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심사)사례

신포괄수가제 시범사업 진단코딩 심사기준 및 사례 공개[불명열2017.9]

야국화 2017. 9. 20. 10:34

신포괄수가제 시범사업 진단코딩 심사기준 및 사례 공개

□ 기준 및 사례 공개목적
 ○ 진단코딩 심사기준 및 사례를 공개함으로써 진단코딩 심사의 투명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고 시범기관이 올바른 진단코드를 기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올바른 진단코드 기재를 통해 보건의료 통계 생산과 신포괄수가의 적정성을 확보하고자 함

□ 진단코딩 심사기준

 R50.9 상세불명의 열(Fever, unspecified)진단코딩

 ○ 관련근거: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질병코딩지침서 (ver.2016)
 ○ II-R-2. 원인 미상의 열

    불명열 이라고도 한다. 전통적인 정의는 38.3℃ 이상의 열이 3주 이상 지속   되며 입원해서 1주일 이상 검사를 해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 그러나   최근에 아래와 같이 4가지 경우로 나눠 진단한다.

구분

환자의 상태

검사기간

흔한 추정 원인

고전적

(classic)

3주 이상의 열

3일 입원

(외래는 3회방문)

감염, 악성종양, 약물 유발성 열, 감염성 질환

병원과 관련된 (nosocomial)

입원 시에는 감염이 없었으나 입원 중에 급성으로 발병

3일 입원

패혈성 혈전정맥염, 부비동염, 거짓막성 결장염, 약물 유발성 열

호중구 감소성 (neutropenic)

호중구 < 500또는 1~2일 안에 이 수치로 될 것으로 예상

3일 입원

항문주위 염증, 아스페르길루스증, 칸디다혈증, 약물 유발성 열

HIV-관련

HIV 감염 확진

3일 입원

(외래는 4)

M. avium/M. intracellulae 감염, 결핵, 비호지킨림프종, 약물 유발성 열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고전적 열은 ‘R50.9 상세불명의 열(Fever, unspecified)'로   분류하나, 약물 유발성 열인 경우 ’R50.2 약물유발열(Drug-induced fever)'과   유발 약물에 대한 외인코드를 추가로 분류한다. 
□ 진단코딩 심사사례
사례 1

구분

(/88)

상병명

R509 상세불명의 열

질병군

T62220 발열(FUO 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

연령 >17

입원

일수

33(2016.7.10.~2016.8.11.)

진료과 : 내과

진료내역

입퇴원기록

- Dx : Fever, unspecified

- C.C: fever, G. weakness

- PHx & P/I: Rt THR (5년전), 치매(3년전) Dx

치매로 요양원에서 지내던 자로 2016.6.28~2016.7.4까지 fever를 주소로 내 원하여 입원 치료 받은 병력이 있는 자임. 퇴원 이후 특이 소견 없이 지내 던 중 내원당일 아침 의식저하, 전신쇠약 생겨 응급실 통해 입원함

날짜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BT()

36.4

36.8

36.7

36.8

36.5

36.5

36.6

36.6

36.5

36.8

36.5

날짜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BT()

36.6

36.5

38.4

36.6

36.5

36.8

37.1

36.6

36.8

36.7

36.6

날짜

8/1

8/2

8/3

8/4

8/5

8/6

8/7

8/8

8/9

8/10

8/11

BT()

36.5

36.5

36.7

36.5

36.8

36.6

36.8

36.6

36.9

36.6

36.2

BT

 

구분

7/10

7/14

7/20

7/25

7/28

8/1

8/8

8/11

WBC()

7870

7420

12120

10650

7510

5340

5260

5160

CRP(/)

0.11

0.73

0.51

7.78

0.63

0.21

0.13

0.14

K(mEq/L)

3.1

3.9

4.1

3.8

3.68

4.06

2.67

2.68

Albumin(g/)

3.7

3.1

3.0

-

3.0

3.0

2.7

-

Hgb

12.9

11.3

11.2

10.1

10.8

10.8

10.3

10.2

T.Protein

7.1

5.9

6.0

-

6.3

6.4

5.7

-

Troponin-I

<0.010

 

 

 

 

 

 

 

CK-MB

<2.0

 

 

 

 

 

 

 

Urine Cx

7/25 Candida species

WBC. Epithelial cell. Gram(-)rod. Yeast like cell : a few

UA10

7/10 urobilinogen(+-), ketone(+-)

occult blood (3+), protein(3+)

RBC 10~20

7/25 urobilinogen(+-), RBC 0~2

검사결과

 

경과기록

- 7/10) poor oral intake, cough(-), sputum(-) fever(+) imp)r/o viral infection

보호자(아들, )에게 전신 컨디션 매우 나쁜 상태로 상태 악화 가능성 있으며 사망 가능 성 높음을 설명하고 상급병원 응급 후송 필요함을 설명했으나, DNR 및 본원에서 입원 후 보존적인 치료만 하겠다고함. 내과진료 의뢰 후 중환자실 입원함

- 7/20) leucocytosis 지속되어 세프트리악손으로 change

-8/11) [퇴원요약] 치매로 요양원에서 지내던 자로 2016.06.28~2016.07.04까지 fever를 주소 로 내원하여 입원치료 받은 병력이 있는 자임. 퇴원 이후 특이 소견 없이 지내던 중 내 원 당일 아침 의식저하, 전신쇠약 생겨 응급실 통해 입원함. Hydration iv Abx 사용하면서 경과 관찰함. 증상 호전되어 퇴원함

 

투약

- 항생제: 시프로플록사신주200ml*11(7/10~7/20), 세프트리악손나트륨2g*4(7/20~7/23)

타조박탐나트륨4.5g*20(7/23~8/11)

- 기타: 도네페질10mg(7/25~8/10), 염화칼륨*4(8/8~8/11)

 

진단코딩 결정내역

- 항생제 장기투여 등으로 볼 때 바이러스 감염이나 열(fever)나는 환자로 보기는 어렵고 입원중 의 상태로 볼 수 있는 B99(기타 및 상세불명의 감염성 질환)가 주진단으로 타당함

- 진료기록상 고식적인 "FUO"가 될 수 없고, 장기입원 한 사유도 명확하지 않음.

