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건강검진, 스마트하게 바뀐다
-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제2차(’16~’20년) 국가건강검진 종합계획 수립 -
- 건강상담 확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건강관리 활성화, 취약계층 지원 확대 등-
□ 2018년부터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사람이 고혈압․당뇨병(일반검진), 5대암*(암검진) 질환의심자로 판정 받을 경우, 자신이 원하는 의료기관에서 비용부담 없이 확진검사를 지원 받게 된다.
*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 또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에서 제공되고 있는 의사의 생활습관상담 서비스가 현행 40, 66세 2회에서, 40세 이후 매 10년마다 제공되고,
○ 개인의 건강검진 결과와 Big Data를 활용해 산출한 비교정보, 각종 맞춤형 건강정보를 스마트폰 등을 통해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 정밀검사가 필요한 영유아에 대한 건강검진 사후관리가 강화되고, 장애인에 대한 건강검진 제도를 도입하는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도 확대된다.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이와 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제2차(‘16~’20년) 국가건강검진 종합계획을 국가건강검진위원회의 의결(7.28일)을 거쳐 확정했다고 밝혔다.
□ 주요 핵심과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검진과 건강서비스’, ‘검진과 질환치료’간 연계체계를
수요자 입장에서 개선한다.
① 건강검진시 검사 외에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는 의사의 건강상담서비스를 현행 40, 66세에서 40세 이후 매 10년으로 크게 확대한다. (‘15년 기준, 연간 105만명 → 284만명)
- 건강상담 확대를 통해 국민들이 조기에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취지이다.
② 검진결과 질환의심으로 판정 받을 경우 본인이 원하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비용부담 없이 확진검사를 받고, 확진되는 경우 즉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15년 기준 연간 142만명)
- 현재는 질환의심으로 판정되는 경우 검진기관을 재방문해 2차검진을 통해 확진검사를 받거나, 스스로 진료를 예약하고 비용을 부담하여 확진검사를 받아야 했다.
- 확진검사와 치료 연계는 현재 시범사업 중인 ‘일차의료시범사업’, ‘만성질환 관리수가 시범사업’ 등을 확대하면서 만성질환 관리체계로 연계하면서 효과를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③ 건강위험군에 대해서는 생애주기별 건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료기관․보건소 중심의 생활밀착형 지역사회 건강관리서비스 모형을 연말까지 개발하고,
- 비의료기관에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도 마련할 계획이다.
둘째
Big Data와 ICT 융합기술을 활용해 개인의 건강관리와, 지역․기업의 건강관리사업 활성화를 지원한다.
① ‘18년부터 건보공단의 건강검진 빅데이터(10년치 약 3억건)를 활용해 수요자에게 모바일, 인터넷 등을 통해 건강검진과 건강정보를 제공한다.
- 이 서비스는 자신의 검진결과 정보 뿐 아니라 동일 성․연령대 건강상태 비교 정보, 향후 건강 예측치 등을 포함하고,
- 수면, 영양, 운동기록 등을 스스로 입력하면 건강 실천도를 점검․개선 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서비스를 탑재하게 될 전망이다.
② 이와 함께, 지자체․기업․연구자 등에게 다양한 건강관리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수검자의 신상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비식별 검진정보를 제공해 지역․기업에서 건강관리사업이 활성화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③ 건강보험공단은 이를 위해 ‘17년부터 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엄격한 비식별 기술 적용 등 정보 관리의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도록 준비할 방침이다.
셋째
의․과학적 근거와 비용효과성 평가를 통해 검진항목과 프로그램을 상시 조정한다.
① 국가건강검진위원회는 국가 건강검진의 비용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검진의 내용에 대한 평가기능을 상시화하기로 했다.
- 그간 신규 검진항목 위주로 의과학적 타당성과 비용효과성 평가가 이루어져 왔으나, 기존 검진항목 평가는 제한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산하에 검진항목 및 주기 등을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전문위원회를 건강검진기본법 시행령에 근거를 마련하여 ‘17년 상반기까지 제도화하기로 했다.
② 또한, 이미 전문학회 등을 통해 타당성 평가가 완료된 6개 검진항목에 대해서는 ‘18년부터 검진주기를 조정하고,
- 신규 도입 논의가 진행중인 C형 간염(16년), 20~30대 건강검진(17년), 구강파노라마(17년) 등에 대해서 타당성 평가를 진행하기로 했다.
<타당도 평가 완료 검진항목 및 주기조정(안)>
검진항목 (목표질환) |
검진 주기 조정(안) | ||
조정 전(前) |
⇒ |
조정 후(後) | |
B형 간염 |
40세 |
⇒ |
30세 |
골다공증 |
66세(여성) |
⇒ |
54·66세(여성) |
우울증 |
40·66세 |
⇒ |
40·50·60세 |
노인신체기능 |
66세 |
⇒ |
60·70·80세 |
인지기능장애 |
66·70·74세 |
⇒ |
66세․70세 이상 2년 1회 |
이상지질혈증 |
2년 1회 |
⇒ |
4년 1회 |
넷째 :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확대․강화한다.
