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 2023-269]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 일부 개정 안내
1. 관련 근거 :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269호(2023.12.26.)
2. 보건복지부는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100호, 2023.5.31.)을 다음과 같이 개정·발령하여 안내
합니다.
가. 주요 내용
- 신규 산정특례 희귀질환 목록 추가
- 간질환에 의한 응고인자 결핍 상병 재분류
붙임 : 고시 제2023-269호(고시 개정문 및 질의응답) 각 1부. 끝.
--------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 - 269호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제19조제1항 및 [별표 2]에 의한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보건복지부 고시
2023-100호, 2023.5.31.)을 다음과 같이 개정 고시합니다.
2023년 12월 26일
보건복지부장관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일부개정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4, 별표4의2를 별지와 같이 한다.
부 칙
이 고시는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별표4] 희귀질환자 산정특례 대상 (제5조 관련)
- 제7조에 따라 산정특례 대상으로 등록된 희귀질환자가 등록일
로부터 5년간 해당 상병으로 진료를 받은 경우. 단, 상세불명
희귀질환은 등록일로 부터 1년간 해당 임상 소견으로 진료를
받은 경우로 함.
구분 | 상병명 | 상병코드 | 특정 기호 |
1 | 혈우병 환자가 항응고인자∙동결침전제제 등의 약제 및 기타 혈우병 치료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해당 치료 관련 입원 진료 | ||
유전성 제8인자결핍 | D66 | V009 | |
제8인자결핍(기능적 결함을 동반) | D66 | V009 | |
혈우병 NOS | D66 | V009 | |
A형혈우병 | D66 | V009 | |
고전적 혈우병 | D66 | V009 | |
유전성 제9인자결핍 | D67 | V009 | |
크리스마스병 | D67 | V009 | |
제9인자결핍(기능적 결함을 동반) | D67 | V009 | |
혈장트롬보플라스틴성분결핍 | D67 | V009 | |
B형혈우병 | D67 | V009 | |
폰빌레브란트병 | D68.0 | V009 | |
혈관혈우병(Angiohaemophilia) | D68.0 | V009 | |
혈관결손이 있는 제8인자결핍 | D68.0 | V009 | |
혈관혈우병(Vascular haemophilia) | D68.0 | V009 | |
유전성 제11인자결핍 | D68.1 | V009 | |
C형혈우병 | D68.1 | V009 | |
혈장트롬보플라스틴전구물질결핍 | D68.1 | V009 | |
기타 응고인자의 유전성 결핍 | D68.2 | V009 | |
선천성 무피브리노젠혈증 | D68.2 | V009 | |
AC글로불린결핍 | D68.2 | V009 | |
프로악셀레린결핍 | D68.2 | V009 | |
제1인자[피브리노젠]의 결핍 | D68.2 | V009 | |
제2인자[프로트롬빈]의 결핍 | D68.2 | V009 | |
제5인자[불안정]의 결핍 | D68.2 | V009 | |
제7인자[안정]의 결핍 | D68.2 | V009 | |
제10인자[스튜어트-프라워]의 결핍 | D68.2 | V009 | |
제12인자[하게만]의 결핍 | D68.2 | V009 | |
제13인자[피브린안정화]의 결핍 | D68.2 | V009 | |
이상피브리노젠혈증(선천성) | D68.2 | V009 | |
저프로콘버틴혈증 | D68.2 | V009 | |
오우렌병 | D68.2 | V009 | |
2 | 아래의 상병을 갖고 있는 환자가 해당 상병 관련 진료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입원진료 | ||
크로이츠펠트-야콥병 | A81.0 | V102 | |
아급성 해면모양뇌병증 | A81.0 | V102 | |
가족성선종성폴립증 | D12.6 (M8220/0) |
V281 | |
포도당-6-인산탈수소효소결핍에 의한 빈혈 | D55.0 | V163 | |
잠두중독 | D55.0 | V163 | |
G6PD결핍빈혈 | D55.0 | V163 | |
해당효소의 장애에 의한 빈혈 | D55.2 | V164 | |
용혈성 비구상적혈구성 (유전성) Ⅱ형 빈혈 | D55.2 | V164 | |
헥소카이네이스결핍빈혈 | D55.2 | V164 | |
피루브산염카이네이스결핍빈혈 | D55.2 | V164 | |
삼탄당인산염이성화효소결핍빈혈 | D55.2 | V164 | |
알파지중해빈혈 | D56.0 | V232 | |
베타지중해빈혈 | D56.1 | V232 | |
쿠울리빈혈 | D56.1 | V232 | |
중증 베타지중해빈혈 | D56.1 | V232 | |
중간형 지중해빈혈 | D56.1 | V232 | |
중증 지중해빈혈 | D56.1 | V232 | |
델타-베타지중해빈혈 | D56.2 | V232 | |
지중해빈혈 소질 | D56.3 | V232 | |
태아헤모글로빈의 유전적 존속 | D56.4 | V232 | |
비정형 용혈-요독증후군 | D59.3 | V219 | |
발작성 야간헤모글로빈뇨 | D59.5 | V187 | |
만성 후천성 순수적혈구무형성 | D60.0 | V023 | |
원발성 무형성(순수)적혈구 | D61.0 | V023 | |
가족성 저형성빈혈 | D61.0 | V023 | |
판코니빈혈 | D61.0 | V023 | |
블랙판-다이아몬드증후군 | D61.0 | V023 | |
영아 무형성(순수)적혈구 | D61.0 | V023 | |
기형을 동반한 범혈구감소증 | D61.0 | V023 | |
체질성 무형성빈혈 | D61.0 | V023 | |
선천성 무형성(순수)적혈구 | D61.0 | V023 | |
특발성 무형성빈혈 | D61.3 | V023 | |
골수형성저하 | D61.9 | V023 | |
범골수황폐 | D61.9 | V023 | |
저형성빈혈 NOS | D61.9 | V023 | |
선천성 적혈구조혈이상빈혈 | D64.4 | V220 | |
이상조혈성 빈혈(선천성) | D64.4 | V220 | |
항인지질증후군 | D68.6 | V253 | |
정성적 혈소판결손 | D69.1 | V106 | |
베르나르-술리에[거대혈소판]증후군 | D69.1 | V106 | |
글란즈만병 | D69.1 | V106 | |
그레이혈소판증후군 | D69.1 | V106 | |
혈소판무력증(출혈성)(유전성) | D69.1 | V106 | |
혈소판병증 | D69.1 | V106 | |
에반스증후군 | D69.3 | V188 | |
선천성 무과립구증 | D70 | V108 | |
선천성 호중구감소 | D70 | V108 | |
영아 유전성 무과립구증 | D70 | V108 | |
무과립구증 | D70 | V108 | |
무과립구성 안지나 | D70 | V108 | |
호중구감소 NOS | D70 | V108 | |
주기성 호중구감소 | D70 | V108 | |
코스트만병 | D70 | V108 | |
순환성 호중구감소 | D70 | V108 | |
호중구감소성 비장비대 | D70 | V108 | |
베르너-슐츠병 | D70 | V108 | |
선천성 이상식작용증 | D71 | V109 | |
만성 (소아기) 육아종성 질환 | D71 | V109 | |
다형핵호중구의 기능장애 | D71 | V109 | |
진행성 패혈성 육아종증 | D71 | V109 | |
세포막수용체복합체[CR3]결손 | D71 | V109 | |
혈구탐식성 림프조직구증 | D76.1 | V110 | |
가족성 혈구탐식세망증 | D76.1 | V110 | |
단핵탐식세포의 조직구증 | D76.1 | V110 | |
세망조직구종(거대세포) | D76.3 | V110 | |
심한 림프선병증을 동반한 동조직구증 | D76.3 | V110 | |
X-연관무감마글로불린혈증[브루톤](성장호르몬결핍을 동반) | D80.0 | V111 | |
보통염색체열성 무감마글로불린혈증(스위스형) | D80.0 | V111 | |
유전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 D80.0 | V111 | |
원발성 무감마글로불린혈증 | D80.0 | V111 | |
공통가변성 무감마글로불린혈증 | D80.1 | V111 | |
저감마글로불린혈증 NOS | D80.1 | V111 | |
비가족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 D80.1 | V111 | |
면역글로불린을 지닌 B-림프구가 있는 무감마글로불린혈증 | D80.1 | V111 | |
면역글로불린A의 선택적 결핍 | D80.2 | V111 | |
면역글로불린G 서브클래스의 선택적 결핍 | D80.3 | V111 | |
면역글로불린M의 선택적 결핍 | D80.4 | V111 | |
면역글로불린M의 증가를 동반한 면역결핍 | D80.5 | V111 | |
