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의학용어

야국화 2008. 9. 9. 15:25

Ⅰ Composition of Medical Terminology
[ Prefixis - 접두사 ]
1. 부정 및 긍정, 혹은 동일 및 반대의 접두사
Word part
Definition(정의)
Example
a-, an-(G)
without
없는, 결핍된
․aphagia[əféidʒə] (not to eat) : 연하불능증
․aphonia[eifóunjə] (without voice) : 발성불능증, 무성
․apnea[əpníə] (not to breath) : 무호흡
․amenorrhea[eimenərí:ə]  (not month to flow) : 무월경, 월경결여
․anorexia[ænouréksiə] (not appetite) : 식욕부진
in-, ein-(L)
not, opposite of
없는, 반대의
․insomnia[insꐁmniə] (not sleep): 불면증
․imbalance(not having two scales) : 불균형, 불평형, 평형실조
counter-, contra-(L)
against, opposite
반대의
․contraindication (against to make known)
: 금기, 배합금기(약물 복용 등에서)
  - cf) indication : 적응증
․counteraction : 방해, 저항, 반작용 
ant-, anti-(G)
against
반대의
․antibody : 항체
․antitoxin : 항독소
․antivenom : 해독제
  - cf) antivenin, -venene  : 항사독소
con-, co-, com-(L), syn-(G)
with
모두, 함께
․congenital : 선천적인
․cooperation : 협력
․collateral (together with side) : 부행의, 측부의
․synthesis[sinɵisis] (to put together) : 합성
․synergy (to work)  : 상승작용, 상협작용, 협력작용
homo-(L), iso-(G)
equal
같은, 동등한
․homograft(=allograft) (other stylus) : 동종이식
․homosexual : 동성의
․homozygote (same yoke) : 동형접합체
․isoelectric : 등전(等電)의
hetero-(L), allo-(G)
different
다른
․heterozygote : 이형(종)접합체
․heterograft(=xenograft): 이종이식
․allograft : 동종이지만 유전적으로 다른 두 개체간의 조직 이식
․allergy : 앨러지, 과민증
․allele : 대립유전자, 대립인자
2. 방향과 장소, 시간의 접두사
Word part
Definition
Example
antero-, anterior-(L)
anter-
foremost
앞, 앞의, 전방의, 복측의
․anteroposterior : 전후의
․anteversion : 전경(前傾)
  - 중앙선에서 멀리 떨어진 축에서 앞으로 기울어진,
    기관의 비정상적인 위치.
postero-, posterior-(L)
behind
후방의, 후의, 뒤의, 등쪽의
․posteroanterior(PA) [chest PA] (coming after before) : 전후의
supero-, superior-(L)
higher
위의, 보다 높은,
보다 나은, 양질의
․superstition : 미신
․superiority : 우월, 우위, 우세 등
infero-, inferior-(L)
lower
밑에, 아래쪽의
․inferosuperior
ventro-, ventral(L)
ventri-
belly
복측의, 몸의 앞쪽으로
․ventromedial : 복내측의
․ventrodorsal
dorso-, dorsal(L)
the back
배측의, 등쪽의, 뒤쪽의
․dorsolumbar : 배요골부의
․dorsolateral : 측배의, 등외측쪽
cephalo-, cephalic(G)
cephal-
머리쪽, 두부
․cephalad position : 태아의 위치
  - cf) cephalad (head) : 머리쪽으로, 또는 끝이나 꼬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cephalosporin[sèfəlouspɔ:rin] : 세팔로스포린.
  - 미생물 Cephalosporium falciforme가 만든 반합성 화합 물질      의 항생제. 생선의 머리에서 추출.
intra-(L)
within
내부의
․intravenous(I.V.) : 정맥의
․intradermal (within skin) : 피내의
․intramuscualr(I.M.) (within muscle) : 근육내의
endo-, en-(G)
end-, ent-, ento-
in
안쪽의, 내재의
․endoderm (skin) : 내배엽
․endoscope : 내시경
․endothelial[endouɵéliəl] (within nipple) : 내피의
exter-, extra-(L)
extro-
이외의, 이상으로
․extracellular (storeroom) : 세포외의
․extraperitoneal[ekstrəpèrətɚní:əl] (near, around to stretch)
: 복막외의, 복강 밖에서 일어나는
medio-, medial(L)
mesial, meso-
middle
신체의 중앙을 향한, 중앙선상에 놓인
․mesoderm : 중배엽
․mediolateral
later-, lateral(L)
side
측면의, 가쪽(외측)의
․lateroflexion : 외측굴곡
․collateral : 측부의
amphi-(G), ambi-(L)
amph-, ampho-
ambo-, amb-
both sides
양측의, 쌍의, 이중의
․amphitheater : 이중 수술실
  - cf) theater : 수술실, 강당
․ambivalent ( both strength) : 양가성의, 양 방향성의
- 두 반대 방향에 대해 동등한 힘을 가진
inter-(L)
between
사이의
․intercostal (between ribs) : 늑간의
․interdigital : 손가락 사이의
trans-(L)
though
통해서, 넘어서
․transposition : 전위, 전치, 착위증
․transdate
ab-(L), apo-(G)
abs-
from, away from, off
~로부터
․abnormal : 비정상적인, 이상한
․abduction : 외전
․apoprotein : 아포단백질
circum-(L), peri-(G)
around
주위의
․circumcision (around to cut) : 환상절개법, 포경수술
․peripheral : 말초의
per-(L), dia-(G)
~의 전체에 걸쳐, 완전히
~을 가로질러,
~를 해내는
․perforation
․diagnosis[dꐃꐅəgnóusis] (knowledge) : 진단(법), 감별
pre-(G), ante-
before
전의, 앞의
․preoperation : 수술전
․prognosis : 예후
․antenatal : 출산전
  - cf) natal : 낳는, 출산하는
retro-(L)
back
후방의, 역방의
․retroversion (to turn) : 후경증
․retroperitoneal (around to stretch) : 복막후의
․retrograde (step) : 역행의, 퇴행의
  - cf) retrograde amnesia : 역행성 기억상실증, 역행성 건망증
infra-(L)
beneath
고정된, 구성된, 바로 아래에 일어나는
․infrasternal : 흉골하의
․infraclavicular : 쇄골하의
supra-(L)
above, on
바로 위나 위, 초월하여, 앞에
․supracondylar fracture : 과상골절
3. 시간과 속도의 접두사
chro-(G)
 
․chronic(=chronical) (time)
: 만성의
acutus-(L)
sharp
예리한, 격심한
․acuta, acute
tachy-(G)
fast
급속의
․tachycardia (fast heart) : 빈맥
․tachypnea (breathing) : 빈호흡
brady-(G)
slow
느린, 무딘
․bradycardia (slow heart) : 서맥

