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콜레스테롤 수치 계산하는 법
총콜레스테롤 = HDL Cholesterol + LDL Cholesterol + Trigryceride/5
콜레스테롤은 지방 성분(지질이라고도 한다)의 일종으로 혈액과 함께 혈관을 타고 순환하는 물질이다. 콜레스테롤은 세포의 세포막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이지만 과도한 양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나쁜"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면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이 발병할 수도 있다. 이 증상은 동맥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면서 좁아지는 것으로 심장마비와 뇌졸중 등을 유발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미국의 경우, 미국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미국 총 인구의 31.7%인 7천3백5십만 명이 높은 LDL 수치를 가지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1] 이 글을 통해 자신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계산하는 방법과 각 수치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배워서 심장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자.
병원에 가기. 병원에 가면 혈액 검사(지질 농도 확인용)를 통해 혈중 LDL, HDL,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를 확인할 것이다. 이 세 가지 성분이 총 콜레스테롤 수치 계산을 위해 필요한 준비물이다LDL은 저밀도 지단백질이며 LDL과 VLDL(초저비중 지단백질)을 합친 값으로 나오게 된다. LDL은 시간이 지나게 되면 동맥에 침착 되면서 동맥의 지름을 좁아지게 만들어 심장마비, 뇌졸중을 비롯한 기타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이 LDL을 두고 흔히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부른다.
HDL은 고밀도 지단백질이다. HDL이 하는 일은 혈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혈액 속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다시 운송하는 것이다. 즉,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데 기여한다. 그래서 이를 두고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부른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혈액 속에 있는 다른 형태의 지방 성분이며 동맥 경화증의 또 다른 원인이 된다. 이는 LDL과 마찬가지로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심혈관 질환과 합병증의 위험을 높인다.
병원 가기 전에 단식하기. 다양한 성분의 정확한 결과가 나오길 원한다면 혈액을 채취하기 9~12시간 전부터 아무것도 먹지 않는 것이 좋다.[3] 이렇게 단식을 하는 이유는 각 성분의 최소치가 식사에 의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식을 하기 전에 물을 마셔두도록 하자. 단식 중에 마시는 것도 괜찮으나 대부분의 경우 마시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이상적(건강) - 60mg/dL 이상
심장 질환의 위험이 있는 수준 - 41~59mg/dL
심장 질환 고위험군 - 40mg/dL 미만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 확인하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LDL과 마찬가지로 높을수록 죽상동맥경화증(동맥의 축소 및 경화), 심장마비, 뇌졸중 등의 위험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150 mg/dL 미만을 건강하다고 본다. 따로 앓고 있는 질환이 없다면 아래 기준을 따른다:[6]
이상적 - 150mg/dL 미만
약간 높음 - 150~199mg/dL
높음 - 200~499mg/dL
매우 높음 - 500mg/dL 이상
총 콜레스테롤 계산을 위해 공식 사용하기. 위의 세 가지 수치를 얻었다면 이제 간단한 식에 대입해서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구해보도록 하자. 다음을 보자:[7]
LDL + HDL + (트리글리세라이드/5) = 총 콜레스테롤.
예를 들어 LDL이 100이고 HDL이 60이며, 트리글리세라이드가 150으로 나왔다고 해보자. 이를 식에 대입하면 100 + 60 + (150/5)으로 나오게 된다.
총 콜레스테롤 수치 계산하기. 공식에 값을 다 대입했다면 이제 간단한 사칙연산을 통해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계산할 수 있다.
위에서 사용한 예시를 살펴보자: 100 + 60 + (150/5) = 100 + 60 + 30 = 190이 될 것이다.
인터넷에서 계산기를 검색하면 각각의 숫자를 넣어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계산해주는 계산기를 찾아볼 수 있다.[8]
총 콜레스테롤 수치 평가해보기. 위에서 설명했던 각 값과 마찬가지로 총 콜레스테롤 역시 건강한 것부터 매우 위험한 것까지 수치에 따라 나뉘게 된다. 일반적으로 200 mg/dL 미만을 건강하다고 본다. 따로 앓고 있는 질환이 없는 경우 아래 기준을 따르니 참고해보자:[9]
이상적 - 200 mg/dL 미만
살짝 높음 - 200~239 mg/dL
높음 - 240 mg/dL 이상
콜레스테롤 수치 낮추기. 만약 총 콜레스테롤과 관련된 수치가 하나라도 위험한 수준에 있다면 의사가 이를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줄 것이다. 아래를 살펴보자:[10]
포화 지방 및 트랜스 지방, 소금, 설탕을 적게 섭취하자.