거의 정상의 면역글로불린 또는 고면역글로불린혈증을 동반한 항체결핍 | D80.6 | V111 | |
항체결손이 현저한 기타 면역결핍 | D80.8 | V111 | |
카파경쇄결핍 | D80.8 | V111 | |
세망세포발생이상을 동반한 중증복합면역결핍 | D81.0 | V111 | |
T- 및 B-세포수가 감소된 중증복합면역결핍 | D81.1 | V111 | |
B-세포수가 정상이거나 감소된 중증복합면역결핍 | D81.2 | V111 | |
아데노신탈아미노효소결핍 | D81.3 | V111 | |
네젤로프증후군 | D81.4 | V111 | |
퓨린뉴클레오사이드인산화효소결핍 | D81.5 | V111 | |
주조직적합성복합체Ⅰ형결핍 | D81.6 | V111 | |
노출림프구증후군 | D81.6 | V111 | |
주조직적합성복합체Ⅱ형결핍 | D81.7 | V111 | |
바이오틴-의존카복실레이스결핍 | D81.8 | V111 | |
오멘증후군 | D81.8 | V111 | |
중증복합면역결핍장애 NOS | D81.9 | V111 | |
혈소판감소 및 습진을 동반한 면역결핍 | D82.0 | V111 | |
비스코트-얼드리치증후군 | D82.0 | V111 | |
디죠지증후군 | D82.1 | V111 | |
흉선성 림프조직무형성 | D82.1 | V111 | |
면역결핍을 동반한 흉선무형성 또는 형성저하 | D82.1 | V111 | |
인두낭증후군 | D82.1 | V111 | |
짧은사지체구를 동반한 면역결핍 | D82.2 | V111 | |
엡스타인-바르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성 결손반응에 따른 면역결핍 | D82.3 | V111 | |
X-연관 림프증식성 질환 | D82.3 | V111 | |
고면역글로불린E증후군 | D82.4 | V111 | |
B-세포 수 및 기능의 현저한 이상에 의한 공통 가변성 면역결핍 | D83.0 | V111 | |
현저한 면역조절T-세포장애에 의한 공통 가변성 면역결핍 | D83.1 | V111 | |
B-또는 T-세포에 대한 자가항체를 동반한 공통 가변성 면역결핍 | D83.2 | V111 | |
상세불명의 공통 가변성 면역결핍 | D83.9 | V111 | |
림프구기능항원-1결손 | D84.0 | V111 | |
C1에스터레이스억제인자결핍 | D84.1 | V111 | |
보체계통의 결손 | D84.1 | V111 | |
폐의 사르코이드증 | D86.0 | V111 | |
림프절의 사르코이드증 | D86.1 | V111 | |
림프절의 사르코이드증을 동반한 폐의 사르코이드증 | D86.2 | V111 | |
피부의 사르코이드증 | D86.3 | V111 | |
사르코이드관절병증(M14.8*) | D86.8 | V111 | |
사르코이드심근염(I41.8*) | D86.8 | V111 | |
사르코이드근염(M63.3*) | D86.8 | V111 | |
포도막귀밑샘열 | D86.8 | V111 | |
사르코이드증에서의 홍채섬모체염(H22.1*) | D86.8 | V111 | |
기타 및 복합부위의 사르코이드증 | D86.8 | V111 | |
사르코이드증에서의 다발성 뇌신경마비(G53.2*) | D86.8 | V111 | |
한랭글로불린혈증성 혈관염 | D89.1 | V294 | |
말단비대증 및 뇌하수체거인증 | E22.0 | V112 | |
말단비대증과 관련된 관절병증 (M14.5*) | E22.0 | V112 | |
성장호르몬의 과잉생산 | E22.0 | V112 | |
쉬한증후군 | E23.0 | V165 | |
콜만증후군 | E23.0 | V165 | |
뇌하수체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과다생산 | E24.0 | V114 | |
뇌하수체-의존 쿠싱병 | E24.0 | V114 | |
뇌하수체-의존 부신피질기능항진증 | E24.0 | V114 | |
넬슨증후군 | E24.1 | V114 | |
이소성 부신피질자극호르몬증후군 | E24.3 | V114 | |
효소결핍과 관련된 선천성 부신생식기장애 | E25.0 | V115 | |
염류소실 선천성 부신증식증 | E25.0 | V115 | |
선천성 부신증식증 | E25.0 | V115 | |
21-수산화효소결핍 | E25.0 | V115 | |
부신생식기증후군 NOS | E25.9 | V115 | |
바터증후군 | E26.8 | V254 | |
원발성 부신피질부전 | E27.1 | V116 | |
애디슨병 | E27.1 | V116 | |
자가면역성 부신염 | E27.1 | V116 | |
가족성 부신코티코이드결핍 | E27.1 | V116 | |
애디슨발증 | E27.2 | V116 | |
부신피질발증 | E27.2 | V116 | |
부신발증 | E27.2 | V116 | |
부신출혈 | E27.4 | V116 | |
부신경색증 | E27.4 | V116 | |
저알도스테론증 | E27.4 | V116 | |
부신피질부전 NOS | E27.4 | V116 | |
안드로젠저항증후군 | E34.5 | V166 | |
송과선 기능이상 | E34.8 | V166 | |
조로증 | E34.8 | V166 | |
활동성 구루병 | E55.0 | V207 | |
영아골연화증 | E55.0 | V207 | |
연소성 골연화증 | E55.0 | V207 | |
고전적 페닐케톤뇨증 | E70.0 | V117 | |
기타 고페닐알라닌혈증 | E70.1 | V117 | |
타이로신대사장애 | E70.2 | V117 | |
타이로신혈증 | E70.2 | V117 | |
타이로신증 | E70.2 | V117 | |
조직흑갈병 | E70.2 | V117 | |
알캅톤뇨증 | E70.2 | V117 | |
눈피부백색증 | E70.3 | V117 | |
눈백색증 | E70.3 | V117 | |
교차증후군 | E70.3 | V117 | |
체디아크(-스타인브링크)-히가시증후군 | E70.3 | V117 | |
헤르만스키-푸들라크증후군 | E70.3 | V117 | |
바르덴브르그 증후군(백색증을동반한) | E70.3 | V117 | |
히스티딘대사장애 | E70.8 | V117 | |
트립토판대사장애 | E70.8 | V117 | |
단풍시럽뇨병 | E71.0 | V117 | |
프로피온산혈증 | E71.1 | V117 | |
메틸말론산혈증 | E71.1 | V117 | |
아이소발레린산혈증 | E71.1 | V117 | |
고발린혈증 | E71.1 | V117 | |
고류신-이소류신혈증 | E71.1 | V117 | |
지방산대사장애 | E71.3 | V117 | |
부신백질디스트로피[애디슨-쉴더] | E71.3 | V117 | |
근육카르니틴팔미틸트란스퍼레이스결핍 | E71.3 | V117 | |
장쇄수산화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결핍증(VLCAD) | E71.3 | V117 | |
아미노산운반장애 | E72.0 | V117 | |
로베증후군 | E72.0 | V117 | |
시스틴증 | E72.0 | V117 | |
판코니(-드토니)(-드브레)증후군 | E72.0 | V117 | |
시스틴뇨증 | E72.0 | V117 | |
하르트넙병 | E72.0 | V117 | |
시스틴축적병(N29.8*) | E72.0 | V117 | |
유황함유아미노산대사장애 | E72.1 | V117 | |
호모시스틴뇨 | E72.1 | V117 | |
아황산염산화효소결핍 | E72.1 | V117 | |
시스타타이오닌뇨증 | E72.1 | V117 | |
메타이오닌혈증 | E72.1 | V117 | |
고호모시스테인혈증 | E72.1 | V117 | |
요소회로대사장애 | E72.2 | V117 | |
아르지닌숙신산뇨 | E72.2 | V117 | |
시트룰린혈증 | E72.2 | V117 | |
아르지닌혈증 | E72.2 | V117 | |
고암모니아혈증 | E72.2 | V117 | |
라이신 및 하이드록시라이신 대사장애 | E72.3 | V117 | |
하이드록시라이신혈증 | E72.3 | V117 | |
글루타르산뇨 | E72.3 | V117 | |
고라이신혈증 | E72.3 | V117 | |
오르니틴대사장애 | E72.4 | V117 | |
오르니틴혈증(Ⅰ, Ⅱ형) | E72.4 | V117 | |
오르니틴트랜스카바미라제결핍 | E72.4 | V117 | |
글라이신대사장애 | E72.5 | V117 | |
사르코신혈증 | E72.5 | V117 | |
비케톤고글라이신혈증 | E72.5 | V117 | |
고하이드록시프롤린혈증 | E72.5 | V117 | |
고프롤린혈증(Ⅰ, Ⅱ형) | E72.5 | V117 | |
감마글루타밀회로의 장애 | E72.8 | V117 | |
베타아미노산대사장애 | E72.8 | V117 | |
선천성 젖당분해효소결핍 | E73.0 | V117 | |
글리코젠축적병 1b형 A | E74.0 | V117 | |
글리코젠합성효소결핍 | E74.0 | V117 | |
코리병 | E74.0 | V117 | |
타루이병 | E74.0 | V117 | |
폼페병 | E74.0 | V117 | |
맥아들병 | E74.0 | V117 | |
글리코젠축적병 | E74.0 | V117 | |
포르브스병 | E74.0 | V117 | |
폰기에르케병 | E74.0 | V117 | |
간인산화효소결핍 | E74.0 | V117 | |
허스병 | E74.0 | V117 | |
심장글리코젠증 | E74.0 | V117 | |
안데르센병 | E74.0 | V117 | |
갈락토스혈증 | E74.2 | V117 | |
갈락토스대사장애 | E74.2 | V117 | |
