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처치법은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자기자신을 지키고, 뜻하지 않은 부상자ㆍ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그가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받기 전까지 적절한 처치와 보호를 해주어 고통을 덜어주고 악화를 방지하며
나아가 생명을 구할 수 있게 하는 지식과 기능이다.
- 응급처치법을 배우면 위급한 상황에 대한 대응방법과 그 상황의 발생원인을 알게 되어 사고나 질병의 예방에 힘쓰게 된다.
- 생활안전에 대한 높은 의식을 갖게 되어 항상 자신과 다른 사람의 안전에 관심을 갖고 대비한다.
- 적절하게 실시된 응급처치와 적당한 구조(운반)방법은 부상자ㆍ환자가 입은 손상의 악화를 방지 하며, 그의 회복에 도움이 된다.
- 응급처치의 잘잘못에 따라 그 부상자환자의 생사, 회복 또는 입원기간, 신체의 불구 정도가 결정된다.
응급처치원이 질병의 전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아래의 기본 지침을 실천하여야 한다.
어떤 잠재적인 위험이라도 해가 될 수 있으므로 먼저 평가해야 한다.
- 먼저 스스로 위험 상황밖에 있어야 한다.
- 지나가는 다른 사람도 위험한 상황 밖에 있도록 해야 한다.
- 안정히 시행할 수 있다면 어떤 위험이라도 제거한다.
- 즉시 옮기지 않으면 안 될 극도의 위험한 상황에만 환자를 즉시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부상자ㆍ환자를 처음 접했을 때에는 먼저 무의식 상태와 같은 생명이 위험한 상황인지 확인하라.
부상자ㆍ환자의 의식확인은
성인의 경우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습니까?”하고 묻는다.
만약 그 사람을 안다면 이름을 큰 소리로 불러보라.
영아의 경우에는 발바닥을 간지럼을 태우거나 가볍게 꼬집어 본다.
만약 반응이 없으면
지나가는 사람이나 동료에게 소리쳐서 신고를 위한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가능하면 아는 사람을 지목하도록 하며, 눈을 맞추어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지나가는 사람이나 동료에게 소리쳐서 신고를 위한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가능하면 아는 사람을 지목하도록 하며, 눈을 맞추어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제 기도(입부터 허파까지의 호흡을 위한 길)가 적절한 호흡을 위하여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입안을 확인하여 음식물같이 확실히 보이는 기도를 막는 물질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제거한다.
제거는 입의 앞쪽에 있는 것만 시행한다.

환자가 호흡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보조한다.
- 가슴이 오르락내리락 하는지 확인한다.
- 귀를 환자의 입 가까이 갖다 대어 호흡음을 들어 본다.
- 뺨이나 귀를 환자의 얼굴에 갖다 대어 호흡이 느껴지는 지 확인한다.
- 다른 생명의 증거를 확인한다. (예: 몸의 자발적 움직임, 침을 삼킴, 기침함)
- 상기한 확인 상 아무것도 없다면 환자는 숨을 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때까지도 119에 신고하거나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다면 119에 신고하도록 한다. 물론 의식이 없을 때 먼저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원칙이다.
- 지체하지 말고 2번의 인공호흡을 시행한다.

순환이 있는지 확인한다.
- 호흡, 기침 혹은 어떤 움직임이 있는지 확인한다.
- 특별히 숙련된 의료인이나 응급의료종사자가 아니면 굳이 맥박을 만져서 확인하려고 노력할 필요는 없다.
- 순환의 증거가 없으면 흉부 압박(심장 마사지)를 시행한다. 흉부 압박 등을 하려면 기초적인 술기의 교육은 받아야 한다.
전화로 도움을 요청할 때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전화번호를 알고 있어야 한다.
- 응급서비스: 1339, 119
- 보건의료서비스: 인근의 의료기관 연락처(1339에 문의하면 정보 취득이 가능하다.)
- 중독정보센터: 1339에 문의한다(중독정보센터는 없습니다.)
일단 성명을 이야기하고 응급상황에서 도움을 주려는 사람이라고 밝힌다.
그 다음에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한다.
그 다음에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한다.
- 전화번호
- 상황 발생 장소 : 주소나 거리이름을 이야기하는데, 특히 눈에 잘 띄는 대표적인 유명한 장소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움이 된다.
- 희생자들의 수, 성별 및 대략의 나이와 기타 희생자들의 상황에 대한 가능한 정보
- 위험물질에 대한 자세한 정보: 가스 유무, 현장의 기후 정보(안개, 얼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