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제목 국민건강보험공단, 2012 건강보험주요통계 발간

야국화 2013. 3. 18. 13:51

제목 국민건강보험공단, 2012 건강보험주요통계 발간
등록일 2013-03-18 조회수 212
담당자 손병학 담당부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국민건강보험공단,『2012 건강보험주요통계』발간

 

 

 

 

 

 

 

 

 

 

 

 

 

 

 

 

 

 

 

? 2012년 건강보험                   47조 8,392억원,

 

 

 

 

 

 

 

 

 

 

 

 

 

 

 

 

 

 

 

 

 

 

 

 

전년대비 3.5%  증가 ?

 

 

 

건강보험 총 진료비 47조 8,392억 … 전년대비 3.5%(1조 6,013억) 증가

? 국민 1인당 월평균 진료비 80,545원 … 전년대비 2.7% 증가

? 65세 이상 노인진료비 16조 4,502억 … 전년대비 6.9% 증가

※ 80세 이상 후기 노령인구 월평균 진료비 348,906원(전체 월평균 진료비의 4.3배)

? 약국 건강보험 진료비 11조 7,953억 … 전년대비 2.5% 감소

2012. 4월, 건강보험적용 의약품 평균 14% 가격 인하

 

보험급여비용 37조 3,341억 … 전년대비 3.5%(1조 2,781억) 증가

? 공단부담 요양급여비 35조 7,146억(전년대비 3.3% 증가)

? 건강검진비 9,598억(전년대비 8.7% 증가)

? 임신·출산 진료비 2,104억(전년대비 26.4% 증가)

 

건강보험료 부과액 36조 3,900억 … 전년대비 3조 4,679억(10.5%) 증가

? 세대(가입자)당 월평균보험료 84,040원

… 직장(개인부담기준) 89,028원, 지역 75,209원

? 적용인구 1인당 월평균보험료 36,536원

… 직장(개인부담기준) 36,156원, 지역 37,357원

 

2012년 총 징수율 99.1% … 직장 99.4%, 지역 97.8%

3년 연속 99% 이상 징수율 유지 … 지속적인 재정안정 대책의 추진결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2012 건강보험주요통계』를 통해 2012년 건강보험 주요 실적을 발표하면서, 2012년 건강보험 진료비는 47조 8,392억원으로 전년대비 3.5%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8년을 제외하고는 10%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1년은 6.0%, 2012년은 3.5% 증가하여 점차 둔화되고 있는데 이는 경기 둔화 및 약가 인하의 효과로 분석된다.

 

(단위 : 억원, %)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진 료 비

248,615

284,103

323,892

348,690

393,390

436,283

462,379

478,392

(전년대비 증감률)

-

(14.3)

(14.0)

(7.7)

(12.8)

(10.9)

(6.0)

(3.5)

 

2012년 건강보험 진료비 3.5% 증가 요인은 적용인구 증가(0.7%), 1인당 수진횟수 증가(2.0%), 내원 1일당 진료비 증가(0.7%)로 나눌 수 있다. 비 증가의 둔화는 약국의 방문일당 진료비 5.3% 감소와 입원 1일당 진료비 0.5% 감소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단위 : 천명, 억원, 만일)

 

구 분

2011년

2012년

증감률(%)

전 체

진료비

462,379

478,392

3.5

연평균적용인구

49,132

49,495

0.7

입내원일수

92,610

95,179

2.8

내원 1일당 진료비(원)

49,928

50,262

0.7

수가인상률(%)

1.61

2.20

-

1인당 수진횟수(일)

18.85

19.23

2.0

입 원

진료비

154,365

161,791

4.8

입원일수

10,849

11,428

5.3

입원 1일당 진료비(원)

142,289

141,573

△0.5

1인당 입원일수(일)

2.21

2.31

4.6

외 래

진료비

187,045

198,648

6.2

내원일수

81,639

83,633

2.4

내원 1일당 진료비(원)

22,911

23,752

3.7

1인당 내원일수(일)

16.62

16.90

1.7

약 국

진료비

120,969

117,953

△2.5

방문일수

47,376

48,800

3.0

방문 1일당 진료비(원)

25,534

24,171

△5.3

1인당 방문일수(일)

9.64

9.86

2.3

주) 입내원일수․1인당 수진횟수는 약국의 처방조제 제외

 

2012년 공단이 부담한 보험급여비는 37조 3,341억원으로 전년도 36조 560억원보다 3.5%(1조 2,781억원) 증가하였다.

 

보험급여비의 98.2%인 현물급여비는 36조 6,744억원으로 전년대비 3.5% 증가하였고, 현금급여비는 6,596억원으로 전년대비 8.6%(521억) 증가하였다. 현물급여 중 요양기관에 지급한 급여비는 35조 7,146억원으로 보험급여비의 95.7%, 현물급여의 97.4%를 차지한다.