갈락토카이네이스결핍 | E74.2 | V117 | |
포스포에놀피루브산염카르복시카이네이스의 결핍 | E74.4 | V117 | |
피루브산염대사 및 포도당신합성 장애 | E74.4 | V117 | |
탈수소효소피루브산염의 결핍 | E74.4 | V117 | |
카복실레이스피루브산염의 결핍 | E74.4 | V117 | |
옥살산뇨 | E74.8 | V117 | |
샌드호프병 | E75.0 | V117 | |
GM₂-강글리오시드증 | E75.0 | V117 | |
연소형 GM₂-강글리오시드증 | E75.0 | V117 | |
테이-삭스병 | E75.0 | V117 | |
GM₂-강글리오시드증 NOS | E75.0 | V117 | |
성인형 GM₂-강글리오시드증 | E75.0 | V117 | |
강글리오시드증 NOS | E75.1 | V117 | |
뮤코지질증 Ⅳ | E75.1 | V117 | |
GM₁-강글리오시드증 | E75.1 | V117 | |
GM₃-강글리오시드증 | E75.1 | V117 | |
파브리(-앤더슨)병 | E75.2 | V117 | |
니만-픽병 | E75.2 | V117 | |
화버증후군 | E75.2 | V117 | |
크라베병 | E75.2 | V117 | |
설파테이스결핍 | E75.2 | V117 | |
이염성 백질디스트로피 | E75.2 | V117 | |
고쉐병 | E75.2 | V117 | |
신경세포세로이드라이포푸스신증 | E75.4 | V117 | |
스필마이어-보그트병 | E75.4 | V117 | |
쿠프스병 | E75.4 | V117 | |
바텐병 | E75.4 | V117 | |
얀스키-빌쇼스키병 | E75.4 | V117 | |
월만병 | E75.5 | V117 | |
대뇌건의 콜레스테롤증[밴보게르트-쉐러-엡스타인] | E75.5 | V117 | |
Ⅰ형 점액다당류증 | E76.0 | V117 | |
헐러증후군 | E76.0 | V117 | |
헐러-샤이에증후군 | E76.0 | V117 | |
샤이에증후군 | E76.0 | V117 | |
Ⅱ형 점액다당류증 | E76.1 | V117 | |
헌터증후군 | E76.1 | V117 | |
모르키오 (-유사)(고전적) 증후군 | E76.2 | V117 | |
마로토-라미 (경도)(중증) 증후군 | E76.2 | V117 | |
베타-글루쿠론산분해효소결핍 | E76.2 | V117 | |
Ⅲ, Ⅳ, Ⅵ, Ⅶ형 점액다당류증 | E76.2 | V117 | |
산필립포 (B형)(C형)(D형) 증후군 | E76.2 | V117 | |
뮤코지질증Ⅲ[거짓헐러다발디스트로피] | E77.0 | V117 | |
뮤코지질증Ⅱ[Ⅰ-세포병] | E77.0 | V117 | |
라이소솜효소의 번역후 수정의 결손 | E77.0 | V117 | |
푸고스축적증 | E77.1 | V117 | |
시알산증[뮤코지질증Ⅰ] | E77.1 | V117 | |
당단백질분해의 결손 | E77.1 | V117 | |
아스파르틸글루코사민뇨 | E77.1 | V117 | |
마노스축적증 | E77.1 | V117 | |
레쉬-니한증후군 | E79.1 | V221 | |
유전성 코프로포르피린증 | E80.2 | V118 | |
포르피린증 NOS | E80.2 | V118 | |
급성 간헐성 (간성) 포르피린증 | E80.2 | V118 | |
구리대사장애 | E83.0 | V119 | |
멘케스(꼬인모발)(강모)병 | E83.0 | V119 | |
윌슨병 | E83.0 | V119 | |
혈색소증 | E83.1 | V255 | |
산성인산분해효소결핍 | E83.3 | V189 | |
가족성 저인산혈증 | E83.3 | V189 | |
저인산효소증 | E83.3 | V189 | |
비타민D저항골연화증 | E83.3 | V189 | |
비타민D저항구루병 | E83.3 | V189 | |
인대사 및 인산분해효소 장애 | E83.3 | V189 | |
폐증상을 동반한 낭성 섬유증 | E84.0 | V120 | |
장증상을 동반한 낭성 섬유증 | E84.1 | V120 | |
낭성 섬유증에서의 태변장폐색 (P75*) | E84.1 | V120 | |
원위장폐쇄증후군 | E84.1 | V120 | |
유전성 아밀로이드 신장병증 | E85.0 | V121 | |
비신경병성 유전가족성 아밀로이드증 | E85.0 | V121 | |
가족성 지중해열 | E85.0 | V121 | |
아밀로이드다발신경병증(포르투갈) | E85.1 | V121 | |
신경병성 유전가족성 아밀로이드증 | E85.1 | V121 | |
상세불명의 유전가족성 아밀로이드증 | E85.2 | V121 | |
기관한정아밀로이드증 | E85.4 | V121 | |
국소적 아밀로이드증 | E85.4 | V121 | |
카다실 | F01.1 | V122 | |
레트증후군 | F84.2 | V122 | |
뇌전증에 동반된 후천성 실어증(失語症)[란다우-클레프너] | F80.3 | V256 | |
헌팅톤병 | G10 | V123 | |
헌팅톤무도병 | G10 | V123 | |
선천성 비진행성 운동실조 | G11.0 | V123 | |
조기발병 소뇌성 운동실조(발병은 보통 20세 이전) | G11.1 | V123 | |
X-연관 열성 척수소뇌성 운동실조 | G11.1 | V123 | |
보류된 힘줄반사을(를) 동반한 조기발병 소뇌성 운동실조 | G11.1 | V123 | |
마이오클로누스[헌트운동실조]을(를) 동반한 조기발병 소뇌성 운동실조 | G11.1 | V123 | |
본태성 떨림을(를) 동반한 조기발병 소뇌성 운동실조 | G11.1 | V123 | |
프리드라이히운동실조(보통염색체열성) | G11.1 | V123 | |
만기발병 소뇌성 운동실조(발병은 보통 20세 이후) | G11.2 | V123 | |
DNA복구결손을 수반한 소뇌성 운동실조 | G11.3 | V123 | |
모세혈관확장성 운동실조[루이-바] | G11.3 | V123 | |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 | G11.4 | V123 | |
기타 유전성 운동실조 | G11.8 | V123 | |
상세불명의 유전성 운동실조 | G11.9 | V123 | |
유전성 소뇌의 변성 | G11.9 | V123 | |
유전성 소뇌의 병 | G11.9 | V123 | |
유전성 소뇌의 증후군 | G11.9 | V123 | |
유전성 소뇌의 운동실조 NOS | G11.9 | V123 | |
영아척수성 근위축, I형[베르드니히-호프만] | G12.0 | V123 | |
기타 유전성 척수성 근위축 | G12.1 | V123 | |
소아기의 진행성 연수마비[파지오-론데] | G12.1 | V123 | |
원위 척수성 근위축 | G12.1 | V123 | |
어깨종아리형 척수성 근위축 | G12.1 | V123 | |
소아형, Ⅱ형 척수성 근위축 | G12.1 | V123 | |
연소형, Ⅲ형[쿠겔베르그-벨란더] 척수성 근위축 | G12.1 | V123 | |
성인형 척수성 근위축 | G12.1 | V123 | |
운동신경세포병(단, 기타 및 상세불명의 운동신경세포병(G12.28)은 제외) | G12.2 | V123 | |
가족성 운동신경세포병 | G12.20 | V123 | |
산발형 근위축측삭경화증 | G12.21 | V123 | |
케네디 병 | G12.28 | V123 | |
기타 척수성 근위축 및 관련 증후군 | G12.8 | V123 | |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 | G12.9 | V123 | |
할러포르덴-스파츠병 | G23.0 | V257 | |
색소성 담창구변성 | G23.0 | V257 | |
진행성 핵상안근마비 [스틸-리차드슨-올스제위스키] | G23.1 | V190 | |
아급성 괴사성 뇌병증[리이] | G31.81 | V208 | |
다발경화증 | G35 | V022 | |
뇌간(~의) 다발경화증 | G35 | V022 | |
척수(~의) 다발경화증 | G35 | V022 | |
다발경화증 NOS | G35 | V022 | |
전신성(~의) 다발경화증 | G35 | V022 | |
파종성(~의) 다발경화증 | G35 | V022 | |
시신경척수염[데빅병] | G36.0 | V276 | |
레녹스-가스토증후군 | G40.4 | V233 | |
웨스트증후군 | G40.4 | V233 | |
긴장-간대성 뇌전증지속상태 | G41.0 | V125 | |
대발작 뇌전증지속상태 | G41.0 | V125 | |
소발작뇌전증지속상태 | G41.1 | V125 | |
뇌전증 압상스지속상태 | G41.1 | V125 | |
복합부분뇌전증지속상태 | G41.2 | V125 | |
기타 뇌전증지속상태 | G41.8 | V125 | |
상세불명의 뇌전증지속상태 | G41.9 | V125 | |
발작수면 및 허탈발작 | G47.4 | V234 | |
멜커슨증후군 | G51.2 | V167 | |
멜케르손-로젠탈증후군 | G51.2 | V167 | |
데제린-소타스병 | G60.0 | V169 | |
루시-레비증후군 | G60.0 | V169 | |
영아기의 비대성 신경병증 | G60.0 | V169 | |
유전성 운동 및 감각 신경병증 I-IV형 | G60.0 | V169 | |
유전성 운동 및 감각 신경병증 | G60.0 | V169 | |
샤르코-마리-투스질환 | G60.0 | V169 | |
비골근위축(축삭형, 비대형) | G60.0 | V169 | |
길랭-바레증후군 | G61.0 | V126 | |
밀러휘셔증후군 | G61.0 | V126 | |
다초점 운동신경병증 | G61.8 | V126 | |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 | G61.8 | V126 | |
