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제목 건강검진실시기준 개정 고시

야국화 2013. 4. 22. 15:03

제목 건강검진실시기준 개정 고시
등록일 2013-04-22[최종수정일 : 2013-04-22] 조회수 143
담당자 공주영( ☎ 02-2023-7516 ) 담당부서 건강증진과
제·개정일 2013-04-22 발령번호 제2013-61호

[보건복지부고시 제2013-61호]

「건강검진 실시기준」(보건복지부 고시 제2012-69호, 2012. 6.22)을 다음과 같이 개정․발령합니다.

2013. 4. 22

첨부

hwp 130422_건강검진실시기준_고시_일부개정_발령(제2013-61호)_별표,_별지.hwp (2 MB / 다운로드 : 96)

hwp 130422_건강검진실시기준_일부개정_발령(제2013-61호).hwp (21 KB / 다운로드 : 66)

hwp 130422_건강검진_실시기준_고시(제2013-61호)_전문.hwp (2 MB / 다운로드 : 41)

---------

보건복지부고시 제2013-61

 

건강검진 실시기준(보건복지부 고시 제2012-69, 2012. 6.22)을 다음과 같이 개정발령합니다.

 

2013422

보건복지부장관

 

건강검진실시기준 일부개정

 

건강검진실시기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2조제1호 중 26조제225조제2으로 하고, “26조제325조제3으로 하며, 같은 조 제3호와 제4호 중 26조제2항제125조제2항제1로 하고, 같은 조 제5호 중 26조제2항제225조제2항제2로 하며, 같은 조 제6호 중 26조제2항제325조제2항제3로 한다.

4조제1항 중 4752로 한다.

9조제3항 중 국민건강보험법 제49조제4법 제54조제4로 한다.

10조제5항제6호 중 및 결과통보서(별지 제6호서식)”“(별지 제6호서식)”으로 한다.

11조제1항제6호 중 문진표 및 결과통보서(별지 제6호서식)”결과통보서(15호서식)”으로 하고, 같은 조 제3항 중 서식 제1516로 하며, 같은 조 제4항 중 건강검진 결과를 전산으로 관리하는 경우에는 의료법23건강검진에 관한 자료를 보관관리하는 경우에는 의료법22조 내지 제23로 한다.

13조제5항 중 16호서식17호서식으로 한다.

14조제1항제1호 중 17호서식18호서식으로 한다.

15조의 제목 “(검진비용의 환수)”“(검진비용의 환수 등)”으로 하고, 같은 조 제2항 중 1항에공단 등은 제1항에로 하며, “국민건강보험법 제52법 제57로 하고, “환수할 수 있다. , [별표 9] 검진비용 환수 기준에 명시된 위반사항은 해당 환수기준을 따른다.”환수(, [별표 9] 검진비용 환수 기준에 명시된 위반사항은 해당 환수기준을 따른다.)할 수 있고, 해당 검진기관을 지정한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에게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로 하며, 같은 조 제4항 중 26조제325조제3으로 한다.

16조제1항 중 18호서식19호서식으로 한다.

별표 1 내지 별표 5, 별표 7 및 별표 9를 각각 별지와 같이 한다.

별지 제1호서식 내지 별지 제3호서식, 별지 제5호서식 내지 별지 제13호의5서식을 각각 별지와 같이 하고, 별지 제7호의2서식 및 제8호의2서식은 삭제한다.

별지 제15호서식 내지 별지 제19호서식을 각각 별지와 같이 별지 제16호서식 내지 별지 제20호서식으로 하고, 별지 제15호서식을 별지와 같이 신설한다.

별지 제21호서식 및 별지 제22호서식을 별지와 같이 신설한다.

(부록) 내원검진만을 실시하는 의원의 검체검사에 관한 관리 기준을 별지와 같이 한다.

