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수근터널증후군

야국화 2008. 6. 2. 14:26

■ 손목터널증후군(= 손목굴증후군, 수근터널증후군, 수근관증후군) 이란?

 

    '손목터널' 이라고 하는 것은 손목뼈를 가로지르는 인대 아래에 있습니다.

    이곳에는 손의 감각과 손가락에 움직임에 매우 중요한 신경이 지나고 있는데요, 이 통로가 어떤 원인에

    의해서 좁아진 경우 신경이 눌리게 되어서 여러가지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손목터널증후군' 이라고 합니다.

   

    이 증후군은 손가락에 통증이 생기고 감각이 없어지는 손 신경 질환으로 감각저하나

    소실이 나타나고, 이어서 신경마비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손을 과도하게 많이 사용하게 되면 주위의 조직이나 건과 인대가 붓게됩니다.

    조립작업을 하는 공원, 미용사, 오랫동안 컴퓨터 작업을 하는 프로그래머나 데이터 입력자, 요리사,

    테니스를 자주 하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하기 쉽습니다.

       

■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은?

   

    손이 저린 증상과 함께 통증도 동반되며 엄지 손가락의 운동 기능장애로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거나

    젓가락질에도 장애가 나타납니다. 처음에는 손가락과 손바닥의 엄지쪽 반 정도가 저리고

    감각이 둔해지는데 손바닥 전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나 밤에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손을 털거나 주무르고나면

    증상이 일시적으로 완화되기때문에 밤잠을 설치는 경우도 흔합니다. 또한 운전도중 손이 저리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많으며, 손목을 팔쪽으로 구부릴 때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고, 손가락이 화끈거리고,

    주먹을 꽉 쥐지 못하며 손바닥은 바짝 말라 반들반들합니다.

   

   

■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는?

   

    크게 보존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존적 요법은 신경의 손상이 심하지 않을 때 시도하고,

    손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요법으로 호전되지 않으면 팔목터널을 열어주는 수술을 하게됩니다.

   

1. 보존요법

   

① 가장 좋은 치료법은 손을 쉬게 하는 것입니다.

    테니스나 컴퓨터 작업 같은 것을 한동안 쉬게 되면 좋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② 직업 상 손을 쓰는 일을 멈출 수 없는 경우에는 팔과 어깨의 움직임으로

    손목과 손의 움직임을 줄이는 동작을 연습해야 합니다.

   

③ 가급적이며, 한쪽 손만 쓰지 말고 양손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 작업 중에는 손목을 굽히지 말고 똑바로 편 상태에서 손을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⑤ 작업 중에는 자주 손을 쉬는 시간을 가지며, 자주 손바닥과 손등을 마사지하며,

    손목을 흔들어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⑥ 흡연이나 커피는 좋지 않으므로 피해야합니다.

   

⑦ 통증을 개선시키기 위해 매달리기를 하거나 손을 흔들어 봅니다.

   

⑧ 밤에 통증으로 인해 잠에서 깨면 침대 옆을 잡아보거나 손을 문질러 보고 흔들어 봅니다.

   

⑨ 전문의와 상의하여 자는 동안에는 통증이 있는 손목에 부목을 사용합니다.

       

2. 약물요법

   

① 체액이 저류하여 생기는 조직의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뇨제를 사용합니다.

   

②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진통 소염제를 사용합니다.

   

④ 염증이 심하면 손목에 부산피질 호르몬제를 주사합니다.

   

3. 수술요법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적인 무감각이나 근위축이 나타나는 경우, 위와같은 방법들을

10개월 이상 사용해도 완치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경을 누르고 있는 인대를 절제하는 수술을 합니다.

    

■ 컴퓨터 병 예방법

1. 컴퓨터 화면을 15도 정도 내려다 보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컴퓨터 화면과의 적당한 거리는 30-70cm 사이가 좋습니다. 목을 앞으로 내미는 자세가

    특히 좋지 않은데 목을 앞으로 내밀게 되면 목 근육이 긴장하게 되고 이것이 바로 근막통 증후군의

    원인이 됩니다.

   
2. 자판의 높이는 팔과 지면이 수평이 되도록 높이를 내리고 팔걸이를 사용하여

    팔을 이완시킬 수 있으면 좋습니다. 의자의 높이는 무릎을 90-100도 정도 구부리며

    발바닥 전체가 자연스럽게 땅바닥에 닫는 정도가 좋습니다.

       
3. 마우스는 동일한 장소에서만 사용하지 말고 위치를 자주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4. 목, 어깨 근육의 운동을 통해 어깨 근육을 스트레칭 시켜주어야 합니다.

   
5. 한 시간에 10분씩 손목을 휴식하고, 손 마사지를 자주 해야 합니다.

거북이목.bmp
0.67MB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뇌염  (0) 2008.06.10
터너증후준  (0) 2008.06.02
경구혈당 강하제는  (0) 2008.05.09
소아뇌종양  (0) 2008.05.07
  (0) 2008.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