중증근무력증 | G70.0 | V012 | |
선천성 및 발달성 근무력증 | G70.2 | V012 | |
조기수축을 동반하는 양성 어깨종아리[에머리-드라이프스]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뒤쉔 또는 베커와 유사한 보통염색체열성, 소아형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눈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어깨종아리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중증[뒤쉔]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양성[베커]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눈인두성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지대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원위성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얼굴어깨팔 근디스트로피 | G71.0 | V012 | |
근긴장장애 | G71.1 | V012 | |
거짓근긴장증 | G71.1 | V012 | |
신경근육긴장[아이작스] | G71.1 | V012 | |
증상성 근긴장증 | G71.1 | V012 | |
선천성 근긴장증 NOS | G71.1 | V012 | |
열성[베커] 선천성 근긴장증 | G71.1 | V012 | |
우성[톰슨] 선천성 근긴장증 | G71.1 | V012 | |
연골형성장애성 근긴장증 | G71.1 | V012 | |
근긴장디스트로피[스타이너트] | G71.1 | V012 | |
선천성 이상근긴장증 | G71.1 | V012 | |
다발심 병 | G71.2 | V012 | |
선천성 근병증 | G71.2 | V012 | |
근섬유의 특정 형태이상을 동반한 선천성 근디스트로피(G71.2) | G71.2 | V012 | |
미세심 병 | G71.2 | V012 | |
네말린근병증 | G71.2 | V012 | |
선천성 근디스트로피 NOS | G71.2 | V012 | |
근세관성 (중심핵성) 근병증 | G71.2 | V012 | |
중심핵 병 | G71.2 | V012 | |
근섬유형 불균형 | G71.2 | V012 |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미토콘드리아근병증 | G71.3 | V012 | |
멜라스증후군 | G71.3 | V012 | |
유전성 근병증 NOS | G71.9 | V012 | |
주기마비(가족성) 저칼륨혈성 | G72.3 | V258 | |
람베르트-이튼증후군(C00-D48†) | G73.1* | V259 | |
복합부위통증증후군 I형 | G90.5 | V177 | |
복합부위통증증후군 Ⅱ형 | G90.6 | V168 | |
척수공동증 및 연수공동증 | G95.0 | V172 | |
푹스디스트로피 | H18.5 | V307 | |
원추각막 | H18.6 | V307 | |
맥락막결손 | H31.2 | V295 | |
코츠망막병증 | H35.0 | V260 | |
색소망막염 | H35.51 | V209 | |
스타르가르트병 | H35.58 | V209 | |
레베르선천성흑암시 | H35.59 | V209 | |
상세불명의 유전성 망막디스트로피 | H35.59 | V209 | |
컨스-세이어증후군 | H49.8 | V261 | |
원발성 폐동맥고혈압 | I27.0 | V202 | |
아이젠멘거복합 | I27.8 | V226 | |
아이젠멘거증후군 | I27.8 | V226 | |
비가역적 확장성 심근병증 | I42.0 | V127 | |
폐색성 비대성 심근병증 | I42.1 | V127 | |
비대성 대동맥판하협착 | I42.1 | V127 | |
비폐색성 비대성 심근병증 | I42.20 | V127 | |
심내막심근(호산구성)병 | I42.3 | V127 | |
심내막심근(열대성)섬유증 | I42.3 | V127 | |
뢰플러심내막염 | I42.3 | V127 | |
심내막탄력섬유증 | I42.4 | V127 | |
선천성 심근병증 | I42.4 | V127 | |
긴QT증후군 | I49.82 | V296 | |
모야모야병 | I67.5 | V128 | |
폐색혈전혈관염[버거병] | I73.1 | V129 | |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확장증 | I78.0 | V297 | |
랑뒤-오슬러-웨버병 | I78.0 | V235 | |
버드-키아리증후군 | I82.0 | V173 | |
폐포단백질증 | J84.0 | V222 | |
특발성 폐섬유증 | J84.1 | V236 | |
불완전상아질형성 | K00.51 | V310 | |
소장의 크론병 | K50.0 | V130 | |
대장의 크론병 | K50.1 | V130 | |
소장 및 대장 모두의 크론병 | K50.8 | V130 | |
가성 장 폐색 | K56.0 | V312 | |
원발성 담즙성 경변증 | K74.3 | V174 | |
자가면역성 간염 | K75.4 | V175 | |
원발성 담관염/경화성 담관염(두 상병 진단기준 모두 충족하는 경우) | K83.0 | V262 | |
보통천포창 | L10.0 | V132 | |
낙엽천포창 | L10.2 | V210 | |
수포성 유사천포창 | L12.0 | V211 | |
흉터유사천포창 | L12.1 | V212 | |
양성 점막유사천포창 | L12.1 | V212 | |
후천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 L12.3 | V176 | |
전신농포건선 | L40.1 | V313 | |
중증 화농성 한선염 | L73.22 | V309 | |
성인발병 스틸병 | M06.1 | V298 | |
류마티스인자가 있거나 없는 연소성 류마티스관절염 | M08.0 | V133 | |
연소성 류마티스관절염 | M08.0 | V133 | |
연소성 강직척추염 | M08.1 | V133 | |
전신적으로 발병된 연소성 관절염 | M08.2 | V133 | |
(혈청검사음성인) 연소성 다발관절염 | M08.3 | V133 | |
만성 연소성 다발관절염 | M08.3 | V133 | |
결절성 다발동맥염 | M30.0 | V134 | |
폐침범을 동반한 다발동맥염[처그-스트라우스] | M30.1 | V134 | |
연소성 다발동맥염 | M30.2 | V134 | |
굿파스쳐증후군 | M31.0 | V135 | |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 | M31.1 | V135 | |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 M31.1 | V135 | |
베게너육아종증 | M31.3 | V135 | |
괴사성 호흡기육아종증 | M31.3 | V135 | |
대동맥궁증후군[다까야수] | M31.4 | V135 | |
현미경적 다발동맥염 | M31.7 | V238 | |
기관 또는 계통 침범을 동반한 전신홍반루푸스 | M32.1 | V136 | |
심내막염 동반 전신홍반루푸스(I39.8*) | M32.1 | V136 | |
리브만–삭스병(I39.0*) | M32.1 | V136 | |
루푸스 심장낭염(I32.8*) | M32.1 | V136 | |
폐침범 동반 전신홍반루푸스(J99.1+) | M32.1 | V136 | |
사구체질환 동반 전신홍반루푸스(N08.5*) | M32.1 | V136 | |
세뇨관–간질신장병증 동반 전신홍반루푸스(N16.4*) | M32.1 | V136 | |
신장침범 동반 전신홍반루푸스(N08.5*, N16.4*) | M32.1 | V136 | |
전신홍반루푸스에서의 뇌염(G05.8*) | M32.1 | V136 | |
전신홍반루푸스에서의 근병증(G73.7*) | M32.1 | V136 | |
전신홍반루푸스에서의 대뇌동맥염(I68.2*) | M32.1 | V136 | |
연소성 피부근염 | M33.0 | V137 | |
기타 피부근염 | M33.1 | V137 | |
다발근염 | M33.2 | V137 | |
진행성 전신경화증 | M34.0 | V138 | |
크레스트증후군 | M34.1 | V138 | |
석회증, 레이노현상, 식도기능장애, 경지증(硬指症), 모세혈관확장의 조합 | M34.1 | V138 | |
폐침범을 동반한 전신경화증(J99.1*) | M34.8 | V138 | |
근병증을 동반한 전신경화증(G73.7*) | M34.8 | V138 | |
근병증을(를) 동반한 쉐그렌증후군(G73.7*) | M35.0 | V139 | |
폐침범을(를) 동반한 쉐그렌증후군(J99.1*) | M35.0 | V139 | |
건조증후군[쉐그렌] | M35.0 | V139 | |
각막결막염을(를) 동반한 쉐그렌증후군(H19.3*) | M35.0 | V139 | |
신세뇨관-간질성 장애을(를) 동반한 쉐그렌증후군(N16.4*) | M35.0 | V139 | |
혼합결합조직병 | M35.1 | V139 | |
베체트병 | M35.2 | V139 | |
류마티스성 다발근통 | M35.3 | V139 | |
미만성(호산구성) 근막염 | M35.4 | V139 | |
다초점 섬유경화증 | M35.5 | V139 | |
재발성 지방층염[웨버-크리스찬] | M35.6 | V139 | |