4. 수 및 수량의 접두사
semi-(L), hemi-(G)
half
반의
․semicoma : 반혼수상태
․hemiplegia (stroke) : 편마비, 반측마비
․hemiparesis (to be palsied) : 편측부전마비
․hemisphere (sphere) : 반구
pan-(G)
all
전부, 범, 모두
․panperitonits(panperi.) : 전복막염
․pancytopenia (cell poverty) : 범적혈구감소증
poly-(G), multi-(L)
many, much
많은, 다량(다수)의
․polyuria (urine : 소년, 뇨) : 다뇨증
․polydipsia (thirst) : 다음다갈증, 번갈다음증
․polynuclear : 다핵의
․multipara (to bear) : 경산부(생존 가능한 태아를 1회 이상 분만                        한 여성. pluripara라고도 함)
  - cf) para : 임산부
․multivitamin
oligo-(G)
few, a few
적은, 거의 없는
․oligouria(oliguria) : 핍뇨(24시간 동안 요배설량이 500mL 미만                       으로서 대사 과정의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없다.
․oligomenorrhea[àligoumenərí:ə] : 월경과소증,(비정상적으로 월경                                   량이 적거나 감소한 것)
hypo-(G)
under
아래에, 밑에, 부족한
․hypotension : 저혈압, 긴장저하증
․hypoglycemia(=hyopglycaemia) : 저혈당증, 혈당감소증
hyper-(G)
over
과다의
․hypertension : 고혈압
․hypertrophy : 비후, 비대
micro-(G)
very small
작은
․microscope : 현미경
․microsurgery : 미세외과, 현미외과(현미경 아래에서 미세조직                    구조를 절개, 조작하는 수술
macro-(G)
big, huge
큰, 비정상적으로 큰
․macrocyte : 대적혈구(직경이 크고 성숙된 비정상적 적혈구)
․macrophagia : 대식세포
  - cf) -phagia, -phag(e), -phagy : 먹거나 소비하는
mega-(G)
megalo-, mego-
very big, huge
거대한, 커다란
․hepatomegaly : 간비대, 간종대
․cardiomegaly : 심장비대
․splenomegaly : 비장종대
․megacolon : 거대결장
ultra-(L)
above, excess
범위를 넘어,
어떤 한계를 넘어
․ultrasonogram(USG) : 초음파검사법
․ultrastructure : 초미세구조
․ultraviolet(UV) : 자외선의, 자외선
uni-, mono-(G)
one side, a
한쪽의, 단일의, 하나의
․monocyte : 단구, 단핵구, 단핵세포
․unilateral : 편측비후, 편측성의, 일측성의, 한쪽만의
nuli-(G)
not
~하지 않는
․nulipara : 미경산부(생존할수 있는 아이를 출산하지 않은 여성)
bi-(L), di-(G)
two
두 개의
․bipolar : 양극성의
․biceps : 이두근 (ex : biceps brichii)
․diversion : 기분전환
․bifurcation : 분기, 갈림, 분지
tri-(L,G)
three
세 개의
․triceps : 삼두근
․tripod sign : 삼각대(3개의 다리(발)을 가지고 있는 것)
․triad : 삼징후(3개의 요소)
․triple : 삼중의
quadri-(L), tetra-(G)
four
네 개의
․quadriceps : 사두근 (ex : quadriceps femoris)
․quadriplegia : 사지마비(quad)
․quartet : 4중주, 4중창
chromo-(G)
color
색깔의
․chromosome : 염색체
․chromatography : 크로마토그래피
leuko-(G)
white
백색의
․leukocyte : 백혈구
․leukimia :백혈병
․interleukins : 인터루킨(림프구․단핵 백혈구에서 생산․분비되                 어 면역 응답에 관여하는 사이토킨 중 하나)
erythro-(G)
red
적색의
․erythrocyte : 적혈구
․erythema : 홍반
․erythromycin 에리트로마이신(항박테리아성 항생제)
cyno-(G)
blue
청색의
․cyanosis : 청색증
․cyanocobalamin : 시안코발라민. 비타민 B12의 흔한 제제형
xantho-, cirrho-(G)
yellow
황색의
․xanthoma : 황색종
․xantheloma : 안검황색종(안검(눈두덩이)에 발생하는 황색반점)
․liver cirrhosis : 간경변증(간엽이 섬유조직으로 덮이는 간의
                 만성 퇴행성 질환)
polio-(G)
gray
회백질의
․poliomyelitis : 소아마비, 폴리오, 회백질척수염
melano-(G)
black
검은
․melanocyte 멜라닌 형성 세포
․melanoma : 흑색종(암의 일종)
5. 색을 나타내는 접두사