환자 전반적인 상태에 대해 기록 부족함

 

주진단 B99 기타 및 상세불명의 감염성 질환

(심사결정 질병군 : T64400 기타 감염 및 기생충 질환)


사례2

구분

(/85)

상병명

R509 상세불명의 열

질병군

T62220 발열(FUO 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 연령>17

입원

일수

4(2016.8.6.~2016.8.9.)

진료과 : 내과

진료

내역

입퇴원기록

- Dx : Pyrexia NOS

- C.C: fever, 의식저하

- PHx & P/I: Cholecystectomy(2000년도), 치매(2년 전), 양측 고관절 수술

내원당일 오후부터 갑자기 39도 고열 있어 내원. 내원 당일까지 기침, 가래 등 다른 증상은 없었다고 함.

 

검사결과

구분

8/6

8/7

8/8

8/9

BT()

39.0(ER)37.6

36.7

36.8

36.6

CRP(/)

50.4

 

 

 

ESR(/hr)

22

 

 

 

WBC()

8400

 

 

 

Hgb/Hct

10.8/32.1

 

 

 

Platelet()

142000

 

 

 

Blood Cx

no growth

(중간보고 8/11, 최종보고 8/16)

 

 

 

Triple test

negative

 

 

 

UA10

Urobilinogen(+-) Occult Blood(+)

RBC10~15

 

Urine Cx: no growth

Gram stain: WBC few

 

 

경과기록

- 8/6) 1. 상기환자 내원당일 오후부터 갑자기 39고열 있어 내원. 내원 당일까지 기침, 가 래 등 다른 증상은 없었다함.검사 상 특이 소견 없음. BT37.7

2. 치매

- 8/8) 가끔 이유 없이 고열이 난다.

 

투약

- 항생제: 이세파마이신황산염*2(8/7~8/8), 플로목세프나트륨0.5g*3(8/6~8/8)

- 해열진통소염제: 프로파세타몰*1, 디클로페낙베타디메칠아미노에탄올*1

진단코딩 결정내역

- 환자의 증상, CRP 상승으로 보아 bacteria infection으로 의심되어 B99(기타 및 상세불명의 감 염성 질환)가 합당함

주진단 B99 기타 및 상세불명의 감염성 질환

(심사결정 질병군 : T64400 기타 감염 및 기생충 질환)


사례3

구분

(/74)

상병명

R509 상세불명의 열

N401 요로 폐색을 동반한 전립선증식증

I109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발성 고혈압

질병군

T62220 발열(FUO 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 연령>17

입원

일수

7(2016.11.1.~2016.11.7.)

진료과 : 내과

진료내역

입퇴원기록

- Dx : Fever, unspecified,

- C.C: , 콧물, 재채기, 기침

- PHx & P/I: HTN, BPH Dx(po 복용중)

2일전부터 열나고, 콧물(+), 재채기(+), 기침(+-) 추정진단: r/o tsutsugamushi

 

검사결과

구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BT()

37.838.4

36.838.3

36.5

37

38.236.3

36.8

36.6

CRP(/)

4.3

 

 

 

 

 

0.3

WBC()

8180

 

 

 

 

 

 

OT/PT/ALP

122/96/589

 

 

 

 

 

63/75/415

r-GTP(IU/L)

95

 

 

 

 

 

78

Triple test

negative

 

 

 

 

 

-

R.Typhi(IFA)

negative

 

 

 

 

 

-

11/1 Chest pa&lat: 정상소견

 

경과기록

- 11/1) 2일전부터 열나고, 콧물, 재채기, 기침, r/o tsutsugamushi, F/U PSA

- 11/2) WBC:8180(Monocyte:12.6), LFT:122/96/589, LDH:745, CPK:361, K:3.8, CRP:4.3

- 11/3) 배뇨증상 호전중 11/1(PSA 14.98), 탐수로신 2알씩 복용 중, 3개월 후 PSA f/u

- 11/4) URO consult: 탐수로신 2알씩 복용 중-다복용

- 11/7) OT/PT 63/75, r-GTP 78, Sx improved Discharge & OPD f/u

 

투약

- 해열진통소염제: 아세트아미노펜*7(11/1~11/7), 트라마돌염산염주*3

- 항바이러스제: 독시사이클린정100mg*7(11/1~11/7)

- 기타(BPH): 피나스테리드*6, 탐수로신염산염*6(11/2~11/7),

진단코딩 결정내역

- 인플루엔자 가능성이 높아 보이긴 하지만 치료의 과정이 쯔쯔가무시에 준해서 치료를 했고, 의 무기록 또한 쯔쯔가무시로 의심해서 기록되어 있음을 감안하여 A759(상세불명의 발진티푸스) 가 주진단으로 합당함

주진단 A759 상세불명의 발진티푸스

기타진단 N401 요로 폐색을 동반한 전립선증식증, I109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발성고혈압

(심사결정 질병군 : T64400 기타 감염 및 기생충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