진행성 골화섬유형성이상 | M61.1 | V224 | |
두개골의 파젯병 | M88.0 | V213 | |
기타 뼈의 파젯병 | M88.8 | V213 | |
상세불명의 뼈의 파젯병 | M88.9 | V213 | |
수근반달뼈의 골연골증(연소성)〔킨뵉〕 | M92.2 | V299 | |
성인의 킨뵉병 | M93.1 | V299 | |
재발성 다발연골염 | M94.1 | V178 | |
소사구체이상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0 | V263 | |
최소변화병변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0 | V263 | |
초점성 및 분절성 사구체병변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1 | V263 | |
초점성 및 분절성 유리질증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1 | V263 | |
초점성 및 분절성 경화증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1 | V263 | |
초점성 사구체신염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1 | V263 | |
미만성 막성 사구체신염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2 | V263 | |
미만성 메산지음 증식성 사구체신염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3 | V263 | |
미만성 모세혈관내 증식성 사구체신염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4 | V263 | |
미만성 메산지음 모세혈관성 사구체신염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5 | V263 | |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1형, 3형 또는 NOS를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5 | V263 | |
고밀도침착병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6 | V263 | |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2형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6 | V263 | |
미만성 반월형 사구체신염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7 | V263 | |
모세혈관외 사구체신염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 N04.7 | V263 | |
신장성 요붕증 | N25.1 | V141 | |
댄디-워커증후군 | Q03.1 | V239 | |
무뇌이랑증 | Q04.3 | V214 | |
큰뇌이랑증 | Q04.3 | V214 | |
분열뇌증 | Q04.6 | V240 | |
수두증을 동반한 이분경추 | Q05.0 | V179 | |
수두증을 동반한 이분흉추 | Q05.1 | V179 | |
수두증을 동반한 이분흉요추 | Q05.1 | V179 | |
수두증을 동반한 이분척추 | Q05.1 | V179 | |
수두증을 동반한 이분요추 | Q05.2 | V179 | |
수두증을 동반한 이분요천추 | Q05.2 | V179 | |
수두증을 동반한 이분천추 | Q05.3 | V179 | |
수두증을 동반한 상세불명의 이분척추 | Q05.4 | V179 | |
수두증이 없는 이분경추 | Q05.5 | V179 | |
수두증이 없는 이분흉추 | Q05.6 | V179 | |
이분흉요추 NOS | Q05.6 | V179 | |
이분척추 NOS | Q05.6 | V179 | |
이분요천추 NOS | Q05.7 | V179 | |
수두증이 없는 이분요추 | Q05.7 | V179 | |
수두증이 없는 이분천골 | Q05.8 | V179 | |
상세불명의 이분척추 | Q05.9 | V179 | |
척수이개증 | Q06.2 | V180 | |
아놀드-키아리증후군 | Q07.0 | V143 | |
(외)이도의 선천성 결여, 폐쇄, 협착 | Q16.1 | V291 | |
소이증(小耳症) | Q17.2 | V291 | |
총동맥간 | Q20.0 | V144 | |
동맥간존속 | Q20.0 | V144 | |
타우시그-빙증후군 | Q20.1 | V144 | |
이중출구우심실 | Q20.1 | V144 | |
이중출구좌심실 | Q20.2 | V144 | |
대혈관의 (완전)전위 | Q20.3 | V144 | |
심실대혈관연결불일치 | Q20.3 | V144 | |
대동맥의 우측전위 | Q20.3 | V144 | |
단일심실 | Q20.4 | V225 | |
수정혈관전위 | Q20.5 | V144 | |
방실연결불일치 | Q20.5 | V144 | |
좌측전위 | Q20.5 | V144 | |
심실내번 | Q20.5 | V144 | |
방실중격결손 | Q21.2 | V269 | |
총방실관 | Q21.2 | V269 | |
심내막융기결손 | Q21.2 | V269 | |
제1공심방중격결손(Ⅰ형) | Q21.2 | V269 | |
팔로네징후 | Q21.3 | V269 | |
폐동맥 협착 또는 폐쇄, 대동맥의 우측위치 및 우심실비대를 동반한 심실중격결손 | Q21.3 | V269 | |
대동맥폐동맥창 | Q21.4 | V269 | |
대동맥폐동맥중격결손 | Q21.4 | V269 | |
대동맥중격결손 | Q21.4 | V269 | |
아이젠멘거결손 | Q21.8 | V226 | |
폐동맥판폐쇄 | Q22.0 | V145 | |
삼첨판폐쇄 | Q22.4 | V146 | |
에브스타인이상 | Q22.5 | V146 | |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 | Q22.6 | V146 | |
대동맥판의 선천협착 | Q23.0 | V147 | |
선천성 대동맥판폐쇄 | Q23.0 | V147 | |
선천성 대동맥판협착 | Q23.0 | V147 | |
이첨대동맥판막 | Q23.1 | V147 | |
선천성 대동맥판기능부전 | Q23.1 | V147 | |
대동맥판의 선천성 기능부전 | Q23.1 | V147 | |
선천성 대동맥판류역류 | Q23.1 | V147 | |
선천성 승모판협착 | Q23.2 | V147 | |
선천성 승모판폐쇄 | Q23.2 | V147 | |
선천성 승모판기능부전 | Q23.3 | V147 | |
(승모판 협착 또는 폐쇄와 함께) 상행대동맥의 형성저하와 좌심실의 결손발육을 동반하는 대동맥구멍 및 판막의 폐쇄 또는 현저한 발육부전 | Q23.4 | V147 | |
형성저하성 좌심증후군 | Q23.4 | V147 | |
대동맥판 및 승모판의 기타 선천기형 | Q23.8 | V147 | |
대동맥판 및 승모판의 상세불명의 선천기형 | Q23.9 | V147 | |
선천성 대동맥판하협착 | Q24.4 | V270 | |
관상동맥혈관의 기형 | Q24.5 | V148 | |
선천성 관상동맥류 | Q24.5 | V148 | |
선천성 심장차단 | Q24.6 | V271 | |
대동맥의 축착 | Q25.1 | V272 | |
대동맥의 축착(관전, 관후) | Q25.1 | V272 | |
대동맥의 폐쇄 | Q25.2 | V272 | |
판막상부 대동맥협착 | Q25.3 | V272 | |
대동맥의 협착 | Q25.3 | V272 | |
폐동맥의 폐쇄 | Q25.5 | V149 | |
대정맥의 선천성 협착 | Q26.0 | V150 | |
(하)(상)대정맥의 선천성 협착 | Q26.0 | V150 | |
좌상대정맥존속 | Q26.1 | V150 | |
전폐정맥결합이상 | Q26.2 | V150 | |
부분폐정맥결합이상 | Q26.3 | V150 | |
상세불명의 폐정맥결합이상 | Q26.4 | V150 | |
문맥결합이상 | Q26.5 | V150 | |
문맥-간동맥루 | Q26.6 | V150 | |
무설증(無舌症) | Q38.3 | V241 | |
담관의 폐쇄 | Q44.2 | V181 | |
다낭성 신장, 보통염색체열성 | Q61.1 | V264 | |
다낭성 신장, 영아형 | Q61.1 | V264 | |
다낭성 신장, 보통염색체우성 | Q61.2 | V264 | |
방광외반 | Q64.1 | V227 | |
방광이소증 | Q64.1 | V227 | |
방광외번 | Q64.1 | V227 | |
선천성 다발관절만곡증 | Q74.3 | V292 | |
두개골유합 | Q75.0 | V265 | |
뾰족머리증(Acrocephaly) | Q75.0 | V265 | |
두개골의 불완전유합 | Q75.0 | V265 | |
뾰족머리증(Oxycephaly) | Q75.0 | V265 | |
삼각머리증 | Q75.0 | V265 | |
크루존병 | Q75.1 | V151 | |
두개안면골이골증 | Q75.1 | V151 | |
하악안면골이골증 | Q75.4 | V182 | |
프란체스쉐티 증후군 | Q75.4 | V182 | |
트레처-콜린스 증후군 | Q75.4 | V182 | |
연골무발생증 | Q77.0 | V228 | |
연골발생저하증 | Q77.0 | V228 | |
치사성 단신 | Q77.1 | V228 | |
질식성 흉부형성이상[쥐느] | Q77.2 | V228 | |
짧은늑골증후군 | Q77.2 | V228 | |
