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급여심사기준

2020-136호 「1인실 기본입원료 지원 대상 등의 요건에 관한 고시」제정ㆍ고시 20.7.1

야국화 2020. 6. 30. 14:39

2020-136호 「1인실 기본입원료 지원 대상 등의 요건에 관한 고시」제정ㆍ고시 20.7.1

담당자 : 천민영( ☎ 044-202-2668 )/ 예비급여과/ 제정
분류 : 고시/제·개정일 : 2020-06-29/발령번호 : 2020-136호

 

○ 주요 개정 사항

- 아동·분만병원의 요건 마련

○ 시행일

- 2020년 7월 1일부터 시행

※ 자료 제출 관련 문의처: (033) 739-5853∼4(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문병원지정평가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0 - 136호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2 제4호가목에 의한 「1인실 기본입원료 지원 대상 등의 요건에 관한 고시」를 다음과 같이 제정ㆍ고시합니다.

2020년 6월 29일
보건복지부 장관


1인실 기본입원료 지원 대상 등의 요건에 관한 고시(안)

제1조(목적) 이 고시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기준에 관한 규칙’이라 한다)

   별표2 제4호가목에 따라 1인실 기본입원료 지원 및 일반병상 의무보유 비율 기준 완화 대상 병원

   (이하 “아동·분만병원” 이라 한다)의 요건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요건) 아동·분만병원의 요건은 별표와 같다.

제3조(재검토 기한) 보건복지부장관은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 후의

   법령이나 현실여건의 변화 등을 검토하여 이 고시의 폐지, 개정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하는 기한은 이

   고시를 공포하는 날로부터 3년이 되는 시점까지로 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2020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1인실 기본입원료 지원 대상 등의 요건에 관한 고시 [별표]

 

1인실 기본입원료 지원 대상 등의 요건(2조 관련)

 

1. 질환별·진료과목별 환자의 구성 비율

  . 다음 표의 구분에 따라 해당 병원이 진료한 전체 입원 연환자(특정기간동안 입원 환자의 입원일수를

       환자수로 환산한 연인원을 말한다. 이하 같다) 중 주요 진단 범위 또는 환자 유형에 속하는 환자의

       구성 비율이 각각 해당 기준 이상이어야 한다. 질병군별(DRG) 포괄수가제가 적용되는 분야의 경우

       해당 병원이 진료한 전체 입원 실환자(특정기간동안 실제 입원한 환자의 수를 말한다. 이하 같다)

       산출할 수 있다.

  구분

주요 진단 범위(Major Diagnosis Category)

또는 환자 유형

환자의 구성 비율
질환

주산기(周産期)

(분만)

 

MDC 'O' 임신, 출산, 산욕(産褥),

1세 이하인 환자(정상신생아 제외)

 

25%(각각)
진료
과목

산부인과

(분만)

 

MDC 'N' 여성 생식기 질환 및 장애,

MDC 'O' 임신, 출산, 산욕(産褥)(MDC 'P' 신생아포함)

 

45%(한 가지 주요 진단 범위에 속하는 비율) 또는
66%(두 가지 주요 진단 범위에 속하는 비율)

 

소아청소년과

(아동)

 

18세 이하인 환자

 

66%

  나. 가목에 따른 환자의 구성 비율은 신청일 기준 전년도 1년간의 입원환자 진료실적을 기준으로 한다. 이 경우

      「의료법3조제2항 각 호에 따른 의료기관의 종류가 변경된 의료기관의 경우에는 변경 전후 동일성이

      인정되는 해당 진료실적을 포함한다.

 

2. 필수 진료과목

다음 표의 구분에 따라 질환별 또는 진료과목별로 필수 진료과목을 갖추어야 하고, 필수 진료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한다. 이 경우 필수 진료과목은 신청일 기준 전년도 1231일을 기준으로 하고, 해당 필수 진료

과목에 전속하는 전문의는 신청일 기준 전년도 1년간의 근무실적을 기준으로 한다.

질환/진료과목

필수 진료과목

전문의 수

질환

주산기질환(분만)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7명 이상

진료과목

산부인과(분만)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7명 이상

소아청소년과(아동)

소아청소년과

 

5명 이상

3. 의료 인력

. 다음 표의 구분에 따라 질환별 또는 진료과목별로 전문의 인정 진료과목에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한다.

. 가목에 따른 의료 인력은 신청일 기준 전년도 1년간의 근무실적을 기준으로 한다.

 

4. 병상

다음 표의 구분에 따라 질환별 또는 진료과목별로 최소한의 병상 수를 갖추어야 한다. 이 경우 병상 수는 신청일 기준 전년도 1231일을 기준으로 한다

질환/진료과목 최소 병상수
주산기 질환,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50

5. 지정기준 완화적용

신청한 기관이 서울특별시 이외의 지역에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이 완화하여 적용한다.

구분 완화적용비율 완화적용결과
의료인력
(전문의)
7인 40% 4인
5인 40% 3인
병상 50병상 40% 30병상

6. 신규개설 병원 적용기준

신규개설하여 신청일 기준 전년도 1년간의 진료실적, 근무실적 등이 없는 병원의 경우 개설일부터 신청일 전월까지의 진료실적, 근무실적을 기준으로 평가하고, 필수 진료과목과 병상 수는 신청일 기준으로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