6. 기타 사용되는 접두사
cryo-(L)
cold
차가운
․cryosurgery : 냉동외과 수술, 한랭 수술
․cryotherapy : 냉동요법, 한랭요법
thermo-(L), calo-(G)
hot
뜨거운
․diathermy : 투열요법
․thermometer : 온도계
․calory : 칼로리(열량단위)
malac-(G)
soft
부드러운
․chondromalacia : 연골연화증
․osteromalacia : 골연화증
sclero-(G)
hard
딱딱한
․arteriosclerosis : 동맥경화증(동맥벽의 비후․탄력손실․석회화                    가 특징인 흔한 동맥질환)
․atheroclerosis : 죽상(동맥)경화증(플라크에 의한 동맥질환)
․dermatosclerosis : 피부경화증, 경피증
dys-(G)
not good
좋지 않은, 곤란한
․dysuria : 배뇨곤란
․dyspnea(=dyspnoea) : 호흡곤란
․dyspepsia : 소화불량
mal-(L)
wrong
잘못된
․malnutrition : 영양불량, 영양장애
․malfunction : 기능부전
․malpractice : 의료과오, 부정의료
․malunion : 부전유합, 불량유합(골절골편이나 다른 조직의 부정               위유합)
pseudo-(G)
unreal
가짜의
․pseudocyesis : 가상임신
․pseudocyst : 가성포, 가낭포(내점막이 없는 가스나 액체를 포                 함하고 있는 공간이나 강)
․pseudomembrane : 가성막, 위막
ortho-(G)
right, straight
곧은, 바른, 정형의
․orthopedics : 정형외과학
․orthoposition : 정형자세
․orthopnea : 기좌호흡(숨을 깊게 또는 편하게 쉬기 위해서는 앉               거나 서있어야만 하는 비정상적인 상태)
neo-(G)
new
새로운
․neonate : 신생아
․neoplasm(=tumor) : 산생물종양(양성 또는 악성의 새로운 조                         직의 비정상적 성장)
crypto-(G)
hiden
숨은
․cryptorchidism : 고환정체, 잠복고환증(고환 중 하나나 2개 모                    두가 음낭으로 내려오지 못해 복부나 서혜부                    에 잠재해 있는 발달상의 결함)
․cryptogenic : 잠재성의, 특발성의(원인 모를 질병과 관련된)
ankylo-(G)
stiff
굳은
․ankylosing spondylitis : 강직성 척추염
․ankylosis of joint : 관절강직
[ Suffixes - 접미사 ]
1. 병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형 접미사
-sis, -osis, -asis, -esis(G)
활동, 과정, 상태, 결과를 뜻하는 접미사
․hemolysis : 용혈(현상)
․analysis : 분석
․diagnosis : 진단법, 감별
  - pl) diagnoses
․prognosis : 예후
․hydronephrosis : 수신증(요로폐색으로 배뇨하지 못한 소변의                      축적에 의해 신우, 신배의 팽만이 일어난 것)
  - cf) hydr(o)- : 물의, 수소의
  - cf) nephro- : 신장의
․bronchiectasis : 기관지확장증
․hematemesis : 토혈증
․pseudocyesis : 가상임신
․nephrolithiasis : 신절석증, 신석증
  - cf) lith : ‘결석’을 뜻하는 접미사
-ism(G)
상태의, 습관의, 이론의
․hyperthyroidism : 갑상선(기능)항진(증)
․adrenalism : 부신기능항진
-oma(G)
종양을 뜻하는 접미사
․adenoma : 선종
  - aden(o)- : ‘선’을 뜻하는 접두사
․fibroma : 섬유종
․carcinoma : 암종(악성 상피세포 신생물)
  - carcin(o)- : ‘암’을 뜻하는 연결형
․sarcoma : 육종(연조직의 악성 신생물)
  - cf) -sarcoma : '결합조직의 악성 종양‘을 뜻하는 연결형
2. 증상 및 징후(symptoms and signs)를 나타내는 접미사
-algia(G)
-algy
아픈, 고통스러운
․neuralgia : 신경통
․myalgia : 근육통
  - cf) my(o)- : ‘근육’을 뜻하는 접두사
-ptosis(G)
‘어떤 기관’, ‘그 일부의 하수’를 뜻하는 접미사
․gastroptosis : 위하수증
  - cf) ptosis : 안검하수(한쪽 또는 양쪽 상안검이 아래로 처져                  있는 비정상적인 상태)
․blepharoptosis
  - cf) blephr(o)- : '안검‘, ’속눈썹‘을 뜻하는 연결형
-cele(G)
‘탈장이나 부종과 관계된’이란 뜻의 접미사
․cystocele : 방광류(방광이 질벽을 통하여 돌출 또는 탈장된 것,               방광이 작아져 압력이 커지지만 배출이 자유롭지 못               해 한 부분이 튀어나옴.)
․hematocele : 혈낭종, 음낭혈류, 음낭혈종
-itis(G)
‘어떤 특정한 기관의 염증’을 뜻하는 접미사
․neuritis : 신경염
․nephritis : 신장염
․otitis media : 중이염
․gastritis : 위염
-penia(G)
‘결핍’을 뜻하는 접미사
감소증
․leukocytopenia (=leukopenia, leucopenia) : 백혈구감소증
․erythrocytopenia : 적혈구감소증
․pancytopenia : 범혈구감소증
  - cf) pan- : '전부‘, 범’, ‘모두’를 뜻하는 연결형
-pathy(G)
'질병‘. ’고통‘을 뜻하는 접미사
․encephalopathy : 뇌질환
․hepatopathy : 간질환
․nephropathy : 신장질환
-stenosis(G)
‘좁아지거나 수축됨’을 뜻하는 접미사, 협착
․mitral stenosis (=mitral valve stenosis) : 승모판협착증
  - cf) mitral : 승모의, 심장의 승모판,
  - cf) mitral valve : 승모판(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이첨판)
․pyloric stenosis : 유문협착증
  - cf) pyloric : 유문의
․cardiac stenosis : 심장협착증
  - cf) cardiac : ‘심장’을 뜻하는 연결형. 심장성의, 분문의
-staxis(G)
 
․epistaxis : 코피, 비출혈
-stasis(G)
-stasia
‘설 수 있는 능력’을 뜻하는 접미사
․hemostasis : 지혈
  - cf) stasis : 울체(체내의 혈관을 통한 액체의 정상적인 흐름에                 서행이나 정지가 되는 장애)
․circulatory stasis : 혈액 순환 정체(증상 : 몸이 붓는다)
-emia(G)
-aemia, -hemia, -haemia
'혈액 상태‘를 뜻하는 접미사
․anemia : 빈혈
․hyperglycemia : 고혈당증
․leukemia : 백혈병
-esthesia(G)
지각, 감각
민감성 또는 느낌, 인지
․anesthesia : 무감각(증), 지각마비
․hyperesthesia : 지각과민, 감각과민
․paresthesia : 감각이상, 지각이상(감각저하, 저림, 또는 핀이나                 주사 바늘로 찌르는 듯한 느낌을 경험하는 주관                 적 감각)
  - cf) para- : 유사한, ~을 넘어서, 부수적인, 부상의
-osmia(G)
‘후각(의 상태)’을 뜻하는 접미사
․osmidrosis 
-(r)rhea(G)
-(r)rhoea, -(r)rhoeica
‘유량’, ‘유출’을 뜻하는 접미사
․diarrhea : 설사
․rhinorrhea : 비루, 콧물
․menorrhea : 월경(대하)
              - 자궁에서 나오는 혈액과 조직의 정상 분비물
-(r)rhage(G)
'파열‘, ’과잉유량‘을 뜻하는 접미사
․hemorrhage : 출혈
․menorrhagia : 월경과다
3. 치료(therapy)와 수술(operation)을 나타내는 접미사

-tomy(G)
'절개‘를 뜻하는 접미사
․gastrotomy : 위절개술
․nephrotomy : 신장절개술
-ectomy(G)
‘절제’를 뜻하는 접미사
․gastrectomy : 위절제술
․nephrectomy : 신장절제술
-stomy(G)
‘외과적 개구’를 뜻하는 연결형(절개 후 도구를 끼울 때)
․gastrostomy : 위루술
․mephrostomy : 신장루술
-plasty(G)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한 재건 및 수술적 교정’을 뜻하는 접미사
․rhinoplasty : 비형성술, 코성형술
․blepharoplasty : 안검성형술(brow lift)
․osteoplaysty : 골성형술(골조직에 시행)
․tenoplasty : 건형성술
-centesis(G)
강에 천공 또는 천자하는 것
․paracentesis : 천자술(체내의 공동이나 강에서 체액을 뽑는 것)
․thoracentesis (=thoracocentesis) : 흉강천자술, 흉막천자술
-desis(G)
 
․arthrodesis (=ankylosis) : 강직 (외과적으로 관절을 고정시키                             는 것은 통증을 감소시키거나지지                              대를 제공하기 위함)
4.
-gram(G)
-gramme
'그림‘, ’기록‘을 뜻하는 연결형
․electrocardiogram : 심전도(EKG, ECG) (심전도 검사에서 나타                       나는 그래프의 기록)                    
․fistulogram
  - cf) fistula : 누출관, 누관, 누공
․arthrogram : 관절조영상
․bronchogram : 기관지조영상
-graph(G)
그래프
․electromyograph : 심전도 그래프
-scope(G)
‘관찰용 기구’, ‘진찰’을 뜻하는 접미사
․microscope : 현미경
․endoscope : 내시경
-opsy(G),
조직 검사방법
․biopsy : 생검, 생체검사법
․autopsy : 부검, 사체해부, 검시
-tome(G)
‘절단하는 기계’ 또는
‘분절의 뜻'을 뜻하는 연결형
․dermatome : 피판, 피부분절, 피부도, 피부절제기
․microtome : 마이크로톰, 현미경절편도
진단 및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접미사