점상 연골형성이상 | Q77.3 | V228 | |
어깨고관절 점상 연골형성이상(1형-3형) | Q77.3 | V228 | |
X-연관 우성 연골형성이상 | Q77.3 | V228 | |
연골무형성증 | Q77.4 | V228 | |
연골형성저하증 | Q77.4 | V228 | |
선천성 골경화증 | Q77.4 | V228 | |
디스트로피성 형성이상 | Q77.5 | V228 | |
엘리스-반크레벨트증후군 | Q77.6 | V228 | |
연골외배엽형성이상 | Q77.6 | V228 | |
척추골단형성이상 | Q77.7 | V228 | |
만발성 척추골단형성이상 | Q77.7 | V228 | |
관상골 및 척추의 성장결손을 동반한 기타 골연골형성이상 | Q77.8 | V228 | |
말단왜소 형성이상 | Q77.8 | V228 | |
관상골 및 척추의 성장결손을 동반한 상세불명의 골연골형성이상 | Q77.9 | V228 | |
불완전골형성 | Q78.0 | V183 | |
골취약증(Fragilitas ossium) | Q78.0 | V183 | |
골취약증(Osteopsathyrosis) | Q78.0 | V183 | |
다골성 섬유성 형성이상 | Q78.1 | V154 | |
얼브라이트(-맥쿤)(-스턴버그)증후군 | Q78.1 | V154 | |
골화석증 | Q78.2 | V229 | |
알베르스-쇤베르그증후군 | Q78.2 | V229 | |
카무라티-엥겔만증후군 | Q78.3 | V266 | |
내연골종증 | Q78.4 | V230 | |
마푸치증후군 | Q78.4 | V230 | |
올리에르병 | Q78.4 | V230 | |
필레증후군 | Q78.5 | V215 | |
다발선천외골증 | Q78.6 | V242 | |
골간병적조직연결 | Q78.6 | V242 | |
유전성 다발외골증 | Q78.6 | V242 | |
선천성 횡격막탈장 | Q79.0 | V155 | |
횡격막결여 | Q79.1 | V155 | |
횡격막 탈출 | Q79.1 | V155 | |
횡격막의 기타 선천기형 | Q79.1 | V155 | |
횡격막의 선천기형 NOS | Q79.1 | V155 | |
배꼽내장탈장 | Q79.2 | V155 | |
선천복벽탈장 | Q79.2 | V155 | |
복벽파열증 | Q79.3 | V155 | |
말린자두배증후군 | Q79.4 | V155 | |
복벽의 기타 선천기형 | Q79.5 | V155 | |
엘러스-단로스증후군 | Q79.6 | V155 | |
근골격계통의 기타 선천기형 | Q79.8 | V155 | |
부근 | Q79.8 | V155 | |
선천성 짧은힘줄 | Q79.8 | V155 | |
근육의 결여 | Q79.8 | V155 | |
폴란드증후군 | Q79.8 | V155 | |
힘줄의 결여 | Q79.8 | V155 | |
선천성 근위축 | Q79.8 | V155 | |
선천성 협착띠 | Q79.8 | V155 | |
근골격계통의 상세불명의 선천기형 | Q79.9 | V155 | |
근골격계통의 선천이상 NOS | Q79.9 | V155 | |
근골격계통의 선천변형 NOS | Q79.9 | V155 | |
X—연관비늘증 | Q80.1 | V300 | |
X—연관비늘증; 스테로이드설파타제결핍 | Q80.1 | V300 | |
할리퀸태아 | Q80.4 | V300 | |
치사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 Q81.1 | V184 | |
헤를리츠증후군 | Q81.1 | V184 | |
디스트로피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 Q81.2 | V184 | |
탄력섬유성 거짓황색종 | Q82.8 | V314 | |
신경섬유종증(비악성) | Q85.0 | V156 | |
폰렉클링하우젠병 | Q85.0 | V156 | |
신경섬유종증(비악성) 1형, 2형 | Q85.0 | V156 | |
결절성 경화증 | Q85.1 | V204 | |
에필로이아 | Q85.1 | V204 | |
부르느뷰병 | Q85.1 | V204 | |
폰 히펠-린다우 증후군 | Q85.8 | V216 | |
포이츠-제거스 증후군 | Q85.8 | V216 | |
스터지-베버(-디미트리) 증후군 | Q85.8 | V216 | |
(이상형태성) 태아알코올증후군 | Q86.0 | V157 | |
고린-샤우드리-모스 증후군 | Q87.0 | V185 | |
주로 얼굴형태에 영향을 주는 선천기형증후군 | Q87.0 | V185 | |
잠복안구증후군 | Q87.0 | V185 | |
골덴하 증후군 | Q87.0 | V185 | |
로빈 증후군 | Q87.0 | V185 | |
첨두다지유합증 | Q87.0 | V185 | |
첨두유합지증 | Q87.0 | V185 | |
단안증 | Q87.0 | V185 | |
뫼비우스 증후군 | Q87.0 | V185 | |
입-얼굴-손발 증후군 | Q87.0 | V185 | |
휘파람부는 얼굴 | Q87.0 | V185 | |
카펜터 증후군 | Q87.0 | V185 | |
안치지의 형성이상 | Q87.0 | V185 | |
드 랑즈 증후군 | Q87.1 | V158 | |
두보위츠 증후군 | Q87.1 | V158 | |
프라더-윌리 증후군 | Q87.1 | V158 | |
로비노-실버만-스미스 증후군 | Q87.1 | V158 | |
시클 증후군 | Q87.1 | V158 | |
주로 단신과 관련된 선천기형증후군 | Q87.1 | V158 | |
아르스코그 증후군 | Q87.1 | V158 | |
코케인 증후군 | Q87.1 | V158 | |
누난 증후군 | Q87.1 | V158 | |
러셀-실버 증후군 | Q87.1 | V158 | |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 | Q87.1 | V158 | |
쉐그렌-라손 증후군 | Q87.1 | V158 | |
루빈스타인-테이비 증후군 | Q87.2 | V243 | |
바테르 증후군 | Q87.2 | V243 | |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 | Q87.2 | V243 | |
홀트-오람 증후군 | Q87.2 | V243 | |
손발톱무릎뼈 증후군 | Q87.2 | V243 | |
소토스 증후군 | Q87.3 | V244 | |
위버 증후군 | Q87.3 | V244 | |
마르팡증후군 | Q87.4 | V186 | |
알포트 증후군 | Q87.8 | V267 | |
로렌스-문(-바르데)-비들 증후군 | Q87.8 | V267 | |
젤웨거 증후군 | Q87.8 | V267 | |
촤지 증후군 | Q87.8 | V267 | |
21삼염색체증, 감수분열비분리 | Q90.0 | V159 | |
21삼염색체증, 섞임증형(유사분열비분리) | Q90.1 | V159 | |
21삼염색체증, 전위 | Q90.2 | V159 | |
21삼염색체증 NOS | Q90.9 | V159 | |
18삼염색체증, 감수분열비분리 | Q91.0 | V160 | |
18삼염색체증, 섞임증형(유사분열비분리) | Q91.1 | V160 | |
18삼염색체증, 전위 | Q91.2 | V160 | |
13삼염색체증, 감수분열비분리 | Q91.4 | V160 | |
13삼염색체증, 섞임증형(유사분열비분리) | Q91.5 | V160 | |
13삼염색체증, 전위 | Q91.6 | V160 | |
13삼염색체증후군 | Q91.7 | V160 | |
5번 염색체 단완의 결손 | Q93.4 | V205 | |
고양이울음증후군 | Q93.4 | V205 | |
캐취22증후군 | Q93.5 | V217 | |
엔젤만증후군 | Q93.5 | V217 | |
스미스-마제니스 증후군 | Q93.5 | V217 | |
윌리엄스 증후군 | Q93.5 | V217 | |
핵형45, X | Q96.0 | V021 | |
핵형46, X동인자(Xq) | Q96.1 | V021 | |
동인자(Xq)를 제외한 이상 성염색체를 가진 핵형46, X | Q96.2 | V021 | |
섞임증, 45, X/46, XX 또는 XY | Q96.3 | V021 | |
섞임증, 이상성염색체를 가진 45, X/기타 세포열 | Q96.4 | V021 | |
클라인펠터증후군, 핵형 47, XXY | Q98.0 | V218 | |
클라인펠터증후군, 두 개 이상의 X염색체를 가진 남성 | Q98.1 | V218 | |
클라인펠터증후군, 핵형 46, XX를 가진 남성 | Q98.2 | V218 | |
취약X증후군 | Q99.2 | V245 | |
3 | 제7조 제2항에 따른 요양기관을 통해 등록된 극희귀질환자가 해당 상병 관련 진료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입원진료 |
V900 | |
4 | 제7조 제2항에 따른 요양기관을 통해 등록된 기타염색체이상질환자가 해당 상병 관련 진료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입원진료 |
V901 | |
5 | 제7조 제2항에 따른 요양기관을 통해 등록된 상세불명 희귀질환자가 해당 상병 관련 진료 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입원진료 |
V999 |
[별표4의2] 중증난치질환자 산정특례 대상 (제5조 관련)
- 제7조에 따라 산정특례 대상으로 등록된 중증난치질환자가
등록일로부터 5년간 해당 상병으로 진료를 받은 경우.
단,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질환(B20~B24)은 등록에서 제외함.