 

부칙

 

1(시행일) 이 고시는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별표 2의 검진항목 중 간염검사의 검사방법 개정규정은 201371일부터 시행하고, 다음 각 호의 개정규정은 201411일부터 시행한다.

1. 별표 1, 별표 2 및 별표 4의 검진항목 중 구강검진개정규정

2. 별표 5구강”, 별표 5 별첨의 구강검진및 별표 7구강개정 규정

3. 별지 제3호서식, 별지 제6호서식, 별지 제6호의2서식, 별지 제6호의3서식 개정규정

4. 별지 제15호서식, 별지 제15호의2서식 및 별지 제15호의3서식의 신설규정

 

구조문대비표

현행

개정안

2(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2(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란 영 26조제2 내지 제3항과 의료급여법암관리법에 따라 해당년도에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자(영유아건강검진은 부모 등 보호자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를 말한다. 이 때 영 26조제3사무직이라 함은 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제99조제1항에 따른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말한다.

1. ----------- 25조제2 --------------------------------------------------------------------------------------------------------------------------------. ------- 25조제3---------------------------------------------------------------------------------------.

2. (생 략)

2. (현행과 같음)

3. “일반건강검진이란 영 26조제2항제1에 따른 대상자와 의료급여법에 따른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만19세부터 64세까지 세대주, 41세부터 64세까지의 세대원에게 실시하는 기본 건강검진을 말한다.

3. ------------------ 25조제2항제1---------------------------------------------------------------------------------------------------------------------------------------------------.

4.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이란 영 26조제2항제1에 따른 일반건강검진 대상자와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만 40세와 만 66세 연령에 도달하는 해에 실시하는 건강검진을 말한다.

4. ------------------------ 25조제2항제1--------------------------------------------------------------------------------------------------.

5. “암검진이란 영 26조제2항제2에 따른 대상자와 암관리법 시행령 제7조에서 정한 의료급여수급권자에게 실시하는 건강검진을 말한다.

5. ------------ 25조제2항제2------------------------------------------------------------------------------------.

6. “영유아건강검진이란 영 26조제2항제3에 따른 대상자와 6세 미만 의료급여수급권자에게 실시하는 건강검진을 말한다.

6. -------------------- 25조제2항제3---------------------------------------------------------------.

4(업무의 수행과 위탁)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은 법 47 및 이 기준에 따라 건강검진 실시에 필요한 업무를 수행한다.

4(업무의 수행과 위탁) ------------------------------------ 52---------------------------------------------------.

②ㆍ③ (생 략)

②ㆍ③ (현행과 같음)

9(검진 실시시기) ①ㆍ② (생 략)

9(검진 실시시기) ①ㆍ② (현행과 같음)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은 대상자가 만 40세와 만66세 연령에 도달하는 해에 실시한다. 다만, 당해연도 임신, 장기간(6개월이상)의 국외체류나 국민건강보험법 제49조제4에 해당하는 시설 수감 등 건강진단을 받지 못할 불가피한 사유가 있었던 신청자에 한하여 차기 연도까지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 법 제54조제4-------------------------------------------------------------------------------------------------------------------------------.

(생 략)

(현행과 같음)

10(검진 실시절차) ① ~ ④ (생 략)

10(검진 실시절차) ① ~ ④ (현행과 같음)

검진기관은 검진 실시에 앞서 다음 각 호의 문진표 등을 구비하여야 하고 대상자는 검진기관의 안내에 따라 해당 문진표 등을 작성하여 제출한다.

1. 5. (생 략)

6. 영유아 구강검진 문진표 및 결과통보서(별지 제6호서식)

7. (생 략)

--------------------------------------------------------------------------------------------------------------------.

1. 5. (현행과 같음)

6. -------구강검진 문진표(별지 제6호서식)

7. (현행과 같음)

(생 략)

(현행과 같음)

11(건강검진 결과 통보 등) 검진기관은 건강검진을 완료한 후 다음 각 호의 결과통보서를 작성하여 수검자에게 15일 이내에 건강검진 결과를 우편 등으로 통보하여야 한다.

