기 환자의 간, 담즙, 대변, 및 혈액에 존재하나 황달기에 접어들면서, 단 기간 내에 급속히 대변 및 혈액 내 에서 소실되며 대변 취급시 불쾌감 번거로움 때문에 HAV 입자의 검출은 임상.. 의학상식 2018.02.21
PIVKA II[피브카 2 정량검사(Proteins Induced by Vitamin K Absence or Antagonis)] 피브카 2 정량검사(Proteins Induced by Vitamin K Absence or Antagonis) 정의 간에서 생성되는 응고인자인 프로트롬빈의 비정상적인 형태입니다. PIVKA II는 간 종양에서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간세포암종의 존재나 재발을 의미하는 종양표지자로서 유용하게 작용합니다. 간세포암종은 간염과 간경화.. 의학상식 2018.02.21
갱년기 남성 갱년기 (Andropause) 질환개요 갱년기란 보통 40대 후반에서 50대에 접어들면서 성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되어 여러 가지 신체상의 변화가 초래되는 시기를 말하며 이때 나타나는 신체 및 정신사회학적 증상들을 갱년기 증상이라 한다. 여성과 마찬가지로 남성의 경우도 남성 호르몬인 테.. 의학상식 2018.02.06
ECMO[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 에크모 (ECMO)는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의 약자입니다. 우리말로 체외(extracorporeal) 막형(membrane) 산화기(oxygenation 혹은 oxygenator)라고합니다. 요즘은 일반인들도 그냥 "에크모"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에크모는 영어로된 용어 그대로 혈액을 몸 밖으로 빼내어 산소화.. 의학상식 2018.02.06
본태성진전이란 본태성진전이란 개요 본태성진전이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원인에 의해 신체 부위가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규칙적으로 떨리는 증상을 말합니다. 진전은 근육들이 반복적이고 규칙적으로 수축하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대부분의 정상적인 사람들도 살아가는 동안 힘든 운동 후, 흥분.. 의학상식 2018.02.06
총 콜레스테롤 수치 계산하는 법 총 콜레스테롤 수치 계산하는 법총콜레스테롤 = HDL Cholesterol + LDL Cholesterol + Trigryceride/5 콜레스테롤은 지방 성분(지질이라고도 한다)의 일종으로 혈액과 함께 혈관을 타고 순환하는 물질이다. 콜레스테롤은 세포의 세포막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이지만 과도한 양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 의학상식 2018.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