구분 | 상병명 | 상병코드 | 특정 기호 |
1 | 만성신부전증환자의 경우 | ||
인공신장투석 실시 당일 외래진료, 해당 시술 관련 입원진료 또는 인공신장투석을 위한 시술·수술 관련 진료 |
V001 | ||
계속적 복막관류술 실시, 복막관류액 수령 당일 외래진료 또는 해당 시술 관련 입원진료 |
V003 | ||
2 | 혈우병 환자가 항응고인자∙동결침전제제 등의 약제 및 기타 혈우병 치료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해당 치료 관련 입원 진료 |
||
후천성 응고인자결핍 | D68.4 | V284 | |
3 | 장기이식 환자의 경우 | ||
간 이식술 및 이와 직접 관련된 입원치료 및 외래진료 | V013 | ||
췌장 이식술 및 이와 직접 관련된 입원치료 및 외래진료 | V014 | ||
심장 이식술 및 이와 직접 관련된 입원치료 및 외래진료 | V015 | ||
신 이식술 및 이와 직접 관련된 입원치료 및 외래진료 | V005 | ||
폐 이식술 및 이와 직접 관련된 입원치료 및 외래진료 | V277 | ||
소장 이식술 및 이와 직접 관련된 입원치료 및 외래진료 | V278 | ||
4 | 정신질환자가 해당 상병으로 관련 진료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입원진료 |
||
편집조현병 | F20.0 | V161 | |
편집분열성 조현병 | F20.0 | V161 | |
파과형조현병 | F20.1 | V161 | |
해체성 조현병 | F20.1 | V161 | |
파과증 | F20.1 | V161 | |
긴장성 조현병 | F20.2 | V161 | |
긴장성 혼미 | F20.2 | V161 | |
조현병성 카탈렙시 | F20.2 | V161 | |
조현병성 긴장증 | F20.2 | V161 | |
조현병성 납굴증 | F20.2 | V161 | |
미분화조현병 | F20.3 | V161 | |
비정형조현병 | F20.3 | V161 | |
조현병후우울증 | F20.4 | V161 | |
잔류조현병 | F20.5 | V161 | |
만성 미분화조현병 | F20.5 | V161 | |
레스트추스탄트(조현병성) | F20.5 | V161 | |
조현병성 잔류상태 | F20.5 | V161 | |
단순형조현병 | F20.6 | V161 | |
기타 조현병 | F20.8 | V161 | |
체감장애조현병 | F20.8 | V161 | |
조현양상장애 NOS | F20.8 | V161 | |
조현양상정신병 NOS | F20.8 | V161 | |
상세불명의 조현병 | F20.9 | V161 | |
조현형장애 | F21 | V161 | |
잠재 조현병성 반응 | F21 | V161 | |
경계성 조현병 | F21 | V161 | |
잠재성 조현병 | F21 | V161 | |
전정신병적 조현병 | F21 | V161 | |
전구성 조현병 | F21 | V161 | |
거짓신경증성 조현병 | F21 | V161 | |
거짓정신병증성 조현병 | F21 | V161 | |
조현형인격장애 | F21 | V161 | |
망상장애 | F22.0 | V161 | |
편집증 | F22.0 | V161 | |
편집증정신병 | F22.0 | V161 | |
편집증상태 | F22.0 | V161 | |
망상분열증(만기의) | F22.0 | V161 | |
민감망상 | F22.0 | V161 | |
기타 지속성 망상장애 | F22.8 | V161 | |
망상성 이상형태공포증 | F22.8 | V161 | |
퇴행성 편집상태 | F22.8 | V161 | |
불평편집증 | F22.8 | V161 | |
상세불명의 지속적 망상장애 | F22.9 | V161 | |
조현병의 증상이 없는 급성 다형성 정신병장애 | F23.0 | V161 | |
조현병 및 상세불명의 증상이 없는 순환형 정신병 | F23.0 | V161 | |
조현병 증상이 없거나 상세불명의 부페 델리랑뜨 | F23.0 | V161 | |
조현병의 증상이 있는 급성 다형성 정신병장애 | F23.1 | V161 | |
조현병의 증상이 있는 순환형 정신병 | F23.1 | V161 | |
조현병 증상이 있는 부페 델리랑뜨 | F23.1 | V161 | |
급성 조현병-유사정신병장애 | F23.2 | V161 | |
급성 (미분화형) 조현병 | F23.2 | V161 | |
단기 조현양상장애 | F23.2 | V161 | |
단기 조현양상정신병 | F23.2 | V161 | |
몽환정신병 | F23.2 | V161 | |
조현병성 반응 | F23.2 | V161 | |
기타 급성 주로 망상우세성 정신병장애 | F23.3 | V161 | |
편집반응 | F23.3 | V161 | |
심인성 편집정신병 | F23.3 | V161 | |
기타 급성 및 일과성 정신병장애 | F23.8 | V161 | |
상세불명의 급성 및 일과성 정신병장애 | F23.9 | V161 | |
단기 반응성 정신병 NOS | F23.9 | V161 | |
반응성 정신병 | F23.9 | V161 | |
유도망상장애 | F24 | V161 | |
감응성 정신병 | F24 | V161 | |
유도편집장애 | F24 | V161 | |
유도정신병장애 | F24 | V161 | |
조현정동장애, 조증형 | F25.0 | V161 | |
조현정동정신병, 조증형 | F25.0 | V161 | |
조현양상정신병, 조증형 | F25.0 | V161 | |
조현정동장애, 우울증형 | F25.1 | V161 | |
조현정동정신병, 우울증형 | F25.1 | V161 | |
조현양상정신병, 우울증형 | F25.1 | V161 | |
조현정동장애, 혼합형 | F25.2 | V161 | |
순환성 조현병 | F25.2 | V161 | |
혼합형 조현병성 및 정동성 정신병 | F25.2 | V161 | |
기타 조현정동장애 | F25.8 | V161 | |
상세불명의 조현정동장애 | F25.9 | V161 | |
조현정동정신병 NOS | F25.9 | V161 | |
기타 비기질성 정신병장애 | F28 | V161 | |
만성 환각성 정신병 | F28 | V161 | |
상세불명의 비기질성 정신병 | F29 | V161 | |
정신병 NOS | F29 | V161 | |
5 | 아래의 상병을 갖고 있는 환자가 해당 상병 관련 진료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입원진료 |
||
도슨 봉입체뇌염 | A81.1 | V282 | |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 | A81.1 | V282 | |
밴보게르트 경화성 백질뇌병증 | A81.1 | V282 | |
진행성 다초점백질뇌병증 | A81.2 | V282 | |
다초점백질뇌병증 NOS | A81.2 | V282 | |
중추신경계통의 기타 비정형바이러스감염 | A81.8 | V282 | |
쿠루 | A81.8 | V282 | |
중추신경계통의 상세불명의 비정형바이러스감염 | A81.9 | V282 | |
중추신경계통의 프리온질환 NOS | A81.9 | V282 | |
마이코박테리아감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0.0 | V103 | |
결핵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0.0 | V103 | |
기타 세균감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0.1 | V103 | |
거대세포바이러스병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0.2 | V103 | |
기타 바이러스감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0.3 | V103 | |
칸디다증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0.4 | V103 | |
기타 진균증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0.5 | V103 | |
폐포자충폐렴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HIV disease resulting in Pneumocystis jirovecii pneumonia) |
B20.6 | V103 | |
폐포자충폐렴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HIV disease resulting in 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 |
B20.6 | V103 | |
다발감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0.7 | V103 | |
기타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0.8 | V103 | |
상세불명의 감염성 또는 기생충성 질환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0.9 | V103 | |
감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NOS | B20.9 | V103 | |
카포시육종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1.0 | V103 | |
버킷림프종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1.1 | V103 | |
기타 유형의 비호지킨림프종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1.2 | V103 | |
림프성, 조혈성 및 관련 조직의 기타 악성 신생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1.3 | V103 | |
다발성 악성 신생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1.7 | V103 | |
기타 악성 신생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1.8 | V103 | |
상세불명의 악성 신생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1.9 | V103 | |
뇌병증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2.0 | V103 | |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치매 | B22.0 | V103 | |
림프성 간질폐렴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2.1 | V103 | |
소모증후군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2.2 | V103 | |
슬림병 | B22.2 | V103 | |
성장장애를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2.2 | V103 | |
달리 분류된 다발성 질환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2.7 | V103 | |
급성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감염증후군 | B23.0 | V103 | |
(지속성) 전신림프선병증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3.1 | V103 | |
달리 분류되지 않은 혈액학적 및 면역학적 이상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3.2 | V103 | |
기타 명시된 병태를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3.8 | V103 | |