5. 명사의 단수 및 복수의 접미사
single
pl
Example
-ma
-mata
․adenoma → adenomata : 선종
․xanthoma → xanthomata : 황색종
-on
-a
․ganglion → ganglia : 신경절
-us
-i
․calculus → calculi : 결석
-um
-a
․atrium → atria : 심방, 방
-a
-ae
․bursa → bursae : 윤활주머니, 활액낭 및 활액초, 점액낭
-is
-es
․pelvis → pelves : 골반
-ix
-ces
․appendix → appendixes, appendices (=appendage): 수, 부속,
             충수(주 구조물에 부착된 보조기관)
-ex
-ices
․cortex → cortices : 피질, 피층
-ax
-aces
․thorax → thoraxes, thoraces : 흉곽, 가슴(chest)
Ⅱ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Body[신체의 구조]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Body]
Word part
Definition
보충설명
cell membrane(세포막)
the structure surrounding and protectiong the cell
double-layer membrane(이중막)
nucleus(핵)
the structure that contains genetic material and controls the cell activity
 
cytoplasm(세포질)
mitochondria(사립체)
carrys on the process of oxidation of energy
 
endoplasmic reticulum(내형질 세망)
canals within the cytoplasm, ribosomes are found on them
 
golgi apparatus(골지체)
contains the material of ER products releasing by vesicles
기타
lybosom, ribosome, chromosome(염색체)
1. The Cell[세포]

epithelial tissue(상피조직)
- 기관지, 유방, 자궁내막, 위, 소장 등에서 찾아볼 수 있음
lining for internal organs, in endocrine and exocrine glands, as the outer surface of skin
muscle tissue(근육조직)
․voluntary muscles
․involuntary muscles
․striated muscle
connective tissue
(결합조직, 결체조직)
this can be fat, cartilage, bone, areolar tissue or bloods
nerve tissue(신경조직)
conducts impulse all over the body(axon, terminal end (=botton))
2. The Tissue[조직]

3. Organs[기관]
간(liver), 신장(kidney), 심장(heart), 위장(stomach), 내분비기관(endocrine organ)



4. System[계, 통]
System
Organs
digestive Sy.[소화기계]
mouth, pharynx(인두), esophagus(식도), stomach, intestines(소장), liver, pancreas(췌장), colon(대장), rectum(직장)
urinary Sy.[비뇨기계]
kidneys, ureters(요관), bladder(방광), urethra(요도)
respiratory Sy.[호흡계]
nose, pharynx, larynx(후두), trachea(기관, 기도), bronchus(기관지), bronchiole(세기관지), alveolar(폐포)
reproductive Sy.[생식기계]
ovary(난소), Fallopian tube(난관), uterus(자궁), vagina(질), testes(정소), vas defferens(정관), prostate(전립선), urethra(요도), penis(음경)
endocrine Sy.[내분비계]
thyroid lands(갑상선), pituitary gland(뇌하수체), sex glands, adrenal gland(부신), pancreas(췌장), parathyroid gland(부갑상선), testes, ovary
nervous Sy.[신경계]
brian, spinal cord, plexus, peripheral N., cerebral N., autonomic N.
cardiovascular Sy.[심맥관계]
heart, artery(동맥), arteriole(소동맥), vein(정맥), capillary(모세혈관)
muscular Sy.[근육계]
skeletal M., smooth M.
skeletal Sy.[골격계]
약 600개의 muscles
integmentary Sy.[외피계]
 
[Body Cavities 체강]
Cavities
Organs
cranial ca.[두가강]
brain(cerebrum, celebelrum), cranial Ns.
thoracic ca.[흉강]
heart, lung, esophagus(식도), trachea(기도), thymus(흉선), aorta(대동맥)
abdominal ca.[복강]
stomach, intestines(소장), spleen(비장), liver, pancreas(췌장), colons
pelvic ca.[골반강]
urinary bladder(방광), urethra(요도), ueters(자궁), rectum(직장)
spinal ca.[척수강]
spinal cord and its nerves
[Division of the Abdomen and Back 복부와 배부의 구분]
1. Anatomical Divisions of the abdomen(해부학적 구분)
1) hypochondriac regions(upper lateral region below the ribs) : 좌우 하늑부
2) epigastric region(region of the stomach) : 상위부
3) lumbar regions(2 middle lateral regions) : 좌우 요부
4) umbilical region(region of the navel(배꼽) or umbilicus(배꼽, 제)) : 제부
5) iliac regions(lower lateral regions) : 좌우 장골부
6) hypogastric region(lower middle region, below the umilicus) : 하복부

2. Clinical Divisions of the Abodomen(치료적 구분)
1) right upper quad.(RUQ) : right lobe of the liver, hepatic flexure(간누공, 간루) of the colon
2) left upper quad.(LUQ) : left lobe of the liver, spleen, splenic flexure of the colon
3) right lower quad.(RIQ) : cecum(맹장) of colon, appendix, intestine, ilium, ileum
4) left lower quad.(LLQ) : sigmoid coln(S상결장), intestine, rectum

3. Anatomical Divisions fo the Back(Spinal column)
1) cervical spine(경추부) : C1 - C7
2) thoracic spine(흉추부) : T1 - T12
3) lumbar spine(요추부) : L1 - L5
4) sacral spine(천추부) : S1 - S5
5) coccygeal spine(미추부) : tail bones(3~4 bones)

[Planes of the body 해부학적 체면]
1) frontal plane(전두면) : 머리에서부터 발까지 통과하는 수직면(관상면, coronal plane)
2) sagittal plane(시상면) : 신체의 전후면 또는 신체의 정중선에 평행이 되는 단면
3) transverse plane(횡평면) : 수평면
4) midian plane(정중면) : 신체의 정중선을 나누는 단면