① 장애인의 건강검진 접근성을 높이고, 장애인의 장애중증도, 자가관리능력 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장애인 건강검진프로그램을 ‘18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시행시기(‘17.12월)에 맞춰 도입
② 영유아의 경우, 영유아 검진 결과 정밀검사가 필요함에도 이를 이용하지 않는 가구 등에 대한 사후관리 제도를 도입한다.
- 사후관리를 통해 치료비 지원 및 지역서비스*와 연계해서, 취약가구 아동이 추가 정밀검사가 필요함에도 지원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례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15년 기준 연간 3.6만명)
* 발달장애인지원센터, 드림스타트, 읍․면․동 복지지원체계 등
③ 이 외에도 학교 밖 청소년, 거동이 불편한 노인, 다문화가정 등에 대한 검진지원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
□ 이와 함께, 국가건강검진위원회는 검진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검진기관 평가를 확대․내실화 하고, 출장검진기관에 대한 현지점검 강화, 검진인력 교육 확대 등도 함께 추진하고,
○ 지난 3월 발표한 ‘결핵 안심국가 실행계획’에 따라 5년간 한시적으로 만 40세 검진시 잠복결핵검진을 실시하기로 했다.
* 5년후 존치여부를 평가하여 지속여부 검토
□ 보건복지부는 국가건강검진위원회에서 결정된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질병관리본부, 건강보험공단, 전문학회 등과 함께 구체적 실행계획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 복지부 관계자는 “검진 이후 건강서비스와 질환치료를 연계하고,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건강관리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 위원회에서 충분한 공감대가 있었다”라고 밝히고
○ “국가건강검진제도의 효과성을 강화해 나가기 위해 방안을 구체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붙임1> 국가건강검진제도 개선 전․후 비교현황
<붙임2> 건강검진 개선 이후 달라지는 사례
<별첨> 제2차 국민건강검진 종합계획(안)
===
붙임1]국가건강검진제도 개선 전․후 비교 현황
붙임2]건강검진 개선 이후 달라지는 사례
사례1) 50세 남성 A씨는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때마다, 형식적이라고 생각해서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전에는 의사선생님과의 상담이 부족했었는데, 이번 검진에서는 매 10년마다 실시되는 생활습관상담 검진을 받고 의사선생님과의 상담을 통해 담배를 끊고 음주를 줄여야겠다고 결심했다.
사례2) 46세 B씨는 국가건강검진 후 본인의 혈압이 130mmHg로 고혈압 위험군이라는 사실을 모바일을 통해 통보받았다.
그는 아직 질환 의심단계는 아니지만, 건강을 관리하지 않으면 앞으로 2~3년 후에 고혈압 환자가 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모바일 앱을 통해 알게 되었다. 그는 공단이 제공하는 모바일건강관리서비스를 통해 혈압 변화 추이, 운동량 등을 입력해 가면서 건강을 관리할 생각이다. 이 앱은 B씨와 비슷한 고혈압 위험군의 케이스에 있는 건강위험군에 대해 맞춤형 건강정보를 제공해 줘 더 유용하다.
사례3) 54세 C씨는 직장에서 받은 건강검진 결과, 당뇨병이 의심된다는 소견을 받았다. 아버지도 당뇨로 고생하셨던 C씨는 집과 가까운 동네의원에서 당뇨를 관리할 생각이다. 전에는 다시 건강검진 의료기관을 찾아가거나, 동네 의원을 가는 경우 진찰료를 내야 했지만, 제도가 바뀌어서 국가검진 결과 질환의심자라고 이야기만 하면 가까운 동네의원에서 확진검사와 질환상담 등 만성질환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C씨는 질환의심 판정 후, 첫 번째 동네의원 방문을 통해 무료 확진검사와 함께 당뇨 신규환자에게 필요한 질환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었고, 이후 당뇨환자에게 필요한 운동과 식사를 실천하고 있다.
사례4) ○○시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 담당자 D씨는, 시민의 건강개선을 위해 필요한 건강증진사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시 주민의 흡연율, 음주율, 신체활동률, 비만율, 대사증후군 발견율 등 건강위험지표를 요청했다.
○○시는 인근지역 평균 지표에 비해, 신체활동 부분이 문제인 것을 시의회에 보고했고, 이는 지역 언론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시는 향후 시의회와의 논의를 거쳐 관련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검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검진실시기준(고시) 일부개정 (0) | 2016.12.28 |
---|---|
우리 몸 속 주머니, 위(胃)를 위(衛)하여 - (0) | 2016.09.05 |
[별표 9]검진비용 환수 기준 (0) | 2016.07.14 |
[별표 8]검진비용 정산 기준 (0) | 2016.07.14 |
[별표 5의 별첨] 검사항목별 판정기준 (0) | 2016.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