상세불명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 B24 | V103 | |
후천면역결핍증후군 NOS | B24 | V103 | |
에이즈-관련복합 NOS | B24 | V103 | |
뇌하수체의 양성 신생물 | D35.2 | V162 | |
약물유발 무형성빈혈 | D61.1 | V283 | |
간질환에 의한 응고인자결핍 | D68.4 | V311 | |
약물유발 호중구감소 | D70 | V285 | |
과당대사장애 | E74.1 | V286 | |
유전성 과당불내성 | E74.1 | V286 | |
과당-1, 6-이인산분해효소결핍 | E74.1 | V286 | |
수크레이스결핍 | E74.3 | V286 | |
장성 탄수화물흡수의 기타 장애 | E74.3 | V286 | |
포도당-갈락토스흡수장애 | E74.3 | V286 | |
신생물딸림 신경근육병증 및 신경병증 | G13.0 | V287 | |
신생물딸림 변연부뇌병증(C00-D48+) | G13.1 | V287 | |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 일차적으로 중추신경계통을 침범하는 계통적 위축 |
G13.8 | V287 | |
파킨슨병 | G20 | V124 | |
특발성 파킨슨증 또는 파킨슨병 | G20 | V124 | |
원발성 파킨슨증 또는 파킨슨병 | G20 | V124 | |
편측파킨슨증 | G20 | V124 | |
떨림마비 | G20 | V124 | |
파킨슨증 또는 파킨슨병 NOS | G20 | V124 | |
난치성 뇌전증을 동반한 국소발병의 발작을 동반한 국소화-관련 (초점성)(부분적) 특발성 뇌전증 및 뇌전증증후군 |
G40.01 | V279 | |
난치성 뇌전증을 동반한 복합부분발작을 동반한 국소화-관련 (초점성)(부분적) 증상성 뇌전증 및 뇌전증증후군 |
G40.21 | V279 | |
난치성 뇌전증을 동반한 전신성 특발성 뇌전증 및 뇌전증증후군 |
G40.31 | V279 | |
결핵(~에서의) 다발신경병증(A17.82†) | G63.0 | V170 | |
디프테리아(~에서의) 다발신경병증(A36.8†) | G63.0 | V170 | |
감염성 단핵구증(~에서의) 다발신경병증(B27.-†) | G63.0 | V170 | |
나병(~에서의) 다발신경병증(A30.-†) | G63.0 | V170 | |
라임병(~에서의) 다발신경병증(A69.2†) | G63.0 | V170 | |
볼거리(~에서의) 다발신경병증(B26.8†) | G63.0 | V170 | |
포진후(~에서의) 다발신경병증(B02.2†) | G63.0 | V170 | |
만기매독(~에서의) 다발신경병증(A52.1†) | G63.0 | V170 | |
만기선천매독(~에서의) 다발신경병증(A50.4†) | G63.0 | V170 | |
달리 분류된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에서의 다발신경병증 | G63.0 | V170 | |
독성근신경장애 | G70.1 | V288 | |
노년성 황반변성(삼출성) | H35.31 | V201 | |
울혈성 심근병증 | I42.0 | V289 | |
기타 비대성 심근병증 | I42.28 | V289 | |
기타 제한성 심근병증 | I42.5 | V289 | |
궤양성 (만성) 범결장염 | K51.0 | V131 | |
궤양성 (만성) 직장염 | K51.2 | V131 | |
좌측 결장염 | K51.5 | V131 | |
기타 궤양성 대장염 | K51.8 | V131 | |
상세불명의 궤양성 대장염 | K51.9 | V131 | |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 | L20.85 | V308 | |
중증 보통건선 | L40.00 | V280 | |
비장림프절비대 및 백혈구감소가 동반된 류마티스관절염 | M05.0 | V223 | |
펠티증후군 | M05.0 | V223 | |
류마티스폐질환(J99.0*) | M05.1 | V223 | |
류마티스혈관염 | M05.2 | V223 | |
기타 기관 및 계통의 침범을 동반한 류마티스관절염 | M05.3 | V223 | |
기타 기관 및 계통의 침범을 동반한 류마티스 심장막염(I32.8*) | M05.3 | V223 | |
기타 기관 및 계통의 침범을 동반한 류마티스 다발신경병증(G63.6*) | M05.3 | V223 | |
기타 기관 및 계통의 침범을 동반한 류마티스 심근염(I41.8*) | M05.3 | V223 | |
기타 기관 및 계통의 침범을 동반한 류마티스 근병증(G73.7*) | M05.3 | V223 | |
기타 기관 및 계통의 침범을 동반한 류마티스 심내막염(I39.-*) | M05.3 | V223 | |
기타 기관 및 계통의 침범을 동반한 류마티스 심장염(I52.8*) | M05.3 | V223 | |
기타 혈청검사양성 류마티스관절염 | M05.8 | V223 | |
상세불명의 혈청검사양성 류마티스관절염 | M05.9 | V223 | |
절단성 관절염(L40.5†) | M07.1 | V237 | |
건선척추염(L40.5†) | M07.2 | V237 | |
기타 건선관절병증(L40.5†) | M07.3 | V237 | |
과민성 혈관염 | M31.0 | V290 | |
강직척추염, 척추의 여러 부위 | M45.0 | V140 | |
강직척추염, 후두환축부 | M45.1 | V140 | |
강직척추염, 경부 | M45.2 | V140 | |
강직척추염, 경흉추부 | M45.3 | V140 | |
강직척추염, 흉추부 | M45.4 | V140 | |
강직척추염, 흉요추부 | M45.5 | V140 | |
강직척추염, 요추부 | M45.6 | V140 | |
강직척추염, 요천부 | M45.7 | V140 | |
강직척추염, 천추 및 천미추부 | M45.8 | V140 | |
신생아의 호흡곤란증후군 | P22.0 | V142 | |
유리질막병 | P22.0 | V142 | |
신생아의 기타 호흡곤란 | P22.8 | V142 | |
신생아의 상세불명의 호흡곤란 | P22.9 | V142 | |
6 | 아래 상병으로 등록하여 해당 상병 및 이와 직접 관련된 외래진료 또는 입원진료 |
||
조기발병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G30.0†) | F00.0 | V800 | |
알츠하이머병 2형(G30.0†) | F00.0 | V800 | |
초로성 치매, 알츠하이머형(G30.0†) | F00.0 | V800 | |
알츠하이머형의 원발성 퇴행성 치매, 초로성 발병(G30.0†) | F00.0 | V800 | |
피크병에서의 치매(G31.00†) | F02.0 | V800 | |
조기발병을 수반한 알츠하이머병 | G30.0 | V800 | |
피크병 | G31.00 | V800 | |
전두측두치매 | G31.00 | V800 | |
의미변이원발진행실어증 | G31.01 | V800 | |
비유창원발진행실어증 | G31.02 | V800 | |
로고페닉원발진행실어증 | G31.03 | V800 |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원발진행실어증 | G31.04 | V800 | |
진행성 고립성 실어증 | G31.04 | V800 | |
루이소체치매(F02.8*) | G31.82 | V800 | |
7 | 아래 상병으로 등록하여 다음 중 한 가지 상황 발생 시, 해당 상병과 직접 관련된 외래진료 또는 입원진료를 받은 경우 등록일 기준 매년 최대 60일. 단, 의료법 제3조제2항제3호라목 의 요양병원을 제외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에서 신경과 또는 정신과 전문의가 의료적 으로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 60일 추가 인정 ① 치매 및 치매와 직접 관련되어 중증의 의료적 필요가 발생하여 입원 및 외래진료가 필요한 경우, ② 문제행동이 지속적으로 심하여 잦은 통원 혹은 입원치료가 필요한 경우, ③ 급속한 치매 증상의 악화로 의료적 재접근이 필요한 경우, ④ 급성 섬망 상태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 |
||
만기발병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G30.1†) | F00.1 | V810 | |
알츠하이머병 1형(G30.1†) | F00.1 | V810 | |
알츠하어머형의 원발성 퇴행성 치매, 노년발병(G30.1†) | F00.1 | V810 | |
알츠하이머형의 노년성 치매(G30.1†) | F00.1 | V810 | |
비정형 또는 혼합형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G30.8†) | F00.2 | V810 | |
비정형치매, 알츠하이머형(G30.8†) | F00.2 | V810 | |
급성 발병의 혈관성 치매 | F01.0 | V810 | |
다발-경색치매 | F01.1 | V810 | |
주로 피질성 치매 | F01.1 | V810 | |
피질하 혈관성 치매 | F01.2 | V810 | |
혼합형 피질 및 피질하 혈관성 치매 | F01.3 | V810 | |
만기발병을 수반한 알츠하이머병 | G30.1 | V810 |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 신‧구조문대비표(별표)
[별표 4] 희귀질환자 산정특례 대상
구분 2. 아래의 상병을 갖고 있는 환자가 해당 상병
관련 진료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입원진료
[신설]
상병명 | 상병코드 | 특정기호 |
상세불명의 공통 가변성 면역결핍 | D83.9 | V111 |
안드로젠저항증후군 | E34.5 | V166 |
가족성 운동신경세포병 | G12.20 | V123 |
산발형 근위축측삭경화증 | G12.21 | V123 |
케네디 병 | G12.28 | V123 |
푹스디스트로피 | H18.5 | V307 |
가성 장 폐색 | K56.0 | V312 |
전신농포건선 | L40.1 | V313 |
탄력섬유성 거짓황색종 | Q82.8 | V314 |
안치지의 형성이상 | Q87.0 | V185 |
[별표 4의2] 중증난치질환자 산정특례 대상
구분 | 상병명 | 상병 코드 |
특정 기호 |
2 | 혈우병 환자가 항응고인자∙동결침전제제 등의 약제 및 기타 혈우병 치료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해당 치료 관련 입원 진료 |
||
후천성 응고인자결핍 | D68.4 | V284 | |
. 간질환에 의한 응고인자결핍 ...........D684 V284 <삭 제> | |||
5 | 아래의 상병을 갖고 있는 환자가 해당 상병 관련 진료를 받은 당일 외래진료 또는 입원진료 |
||
간질환에 의한 응고인자결핍 | D68.4 | V311 |
'산정특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286호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 일부개정/24.1.1 (2) | 2023.12.28 |
---|---|
2023-269호 산정특례제도 실시 질의응답/2024.1.1 (0) | 2023.12.27 |
중증 난치질환 산정특례 등록기준 변경안내 23.10.1 (0) | 2023.09.25 |
만성신부전증 환자 산정특례 적용 관련 주요 변경내용 및 질의 사항 안내2023.8.3 (0) | 2023.08.03 |
2023-100호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 일부개정/23.6.1 (3)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