Ⅲ Musculoskeletal System[근골격계] <전반>
<Bones>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1. Structure of Bones
A. 골격의 분류
골 종류         
long bones(장골)
femur, humerus, radius, tibia, fibula
short bones(단골)
carpal, tarsal bones
flat bones(편평골)
ribs, scapula, pelvic girdles, bones of skull, sternum
sesamoid(종자골)
patella
B. Bone Development(뼈 발육)
1) osteoblast(골아세포) : bone forming cells to form the bone tissue
                        → 교원질(collagen)과 당단백(glycoproteins)을 합성하여 골양기질                                       을 형성하며, 성장하고, 발달하여 골세포가 된다.
2) osteoclast(파골세포) : bone cell that absorbs and removes unwanted bone tissue
                          → 거대다핵성 골세포로 뼈의 발달과 성장 또는 치유기에 골조직의 파괴                               및 흡수 등의 역할을 한다.
C. Structure of a long Bone
1) diaphysis(골간) : shaft region of a long bone
2) epiphysis(골단) : end of a long bone and center of ossification for growing bone(성장판 위)
3) epiphyseal plate(골단면) : cartilaginous area at the ends of long bone
4) periosteum(골막) : 말단부를 제외하고 골을 덮은 섬유성 혈관성 막. 단단하며 tendon이 붙는다.
5) compact bone(치밀골) : 단단하고 조밀한 뼈로 해면골의 망상구조와 구별되며 보통 골격 구조의 말                            단부에서 발견된다.
6) cancellous bone(해면골) : 골판과 결절이 망상구조이고, 장골의 말단에 나타난다.(spongy bone)
7) medullary cavity(골수강) : a narrow space throughout the lenght of the diaphysis
-cf) madullary : 수질의, 뇌수질․골수․척수에 속하는 것
-cf) bone marrow(골수) : 골단의 해면질 공간을 채우는 특수한 반액체 조직
     ┌ yellow marrow : 성인의 long bones의 근위 골단의 해면체에서 볼 수 있다.
     └ red marrow : 영아/아동의 많은 뼈에서 볼 수 있다. 
8) endosteum(골내막) : lining membrane of medullary cavity of a bone

2. Processes and Depressions in Bones
A. Bone Processes : 돌출부
골 명칭
Definition
Explanation
Example
bone head
골두
rounded eminence of a bone
neck, diaphysis(shaft)
tubercle
결절
근의 기착부위
great/lesser tubercle
of humerus(biceps brachii)
trochanter
전자
대퇴골의 골절낭을 형성하는 부위
great trochater of femur
(abdouction에 관여하는 근육이 부착)
tuberosity
넓은 조면
근육 자체가 부착하는 곳
(∵거칠기 때문)
 
condyle
rounded, knuckle-like process    at the joint(long bone)
epicondyle(femur), supracondyle(over the condyle)
B. Bone Depressions : 함몰부
골 명칭
Definition
Explanation
Example
fossa
depression in a bone
olecranon F., subscapular F., glenoid F.
foramen
공, 구멍
famous in the skull
F. magnum(대공), F. ovale(난원공), F. rotundom(정원공), F. emissary
sulcus, groove
going over the tendons or       nerves
bicipital G., patellar S.
sinus
especially in cubic bone
frontal S., maxillary S.(축농증 sinusitis), ethymoidal S.

3. Cranial Bone(두개골)
frontal bone(1)
전두골
parietal bone(2)
두정골
temporal bone(2)
측두골
두개골 중 가장 얇다
occipital bone(1)
후두골
대체로 삼각형
sphenoid bone(1)
접형골
ethymoid bone(1)
사골
anterior fontanelle
대천문
 
 


4. Facial Bone(안면골)
nasnal bone
비골
lacrimal bone
누골(눈물뼈)
maxillary bone
상악골(광대뼈)
mandibular bone
하악골(치과에서 관리)
zygomatic bone
관골
temporal bone에서 나오는 저작근들이 아래로 지나감
vomer
서골
nasal septum(비중격)에 있는 뒤쪽의 뼈
(앞쪽 : 연골)
5. Vertebral Column and Structure of Vertebrae
․intervertebral disc(추간판) Cervical B., Thoracic B., Lumbar B., Sacral B., Coccygeal B.

6. Bones of Thorax, Tohraces(흉곽골)
clavicle(쇄골)
scapular bone(견갑골)
sternum(흉골)
ribs(costa, 늑골)
① true ribs(진늑골) : 1~7번의 늑골로 흉골에 부착
② false ribs(가늑골) : 8~12번의 늑골로 흉골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
③ floating ribs(부유늑골) : 11, 12번 늑골
7. Bones of Arm and Hand(상박골과 수장골)
humerus(상박골, 상완골)
ulna(척골)
radius(요골)
carpals(수근골) : scaphoid(주상골), lunate(월상골), triquetrum(삼각골), trapezium(대능형골), trapezoid(소능형골), capitate(유두골), hamate(유구골)
metacarpals(중수골, 5개)
phalanx, phalanges(수지골, 14개)
8. Bones of the Pelvis(골반골)
A. Hip Bones : iliac bone(장골), ischial bone(좌골), pubic bone(치골)
B. Pelvis Bones : 산도(産道)가 되는 곳으로 앞으로는 pubic bone의 후면, 뒤로는 sacral bone,                           coccygeal bone이 형성되고 양측은 장골의 협소부가 된다.

9. Bones of the Leg and Foot(하지와 발의 뼈)
femur(대퇴골)
patella(슬개골)
tibia(경골)
fibula(비골)
tarsal bones(족근골) : talus(거골), calcaneus(종골), navicular(주상골), cuboid(입방골),
              first(medial) cuneiform, second(intermediate) cuneiform, third(lateral) cuneiform
metatarsal bones(중족골)
phalanx, phalanges, phalangeal bones(지절골)
[ Symptomatic Terms(증상 용어) ]
1) lumbago, lower back pain(요통, 저배통) : sciatica(좌골통)
2) crepitation(crepitus, 염발음) : 손가락 사이로 모발을 비빌 때 나는 소리.
3) sequestrum(부골, 이편골) : dead bone. 분쇄골절 때 떨어져 나간 뼈 조각 중 피가 안 통하는 뼈.
4) phantom limb pain(환상지통, 환각지통) : phantom limb syndrome(가상사지증후군). 사지를 절단한 후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상실한 사지에 대해 감각과 불편감을 느끼는 현상. 일부 사람은 심한 통증이 지속된다.                    
5) callus(가골) : 외부 압력 또는 마찰에 의해 두꺼워진 피부 각질층. 통증이 없다.

[ Pathological Conditions and Fractures(별리적 상태와 골절) ]
1. Inflammation and Infections
1) osteitis(골염) : 감염, 퇴행 또는 상해로 발생하는 뼈의 염증.
-cf) osteitis deformans(Paget's disease, 변형성 골염) : 파제트병. 원인 불명의 비대사성 뼈 질환으                         로 흔히 중년이나 노인에서 호발하며 과도한 뼈의 파괴와 비구조적인 뼈의                          회복 등이 특징적이다.
2) osteomyelitis(골수염) : 골과 골수의 국소적 또는 전반적인 감염. 포도상구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
3) periostitis(골막염) : 골막의 염증. 만성 또는 급성 감염이나 외상으로 유발되며 골의 압통, 관련 부                        위의 종창, 동통, 발열, 오한이 특징이다.
4) Pott's disease(tuberculous spondylitis, 결핵성 척추염) : 초기 병소, 대개는 폐결핵으로 인한 결핵    균이 관절을 침범하여 일으킨 관절의 염증.
5) spondylitis(척추염) : 강직과 통증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의 염증. 척추의 외상, 감염이나 류머티스                         질환이 원인이 된다.
6) tendinitis(건염) : 대개 좌상으로 인하여 생긴 건의 염증성 상태.
-cf) tenosynovitis(건초염, 건활막염) : 칼슘 축적, 반복된 좌상 또는 손상,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 류       머티스성 관절염, 통풍 또는 임질이 원인이 된 건초의 염증.
7) osteoarthritis(골관절염) : 하나 또는 여러 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비감염성 형태의 관절염.
8) rheumatoid arthritis(류머티스성 관절염) : 만성적이고 염증을 일으키며, 때로는 변형시키는 자가면    역 성분을 가진 교원병. 활액낭에 대칭적인 염증이 나타나며 활액성 삼출물이 증가하는데 활막을 비    후 시키고 관절의 종창을 유도한다.

