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문의 |
정책지원실, 통계정보공개부 |
부 장 |
김 숙 희 |
02) 2182 - 2511 |
차 장 |
김 형 호 |
02) 2182 - 2517 | ||
진료심사평가위원 |
오 상 권 |
02) 705 - 6669 |
“내 몸에 지방?” 고지혈증,
최근 5년간 연평균 19.3% 증가
- 50~59세가 가장 많아... 최근 20대미만 청소년도 급증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직무대리 이동범)은 2005~2009년 5년간의 심사결정자료 중 ‘고지혈증(E78)’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 ‘고지혈증(E78)’의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는 각각 연평균 19.3%, 20% 증가하였으며,
- 진료인원은 2009년 92만명으로, 2005년 45만5천명과 비교하여 2배 이상 증가, 연평균 약 11만6천명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1> 연도별/성별 고지혈증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구 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진료인원 (명) |
계 |
455,442 |
536,017 |
640,330 |
740,862 |
920,235 |
남 |
195,813 |
229,631 |
271,748 |
307,590 |
378,210 | |
여 |
259,629 |
306,386 |
368,582 |
433,272 |
542,025 | |
총진료비 (백만원) |
계 |
24,206 |
30,300 |
36,622 |
38,843 |
49,749 |
남 |
10,591 |
13,326 |
16,159 |
16,453 |
20,793 | |
여 |
13,615 |
16,974 |
20,463 |
22,390 |
28,956 |
◎ 성별 분석결과 최근 5년간 여성이 남성보다 약 1.4배 더 많았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17.9%, 여성이 20.6%로 나타났다.
(단위 : 명)
◎ 연령별/성별로 분석한 결과,
-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구간은 남성과 여성 모두 50~59세로 매년 총 진료인원의 30~33%를 차지하였다.
- 특히 여성의 경우 매년 40대에서 50대로 접어들면서 진료인원이 급격히 증가(평균 2.2배)하는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연평균 증가율은 70세이상에서 24.9%로 고연령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또한 20세미만의 청소년이 20~49세의 중년층에 비해 연평균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20세미만 16.2%, 20~49세 13.9%).
<표2> 2009년 연령별/성별 고지혈증 진료인원 현황
구분 |
진 료 인 원 (명)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
계 |
195,813 |
259,629 |
455,442 |
229,631 |
306,386 |
536,017 |
271,748 |
368,582 |
640,330 |
307,590 |
433,272 |
740,862 |
378,210 |
542,025 |
920,235 |
0 ~ 9세 |
680 |
676 |
1,356 |
645 |
572 |
1,217 |
677 |
624 |
1,301 |
634 |
577 |
1,211 |
1,114 |
944 |
2,058 |
(0.3) |
(0.3) |
(0.3) |
(0.3) |
(0.2) |
(0.2) |
(0.2) |
(0.2) |
(0.2) |
(0.2) |
(0.1) |
(0.2) |
(0.3) |
(0.2) |
(0.2) | |
10 ~ 19세 |
2,738 |
2,252 |
4,990 |
2,853 |
2,065 |
4,918 |
3,149 |
2,138 |
5,287 |
2,976 |
2,114 |
5,090 |
5,046 |
3,491 |
8,537 |
(1.4) |
(0.9) |
(1.1) |
(1.2) |
(0.7) |
(0.9) |
(1.2) |
(0.6) |
(0.8) |
(1.0) |
(0.5) |
(0.7) |
(1.3) |
(0.6) |
(0.9) | |
20 ~ 29세 |
6,849 |
6,692 |
13,541 |
8,005 |
7,023 |
15,028 |
8,774 |
7,455 |
16,229 |
9,114 |
7,725 |
16,839 |
11,708 |
9,295 |
21,003 |
(3.5) |
(2.6) |
(3.0) |
(3.5) |
(2.3) |
(2.8) |
(3.2) |
(2.0) |
(2.5) |
(3.0) |
(1.8) |
(2.3) |
(3.1) |
(1.7) |
(2.3) | |
30 ~ 39세 |
29,554 |
15,946 |
45,500 |
33,359 |
16,739 |
50,098 |
37,944 |
18,428 |
56,372 |
42,267 |
19,948 |
62,215 |
51,446 |
23,309 |
74,755 |
(15.1) |
(6.1) |
(10.0) |
(14.5) |
(5.5) |
(9.3) |
(14.0) |
(5.0) |