1. 5. (생 략)

6. 영유아 구강검진 문진표 및 결과통보서(별지 제6호서식)

11(건강검진 결과 통보 등) ----------------------------------------------------------------------------------------------------------------------.

1. 5. (현행과 같음)

6. ----------------결과통보서(별지 제15호서식)

(생 략)

(현행과 같음)

2항에 따라 검진기관이 영유아건강검진 결과를 전산출력물 등을 이용하여 수기로 기재할 경우에는 신체계측란에 영유아 건강검진 연령별성별 성장도표(별지 서식 제15서식)”를 편집하여 인쇄하고, 연령과 성별을 확인한 후 정확하게 기재하여야 한다.

-------------------------------------------------------------------------------------------------------------------------------- 16---------------------------------------------------------------.

검진기관은 건강검진 결과를 전산으로 관리하는 경우에는 의료법23 건강검진기본법18조제4항에 따라 관리하여야 한다.

-------- 건강검진에 관한 자료를 보관·관리하는 경우에는 의료법22조 내지 제23 --------------------------------.

13(검진비용의 부담) ① ~ ④ (생 략)

13(검진비용의 부담) ① ~ ④ (현행과 같음)

암검진기관은 제1항제2호에 따른 암검진비용 중 수검자가 본인부담 비용에 대하여 증빙을 요청할 경우 암검진비계산서영수증(별지 16호서식)”을 발급하여야 한다. 이 경우 암검진비 계산서영수증은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7조제1항에서 정한 진료비 계산서영수증으로 갈음할 수 있다.

------------------------------------------------------------------------------------------------------------17호서식----------------. -----------------------------------------------------------------------------------------------------------------------.

14(검진비용의 청구지급) 검진기관은 건강검진을 완료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다음 각 호 중 해당 내용을 수록한 전산자료로 검진비용을 공단에 청구하여야 한다.

1. 검진비용 청구서(별지 17호서식)

2. 8. (생 략)

14(검진비용의 청구지급) ----------------------------------------------------------------------------------------------------------.

1. ---------------18호서식-

 

2. 8. (현행과 같음)

② ~ ⑦ (생 략)

② ~ ⑦ (현행과 같음)

15(검진비용의 환수) (생 략)

15(검진비용의 환수 등) (현행과 같음)

1항에 따라 위반한 사실을 확인한 경우에는 국민건강보험법 제52, 의료급여법 제23조의 규정에 따라 검진기관으로부터 검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수할 수 있다. , [별표 9] 검진비용 환수 기준에 명시된 위반사항은 해당 환수기준을 따른다.

공단 등은 제1항에 따라 ------------------ 법 제57, ------------------------------------------------------------------------------환수(, [별표 9] 검진비용 환수 기준에 명시된 위반사항은 해당 환수기준을 따른다.)할 수 있고, 해당 검진기관을 지정한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에게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공단 등은 수검자가 영 제26조제3항 및 이 기준 제9조제2항에 정한 검진횟수를 초과하여 검진을 받은 사실을 확인한 경우에는 해당 검진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검자로부터 환수할 수 있다.

------------------ 25조제3 -------------------------------------------------------------------------------------------------------------------------.

16(건강검진 결과의 활용 등) 공단과 검진기관은 건강검진기본법18조 내지 제19조와 제25조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검진자료를 활용하거나 수검자에 대한 사후관리를 할 수 있도록 수검자 또는 보호자에게 건강검진 사후관리를 할 수 있도록 수검자 또는 보호자에게 건강검진 사후관리를 위한 결과활용 동의서(별지 18호서식)”를 작성하도록 안내하여야 한다.

16(건강검진 결과의 활용 등) ------------------------------------------------------------------------------------------------------------------------------------------------------------------------------------------------------------------------------------------------19호서식--------------------------.

② ~ ③ (생 략)

② ~ ③ (현행과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