2. Congenital and Metabolic Disease(선천성 및 대사성 질환)
1) anencephaly(anencephalia, 무뇌증) : 선천적으로 뇌의 중요 부분이 없고 뇌간이 기형인 상태.
2) craniostosis(craniosynostosis, 두개골 조기 봉합증) : 두 개봉합선의 조기골화 현상으로 흔히 다른    골격의 결함과도 동반된다. 외과적 교정 없으면 두 개의 성장은 멈추고, 머리는 변형되고 눈과 뇌는    흔히 손상을 받는다.
3) kyphosis(척추후만증) : hunchback, humpback
4) lordosis(척추전만증) : lumbar bone이 앞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5) scoliosis(척추측만증) : 20대 여성에게 특발성 측만증이 자주 있다(T7~T12)
6) talipes planus(편평족) : flat foot
-cf) pes(pedes) : 발 또는 발과 같은 구조
7) talipes equinus(첨족) : 절름발이(사지의 차이가 10cm 이상인 사람)
8) talipes varus(내반족) : ‘O'자 다리
9) talipes cavus(요족) : 종족궁이 비정상적으로 깊은 상태
10) coxa plana(Legg-Calvé-Perthes disease, 편평고) : 어린이 대퇴골 두부의 골연골증
11) genu varum(varus)(bowleg, 내반슬, 내번슬) : 양쪽 무릎은 qkRKx으로 벌어졌으며 다리는 안쪽으    로 만곡되어 있는 기형.(걷기 시작한 아이에게 잘 나타남.)
12) genu valgus(valgum)(knck-knee, 외반슬, 외번슬) : 허벅다리가 안쪽으로 휘어져 무릎이 비정상적    으로 가까이 붙어 있어서 두 발목 사이의 간격이 넓다.
13) hallux valgus(무지외번증) : 엄지발가락이 체정중선에서 떨어져 다른 발가락 쪽으로 굽은 기형.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 위나 아래에 위치한다.
14) hammer toe(추상 발가락) : 다지증(Mallet finger)
15) syndactylia(syndactily, 합지증) : 물갈퀴모양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갖는 사람.
16) spina bifida(척추이분증) : 후방 척추궁의 골폐쇄부전을 특징으로 하는 발육 기형.
17) osteoporosis(골다공증) : 골밀도의 비정상적 손실이 특징인 장애.

3. Traumatic Disorders(외상성 장애)
1) fracture(Fx., 골절)
2) closed Fx.(폐쇄골절)
3) open Fx.(개방골절) :골절된 뼈가 피부를 찢는 경우
4) comminuted Fx.(분쇄골절) : 뼈가 여러 조각으로 부서지는 골절로 많은 수의 절편이 생긴다.
5) impacted Fx.(매복골절) : 골절된 뼈의 인접 조각 끝이 함께 쐐기같이 끼워진 골절 상태.
6) greenstick Fx.(약목골절) : 뼈의 한쪽이 부러져 다른 쪽으로 구부러지는 불완전 골절.
7) compression Fx.(압박골절, 압축골절) : 특히 짧은 뼈에서 골조직이 파괴되고 이에 따라 해당 뼈가    짜부라지는 골절.
8) depressed Fx.(함몰골절) : 두개골의 골절에서 파편이 정상 표면 아래로 함몰된 골절.
9) incomplete Fx.(불완전골절) : 골조직에서 손상으로 인한 갈라진 금이 뼈의 전체 폭을 완전히 횡단    하지는 않고 하나나 그 이상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골절.
10) pathological Fx.(병적골절) : 얌세포나 결핵 등으로 약해진 뼈의 골절
11) Colles's Fx(콜리스골절) : 손목 관절의 1인치 이내 요골 하단의 골절로, dorsal과 lateral 위치에서    손의 전이를 유발한다.
12) delayed union(지연유합)
13) nonunion(불유합) : 정상적으로 붙을 기간이 지나도 뼈가 안 붙는 경우
14) malunion(부전유합) : 정상적으로 형태는 붙었으나 기능적으로는 정상적으로 붙지 못한 상태

4. Tumor(종양)
1) exostosis(외골종, 외골증) : 뼈의 표면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한 것으로 양성이다.(hyperostosis)
2) osteogenic sarcoma(골원성 육종) : 골의 악성 종양으로 간엽조직에서 유래된 미분화세포로 이루어   진다.(osteosarcoma)
3) Ewing's sarcoma(유잉육종) : 골수, 특히 장골과 골반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통증, 부종, 발열,    백혈구증가증이 나타나며 부드럽고 부서지기 쉬운 회색 종양은 주위 연조직을 침범하여 신경아세포   종이나 림프종과 조직학적으로 구별하기 어렵다.
4) fibrosarcoma(섬유육종) : 섬유성 결합조직을 포함하고 있는 육종.
5) multiple myeloma(다발성 골수종) : 골수의 악성종양. 형질세포로 이루어진 종양은 정상의 골수 기   능을 붕괴시키고 특히 편평골의 골성 조직을 파괴한다. 통증, 골절, 고칼슘혈증, 골격의 변형을 일으   킨다.