과일, 채소, 콩류, 통곡물, 저지방 단백질(육류) 등의 건강한 음식을 섭취하자.
매일 최소 30분의 유산소 운동을 하자.
금연을 하자.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자.
콜레스테롤 수치는 하나의 지침을 뿐이다. 실제로 심장 질환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의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
보건복지부고시 13-210(시행일;2014.1.1)
고지혈제
허가사항 범위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 투여한 경우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순수 고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혈증
1) 투여대상
가) 위험요인*이 0~1개인 경우: 혈중 LDL-C≥160 mg/dL일 때
나) 위험요인*이 2개 이상인 경우: 혈중 LDL-C≥130 mg/dL일 때
다) 관상동맥질환 또는 이에 준하는 위험(말초동맥질환, 복부대동맥류, 증상이 동반된 경동맥질환, 당뇨병)인 경우:혈중 LDL-C≥100 mg/dL일 때
라) 급성 관동맥 증후군인 경우: 혈중 LDL-C≥70 mg/dL일 때
2) 해당 약제: HMG-CoA 환원효소억제제, 담즙산제거제, Fibrate계열 약제 중 1종
나. 순수 고트리글리세라이드(TG)혈증
1) 투여대상
가) 혈중 TG≥500 mg/dL일 때
나)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혈중 TG≥200 mg/dL일 때
2) 해당 약제: Fibrate 계열, Niacin 계열 중 1종
다. 고LDL-C 및 고TG혈증 복합형
1) 투여대상
가. 순수 고LDL-C혈증 과 나. 순수 고TG혈증에 해당하는 경우
2) 해당 약제
LDL-C 및 TG에 작용하는 약제별로 각각 1종씩 인정
라. 약제투여는 치료적 생활습관 변화(therapeutic lifestyle changes)를 병행하여 실시토록 권장함
* 위험요인
① 흡연
② 고혈압(BP≥140/90 mmHg 또는 항고혈압제 복용)
③ 낮은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40 mg/dL)
④ 관상동맥질환 조기 발병의 가족력(부모, 형제자매 중 남자<55세, 여자<65세에서 관상동맥질환이 발병한 경우)
⑤ 연령(남자≥45세, 여자≥55세)
※ HDL-C≥60 mg/dL은 보호인자로 간주하여 총 위험요인 수에서 하나를 감한다.
(사유)
*국내외 가이드라인의 권고사항을 반영하여 투여기준을 ‘총콜레스테롤’에서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로 변경하고, 위험요인 분류 및 위험요인별 약제 급여인정 LDL-C 수치를 합리적으로 조정함.
*국내외 가이드라인의 권고사항을 반영하여 급여인정 TG 수치를 변경함.
*고LDL-C혈증과 고TG혈증의 변경된 사항을 반영함
*국내외 가이드라인에 의거, 고지혈증치료제 투여와 치료적 생활습관 변화를 병행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권장함.
*국내외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위험요인을 변경함.
*부가적인 설명에 해당하므로 삭제하여 기준을 정비함 :상동
-------------------------------------------------------------------------
고혈압, 고지혈증 환자를 위한 식사요법 지침
고혈압 및 고지혈증 환자를 위한 식사
- 곡류군
- 섬유소는 혈관내의 과다한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을 감소시켜 주어“혈관 청소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쌀밥보다는 섬유소가 많은 잡곡밥으로 드십시오
- 어육류군
- ω(오메가)-3 지방산이 많은 등 푸른 생선을 자주(주3~4회) 섭취하세요.
- 저염소스를 이용하여 염분은 적지만 맛있게 드십시오.
- 국은 찌개나 된장국 대신 염분이 적은 맑은 국으로 자주 드십시오. 국물 양은 가능한 소량 섭취하는 것이 식사 내 염분 섭취를 줄이는 좋은 방법입니다.
- 야채군
- 섬유소가 많은 야채를 매끼 두 접시 이상 충분 량 드십시오.
- 항 산화비타민과 무기질이 많은 짙은 색 야채를 자주 드십시오.
- 드레싱은 마요네즈 대신 과일이나 식물성 기름(참기름, 들기름, 올리브 오일)을 이용하십시오.