(8.8) |
(13.7) |
(4.6) |
(8.4) |
(13.6) |
(4.3) |
(8.1) | |
40 ~ 49세 |
56,738 |
44,967 |
101,705 |
64,575 |
50,280 |
114,855 |
74,852 |
58,172 |
133,024 |
84,460 |
67,545 |
152,005 |
102,425 |
84,181 |
186,606 |
(29.0) |
(17.3) |
(22.3) |
(28.1) |
(16.4) |
(21.4) |
(27.5) |
(15.8) |
(20.8) |
(27.5) |
(15.6) |
(20.5) |
(27.1) |
(15.5) |
(20.3) | |
50 ~ 59세 |
53,937 |
89,165 |
143,102 |
64,434 |
108,032 |
172,466 |
77,750 |
130,757 |
208,507 |
88,699 |
155,132 |
243,831 |
110,716 |
201,706 |
312,422 |
(27.5) |
(34.3) |
(31.4) |
(28.1) |
(35.3) |
(32.2) |
(28.6) |
(35.5) |
(32.6) |
(28.8) |
(35.8) |
(32.9) |
(29.3) |
(37.2) |
(34.0) | |
60 ~ 69세 |
37,402 |
77,210 |
114,612 |
44,810 |
91,759 |
136,569 |
55,447 |
113,747 |
169,194 |
62,962 |
132,933 |
195,895 |
76,220 |
162,720 |
238,940 |
(19.1) |
(29.7) |
(25.2) |
(19.5) |
(29.9) |
(25.5) |
(20.4) |
(30.9) |
(26.4) |
(20.5) |
(30.7) |
(26.4) |
(20.2) |
(30.0) |
(26.0) | |
70 ~ 79세 |
13,026 |
28,969 |
41,995 |
16,716 |
37,231 |
53,947 |
21,255 |
48,082 |
69,337 |
24,073 |
57,688 |
81,761 |
29,592 |
70,664 |
100,256 |
(6.7) |
(11.2) |
(9.2) |
(7.3) |
(12.2) |
(10.1) |
(7.8) |
(13.0) |
(10.8) |
(7.8) |
(13.3) |
(11.0) |
(7.8) |
(13.0) |
(10.9) | |
80세 이상 |
1,671 |
3,539 |
5,210 |
2,222 |
4,811 |
7,033 |
2,843 |
6,608 |
9,451 |
3,572 |
8,330 |
11,902 |
4,148 |
10,288 |
14,436 |
(0.9) |
(1.4) |
(1.1) |
(1.0) |
(1.6) |
(1.3) |
(1.0) |
(1.8) |
(1.5) |
(1.2) |
(1.9) |
(1.6) |
(1.1) |
(1.9) |
(1.6) |
** 계는 연령별 중복인원을 제외하였으며, ( )안의 수치는 해당년도의 연령별 점유율임.
(단위 : 명)
◎ 고지혈증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혈관계질환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혈액 내에 특정 지질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 비만이나 술, 당뇨병 등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 여성호르몬은 몸의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을 올리는 효과가 있는데, 중년여성의 경우 폐경이 지나면서 여성호르몬의 생산이 중단되기 때문에 이전까지 콜레스테롤의 문제가 전혀 없던 여성도 50세를 전후해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 20세미만의 청소년에서 발생하는 고지혈증은 대부분 유전적인 영향으로 인한 것이 많으나, 서구화된 식단이나 인스턴트 식품도 그 원인이 된다. 또한 식사량에 비해 부족한 운동량이 비만으로 연결되어 고지혈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 고지혈증은 대부분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지만 고혈압, 흡연, 당뇨병 등과 함께 심근경색, 뇌졸중, 동맥경화 등 심각한 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 고지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 적당한 양의 식사를 통해 비만을 피하고 표준 체중을 유지하도록 하고 매일 30분 이상 운동을 적당히 하는 것이 중요하고 금연과 절주는 기본이다.
- 여성의 생리적인 변화로 나타나는 콜레스테롤의 상승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는 하지만 보다 식사조절이나 운동을 통해 반드시 콜레스테롤 정상치를 유지하고 고지혈증을 조기에 예방, 치료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0) | 2010.04.02 |
---|---|
위장염.식중독 (0) | 2010.03.19 |
골관절염약 복용 (0) | 2010.03.12 |
골관절염 환자의 운동요법 (0) | 2010.03.12 |
바라크루드, 제픽스·헵세라, 레보비르, 세비보 비교자료 (0) | 2010.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