Ⅳ Musculoskeletal System[근골격계] <후반>
[ Theraph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 용어 ]
A. Reduction of Fx. (골절 정복)
1) closed reduction(비관혈적 정복술, 폐쇄적 정복술) : 절개 없이 골절의 수동적 정복
2) open reduction(관혈적 정복술, 개방성 정복술) : 연관된 뼈의 부분을 노출해서 골절이나 탈구를 경                                                  감하는 외과적 절차
3) simple immobilization(단순고정) : with cast, arm sling
4) bone grafting, transplatation of the bone(골이식, 골편이식)
5) osteoclasis(외과적 절골술) : surgical Fx. or refracture of a bone(좋지 않게 뼈가 붙어갈 때 다시                               수술하여 제대로 잡아주는 수술)
6) osteotomy(골절제술) : excision of a bone, Wedge Excision of a bone
  → 뼈를 자르거나 톱질하는 것. 절골술의 종류로는 뼈의 일부를 절제하는 볼록형 절골술(block           osteotomy), 골설을 제거하는 설상절골술(cuneiform osteotomy), 배열이나 체중부하가 걸리는         부위를 바꾸기 위해 뼈를 외과적으로 재샐계하는 전위절골술(displacement osteotomy)이 있다.
7) sequestrectomy(부골 적출술)
-cf) sequestrum(sequestra) : 부골편, 사골편, 골저(주위 EH는 인접한 건강한 뼈로부터 부분적 EH는       전체적으로 분리된 죽은 뼈의 파편)
8) internal fixation for Fx. : Intramedullary Fixation(수질내 고정), Plate Fx.
9) external fixation for Fx. : Pin&Plate, Illizarop instrument, Screw & Side Fixation

< Joints(Articulation) >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
1. Types of Joints(articulations)
1) synarthrosis(관절 유합증, 보동관절) : also called suture joint
2) amphiarthrosis(연골관절, 반관절) : slight movement, symphysis pubis, cartilage joint,
                                    distal tibiofibular joint
3) diarthrosis(가동관절, 완전관절) ; also called synovial joint

2. Structure of Joint(관절 구조)
1) bursa(활액낭) : 건과 그 밑의 뼈 사이에 있는 섬유성 낭. 활액을 분비하는 활막과 나란히 있으며,                    건이 수축․이완할 때 뼈 위에서 작은 쿠션 역할을 한다.
2) synovial membrane(활막) :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관절낭 안쪽 조직의      얇은 층. 활막은 외부 섬유낭에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관절 내로 짙은 액체를 분비하여 관절     에 윤활제로 사용된다. 관절이 손상을 받으면 동통을 유발하는 정도가 증가되기도 한다.
3) synovial cavity(활액강) : 구강 또는 복강과 같은 보다 큰 구조 내의 텅 빈 공간.
4) synovial fluid(synovia) : 관절과 점액낭, 건의 윤활제로 작용하며 활막에 의해 분비되는 달걀 흰자                            위와 유사한 투명하고 알칼리성인 점조액. fluid 자체가 영양을 공급.
5) ligament(인대) : 관절을 연결시켜 주고 뼈와 연골을 연골시키는 섬유성 조직.
6) tendon(건) : 근육을 뼈에 붙여주는 희고 반짝거리는 밀집된 섬유성 결체조직.
7) aponeurosis(건막) : flat sheet of fibrous tissue that usually serves as an attachment of muscles
→ 근육을 뼈에 붙여 주는 건이나 근육을 묶어 주는 건막으로 작용하는 섬유성 결합 조직의 질긴 막.
8) cartilage(연골) : 연골세포와 여러 섬유로 구성된 비혈관지지 결체조직.
                  주로 관절, 흉곽과 후두, 기관, 코, 귀 같은 여러 견고한 관에서 발견됨.
9) Joint capsule(관절낭) : 관절을 싸고 있는 섬유성 결합조직.

[ Symptomatic Terms 증상 용어 ]
1) ankylosis(관절 강직증) : LOM 증가, ROM 감소
→ 비정상적인 자세가 지속되어 관절이 고정됨으로써 류머티스성 관절염이 발생하는 것처럼,
    연골하골과 관절연골의 파괴로 인해 발생.
2) hemarthrosis(관절혈증) : 관절 내로 혈액이 유출되는 상태.
-cf) hemophilia(혈우병) : 혈액 응고에 필요한 요인 중 하나가 결핍된 일련의 유전적 출혈장애.
3) hydroarthrosis, collection of fluid of a joint(관절수증, 관절 종창, 수액저류)
   : synovial fluid의 농도가 낮다.
4) tophus(tophi, 통풍성 결절) : 관절 주위의 섬유 조직에 생기며 요산염을 함유하는 결석으로 주로                                  통풍환자에게서 보인다. 관절안이 거칠어짐.
-cf) crystal impregnation : 결정 임신
-cf) Foreign body(이물) : 장기나 조직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기관지 내의 음식물 덩어리 또는 눈에 있는 먼지 조각과 같은 정상 환경에 속한 것이 아닌 어떠한 물체나 물질.
5) arthralgia(관절통) : 관절의 통증
6) increased joint laxity : 관절 이완의 증가
7) claudication(휴간 파행) : 종아리에 쥐가 나는 듯한 통증이 있으며 다리 근육으로 혈액이 충분하게    순환되지 않아 발생한다. 간헐적인 파행증은 특정 시간에만 임상 증상이 있는 질환의 형태로서 보통    장기간의 보행 후에 발생하고 휴식으로 완화된다. 파행증은 대퇴슬와 측부로와 같은 동맥의 측부로    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 (intermittant C.)
-cf) vasculogenic : 혈관성의
-cf) neurogenic : 신경성의