- 일반 김치보다 염분이 적은 겉절이 김치나 물김치 건더기로 드세요. 김치는 염분이 많으므로 한끼에 5쪽 이하로 드세요.
- 우유군
- 우유의 유지방은 심혈관 질환에 해가 되는 지방입니다. 따라서 유지방 함량이 적은 저지방 우유나 탈지우유, 두유로 드십시오.
- 과일군
- 섬유소와 항산화 비타민이 많은 과일은 1일 1~2회 섭취하십시오. 가능한 색이 짙은 과일로 선택하시면 심혈관 질환에 도움이 되는 항산화 비타민을 보다 충분 량 토마토 취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시의 식사요령
- 체중조절
- 비만하거나 체중이 과다하다면 혈압감소를 위해 체중을 줄여야 합니다.
- 불필요한 외식이나 간식을 먼저 줄이도록 하십시오.
- 식사를 거르지 않고 반드시 1일 3회 하십시오.
- 밥 량은 약간 줄이고 야채 등의 반찬을 다양하게 드십시오.
- 염분 조절
- 고혈압 환자가 염분 섭취를 1/3정도로 줄이면 수축기 혈압4.9mmHg, 이완기혈압 2.6mmHg이 감소됩니다.
- 일반적으로 1일 6g 이하로 제한합니다.
- 염분 제한을 위해서는 찌개, 국 등의 국물, 염장식품(김치, 장아찌, 젓갈), 가공식품(라면, 소세지) 섭취를 줄이고 싱겁게 드십시오.
- 알코올 제한
- 과다한 알코올 섭취(4잔 이상)는 혈압을 상승시키므로 알코올 섭취는 제한합니다.
- 일반적으로 남자는 1일 2잔, 여자는 1잔 이하로 제한합니다.
- 무기질 섭취 (칼륨, 칼슘, 마그네슘)
- 무기질이 많은 야채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면 혈압을 감소시킵니다.
- 야채는 1일 6접시, 과일은 1일 1-2회 충분히 섭취하십시오. 흰밥 대신 무기질이 많은 잡곡밥으로 드십시오. 칼슘 공급을 위해 저지방 유제품을 1일 1회 이상 섭취 합니다.
고지혈증 식사요령
- 포화지방 제한
- 나쁜 지방인 포화지방 섭취를 줄이십시오.
- 동물성 지방: 삼겹살, 갈비, 닭고기 껍질, 유지방(생크림)
- 식물성 지방(야자유, 코코넛유): 프림, 라면, 과자
- 콜레스테롤 섭취 제한
- 다음의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은 주 2회 정도로 제한합니다.
- 알 류: 계란, 메추리 알 노른자, 생선 알
- 내장 류: 곱창, 간, 허파, 창난젓, 아가미 젓
- 해물 류: 장어, 새우, 낙지, 오징어
- 불포화지방산 섭취
- 식물성 기름은 다양하게 섭취하고 특히 오메가 3지방섭취는 주 2회 이상 섭취하십시오.
- 오메가3지방: 등 푸른 생선, 들기름
- 오메가6지방: 콩기름, 옥수수기름
- 단일불포화 지방: 올리브유, 카놀라유
- 섬유소 섭취
- 식이 섬유소는 혈액 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감소시킵니다.
- 흰밥대신 잡곡밥으로 드십시오.
- 야채(1일 6접시), 과일(1일 1-2회)을 충분히 드십시오.
- 알코올 및 단순당 제한
- 알코올과 단순당 (사탕, 과자, 단 음료수 등)은 혈액 내 중성지방을 증가시킵니다.
- 중성지방이 높다면 금주하시고
- 알코올은 1일 1-2잔 이하로 제한합니다.
- 단순당 섭취를 줄입니다.
- 항 산화영양소 섭취
- 비타민 등 항산화 영양소는 혈관손상을 줄이고 호모시스테인 증가를 감소시킵니다.
- 항 산화영양소가 함유된 야채,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고, 특히 색이 진한 것으로 드십시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MO[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 (0) | 2018.02.06 |
---|---|
본태성진전이란 (0) | 2018.02.06 |
잠꼬대, 잠버릇, 수면장애. 악몽, 렘(REM)수면 행동장애? (0) | 2018.01.30 |
세가와병,도파 반응성 근육긴장이상(dopa-responsive dystonia;DRD) (0) | 2017.12.06 |
회전근개 증후군, 오십견 (0) | 2017.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