[ Pathological Conditions 병리적 상태 ]
1. Inflammation and Infections(염증과 감염)
1) arthritis(관절염) : 관절의 염증 상태.
․chronic arthritis : rheumatoid arthritis, degenerative arthritis
․acute arthritis : pyogenic arthritis(bacterial arthritis)
2) rheumatoid arhtritis(류마토이드 관절염) : 만성적이고 염증을 일으키며, 때로는 변형시키는 자가면    역 성분을 가진 교원병. 활액낭에 대칭적인 염증이 나타나며 활액성 삼출물이 증가하는데 활막을 비    후 시키고 관절의 종창을 유도한다.
3) degenerative arthritis, osteoarthritis(퇴행성 관절염, 골관절염)
4) gouty arthritis(통풍성 관절염)
-cf)gout(통풍) : 요산 대사의 선척적 이상에 의한 질병으로 요산 분비를 방해하거나 생산을 증가시     킨다. 과도한 요산은 혈관에서 침전되어 요산염 결정으로 전환되어 관절이나 다른 조직에 침착된      다. 증상은 관절의 과도한 통증과 종창을 가져오며 열과 오한을 동반하며 장기간 재발된다.
5) ankylosing spondylitis(강직성 척추염) : chronic, progressive arthritis with stiffening of joints
→ 처음에 척추와 부근 구조에 영향을 주며 진행되다가 결국에는 포함된 관절의 유합을 일으키는, 원    인을 알 수 없는 만성 염증성 질환. 유전적이 경향이 강하고 척추, 엉덩이, 어깨, 목, 늑골, 턱관절     에 영향을 미친다. 늑골척추관절에 침범하면 호흡시 흉곽의 확장이 어려울 수도 있다. 전신적인       질환이며 종종 눈과 심장에도 영향을 준다. 또한 많은 환자들이 염증성성 장질환을 경험한다.
6) bursitis(활액낭염) : 관절을 둘러싼 결합 조직성 구조물인 점액낭의 염증. 관절염, 감염, 상해, 과도                        한 운동, 상해성 운동 등이 촉발 요인이 된다.
7) synovitis(활액막염) : 염좌나 심한 좌상과 같은 외상성 손상이 있을 때 무균성 상처의 결과로 인한    관절 활막액의 감염상태. 무릎이 가장 일반적인 곳이다. 낭 주위에 액체가 축적되고 관절을 붓고 허    약하여 동통이 있으며 움직임이 제한된다. 대부분 감염은 진정되며 액체는 내과적이나 외과적 중재    없이 재흡수된다. (감기를 앓은 후 일시적으로 어린아이들에게 잘 걸림.(temporary synovitis))
8) tenosynovitis(건초염) : 손목의 단무지 신전근과 장무지 외전근 사이에 염증.
→ 칼슘 축적, 반복된 좌상 또는 손상,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 류머티스성 관절염, 통풍 또는 임질이    원인이 된 건초의 염증. 어떤 경우에서 움직일 때 탁탁 소리가 나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에는 전신    질환을 일으키지 않는다.
9) chondromalasia : 연골연화증
-cf) patellar chondromalasia(슬개연골연화증) : 젊은 층에서 무릎 손상 후에 발생하며 부종, 통증과                                                X선 검사에서 보이는 퇴행성 변화가 특징이다.
-cf) cohndromalacia fetalis(태아연골연화증) : 치명적인 선천성 장애로 사산된 아이의 사지가 무르고                                              휘기 쉬운 상태를 나타낸다.
2. Traumatic Disorders and other Conditions(외상성 장애와 기타 장애)
1) dislocation(탈구) : 정상적 관절로부터 뼈가 이탈되는 것.
2) subluxation(incomplete dislocation, 아탈구, 불완절 탈구) : 관절에서 관절표면의 비정상적인 부분적 분리(관절낭이 비뚤어짐)
3) sprain(염좌) : 통증, 부종, 관절 위 피부의 변색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부위의 건․근육․인대의 손                  상으로 지지조직의 손상 여부와 손상된 시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다.
-cf)strain(과긴장, 과다운동) : 근육이 손상을 입을 정도로 물리적 힘을 가하는 것.
4)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HIVD) : 추간판 탈출증
   herniation of nucleus pulposus(HNP) : 척수핵 탈출증
5) bunion(건막류) : abnormal prominence with bursal swelling at the metatarsophalageal joint near                     the base of the big toe.
→ 엄지발가락 기저 부위 관절의 비정상적인 비대. 점액낭의 염증에 의해 발생하는데 유전적인 소인,   퇴행성 골관절질환, 만성적 자극 및 잘 맞지 않는 신발로 인한 압박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통증,    부종, 피부가 두껍게 되는 것, 엄지발가락 바깥쪽 변위 등의 특징적 증상이 나타난다.
6) spondylolisthesis(spinal fusion, 척추골융합술) : 척수의 불완전한 분절의 고정. 골견인이나 body     cast에 의한 부동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으나 외과적 시술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다.
7) tearing of meniscus

3. Tumors(종양)
1) chondroma(연골증) : 연골세포로 이루어진 양성 종양.
                       연골 내에서 서서히 성장하거나 연골 표면에서 발달.
2) chondrosarcoma(연골육종) : 연골세포 또는 그것이 유래하는 세포로부터 발생하는 악성 신생물. 가   장 흔한 발생 부위는 장골, 골반, 견갑골이다. 종양은 크고 부드러우며, 초자연골 결절로 이루어져 소   엽상의 성장을 하고, 약간 두드러진 석회화로 보일 수 있다.(chondroma sarcomatosum)
3) synovioma(활막종) : 임상적으로 악성 종양이며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신경에 너무 가까이 있을 경우 수술 불가능)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 용어 ]
1) arthroscopy(관절경 검사) : 작게 절개한 후 특별히 고안된 내시경을 관절 내로 삽입하여 하는 검    사. 주로 무릎관절에 이상이 있을 때 이용하며, 연골이나 활액막 조직검사를 하고, 손상된 반월판을    진단한다. 어떤 경우에는 관절 내 늘어진 부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2) arthrodesis(관절 고정술) : 외과적으로 관절을 고정시키는 것은 통증을 감소시키거나 지지대를 제   공하기 위함이다.(ankylosis, fusion)
3) arthroplasty(관절 형성술) : 골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운동력을 복원하거나 선천적 기형을 교   정하기 위해 통증이 있고 퇴행된 관절을 외과적으로 복구하거나 대치하는 것.
-cf) reconstruction of joint : 인공 관절 치환술
4) bunionectomy : 건막류 절제술
5) synovectomy : 활막 절제술
6) laminectomy(추궁판 절제술) : 척추뼈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제거하는 수술. 상해 또는 디스크의 퇴   화로 인해 뼈의 위가 어긋났을 때 척추가 압박 받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추간 디스크의 위치를 바로   잡기 위해 시행한다. 전신 마취 상태에서 복와위로 누인 후 추궁을 절제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교정.
7) meniscectomy(반월상연골 절제술) : 찢긴 연골의 만성 동통과 불안정, 관절을 고정시켜야 할 때.
8) excision of nucleus pulposus(수핵 절제술) : 섬유 연골을 통해 스며 나와 추간판 탈출과 강한 동   통의 원인이 될 때.
-cf) endoscopic excision of nucleus pulposus :
-cf) chemical lysis of neucleus pulpus :
9) spinal fusion : 척추 유합술
<Muscles>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
1. Types of muscles
1) striated muscles(횡문근) : skeletal muscles(골격근육)을 포함해서 보통의 근육은 두껍고 가는 근원   섬유가 겹쳐져서 근섬유에 규칙적인 가로무늬(횡문)가 보인다. 횡문근에는 골격근과 심근이 있는데,    골격근은 체성신경의 지배로 수의근인 데 반하여, 심장근은 자율신경의 지배로 불수의근이            다.(skeletal muscle, voluntary muscle)
2) smooth muscles(평활근, 무군근) : 장, 위, 다른 장기의 평활근 같이 자발적 조절을 받지 않는 길다   란 방추 모양의 근육세포로 구성된 3가지 근육 종류 중 하나.(involuntary muscle, unstriated muscle)
3) cardiac muscles(심근) : 심장의 횡문근육으로 인접한 근섬유의 접합부에 검게 삽입된 얇은 원반을   내포한다.

2. Structure of Muscles(근육의 구조)
1) fascia(근막) : 인대와 같이 특정 구조로부터 분리된 신체의 섬유성 결합조직.
2) insertion of muscle : 근기착점
3) origin of muscle : 근기시점
4) tendon & penosteum

3. Movement(운동)
1) abduction(외전)/adduction(내전)
2) flexion(굴곡)/extension(신전)
3) rotation : 회전 - internal(medial)/external(lateral) rotation
4) dorsiflexion(배측굴곡)/plantar flexion(등측굴곡) : ankle에서의 운동
5) supination(회외운동, 회외전)/pronation(회내운동, 회내전)
6) circumduction(원주운동) : universal joint
    
 
 
 
 
 

 
 
볼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