 

2012년 건강검진비는 9,598억원으로 전년대비 8.7% 증가하였는데 이는 요양급여상대가치점수 당 단가 상승과 지급건수의 증가 때문으로 분석된다. ※ 점수 당 단가 66.6원→68.5원(2.9% 상승), 지급건수 2,692만건→2,844만건(5.6% 증가)

 

임신․출산 진료비는 2008년 이후 지원금의 급여범위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2012년 진료비는 2,104억원으로 전년대비 26.4% 증가하였다.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금의 급여범위 확대

• 2008.12 산전진찰 바우처 제도 도입 실시(20만원 지원)

• 2009.7 고운맘카드 사용기간 확대(분만예정일+15일분만예정일+60일까지)

• 2011.4 1일 사용한도 상향(4만원6만원)

• 2011.7 분만입원비용에 1일 사용한도(6만원) 예외적용

• 2011.12 위탁금융기관 확대(KB국민카드 외 신한카드사 추가)

• 2012.4 지원금(40만원 → 50만원) 및 사용 요양기관 범위(조산원) 확대

• 2012.7 다태아 임신부에 대한 지원금 확대(50만원70만원)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보험급여비 계

183,659

214,392

245,755

263,798

299,697

337,965

360,560

373,341

(전년대비 증감률)

 

(16.7)

(14.6)

(7.3)

(13.6)

(12.8)

(6.7)

(3.5)

현물급여비

182,241

212,890

243,830

261,659

296,415

332,996

354,484

366,744

–요양급여비

179,886

209,316

239,557

255,999

289,164

324,968

345,652

357,146

(본인부담액상한제사전지급)

(300)

(293)

(509)

(1,236)

(1,009)

(850)

(1,158)

(1,478)

–건강검진비

2,356

3,574

4,273

5,660

7,251

8,027

8,832

9,598

현금급여비

1,417

1,502

1,925

2,138

3,282

4,969

6,075

6,596

요양비

175

167

169

177

213

217

202

201

장제비

492

466

500

38

1

-

-

-

–본인부담액보상금

276

199

204

28

6

2

1

1

장애인 보장구

217

380

615

440

343

289

272

274

본인부담액상한제사후환급

257

290

436

1,455

1,690

3,268

3,936

4,016

임신‧출산 진료비

-

-

-

-

1,029

1,192

1,664

2,104

주) 지급기준, 반올림 계산하여 실제 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012년 건강보험 급여율(급여비/진료비)은 74.7%로 전년 74.8%보다 0.1%p 낮아졌다.

현금급여비의 본인부담액상한제 사후환급,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금을 포함하여 급여비를 산출하면, 급여율은 75.0%

 

급여율이 2011년보다 다소 낮아진 이유는 종합병원과 약국의 급여율의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

종합병원 급여율 75.6%→75.3%(0.3%p 하락), 약국 급여율 72.4%→72.1%(0.3%p 하락)

 

 

구 분

진 료 비(억원)

급 여 비(억원)

급 여 율(%)

2011년

2012년

증가율(%)

2011년

2012년

증가율(%)

2011년

2012년

증감(%p)

총계

소계

462,379

478,392

3.5

345,652

357,146

3.3

74.8

74.7

△0.1

입원

154,365

161,791

4.8

126,616

132,312

4.5

82.0

81.8

△0.2

외래

308,014

316,601

2.8

219,036

224,834

2.6

71.1

71.0

△0.1

상급

종합병원

소계

71,869

75,159

4.6

56,323

58,800

4.4

78.4

78.2

△0.2

입원

45,492

46,267

1.7

39,543

40,180

1.6

86.9

86.8

△0.1

외래

26,377

28,893

9.5

16,779

18,620

11.0

63.6

64.4

0.8

종합병원

소계

69,986

70,073

0.1

52,940

52,743

△0.4

75.6

75.3

△0.3

입원

44,891

44,265

△1.4

36,975

36,333

△1.7

82.4

82.1

△0.3

외래

25,095

25,808

2.8

15,965

16,410

2.8

63.6

63.6

0.0

병원급

(병원, 요양병원,

치과․한방병원)

소계

67,636

76,485

13.1

50,348

57,058

13.3

74.4

74.6

0.2

입원

51,110

58,533

14.5

39,701

45,478

14.6

77.7

77.7

0.0

외래

16,527

17,952

8.6

10,647

11,579

8.8

64.4

64.5

0.1

의 원 급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소계

130,167

136,962

5.2

97,058

102,082

5.2

74.6

74.5

△0.1

입원

12,852

12,701

△1.2

10,381

10,299

△0.8

80.8

81.1

0.3

외래

117,315

124,260

5.9

86,678

91,783

5.9

73.9

73.9

0.0

보건기관 등

(보건기관,

조산원)

소계

1,752

1,760

0.5

1,363

1,365

0.2

77.8

77.6

△0.2

입원

20

25

24.0

16

21

28.4

81.9

84.8

2.9

외래

1,731

1,735

0.2

1,346

1,344

△0.2

77.7

77.5

△0.2

약 국

소계

120,969

117,953

△2.5

87,620

85,098

△2.9

72.4

72.1

△0.3

처방

120,892

117,881

△2.5

87,574

85,055

△2.9

72.4

72.2

△0.2

직접

77

72

△6.9

47

43

△6.8

60.4

60.4

0.0

 

2012년 요양기관 1개소에 지급한 연평균 급여비는 약 4억 3천만원으로,

 

요양기관종별로 보면 ▲ 종합병원 이상(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346억 4천만원 ▲ 병원급(병원, 요양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19억 5천만원 ▲ 약국 4억원 순이었다.

 

전년대비 평균급여비 및 기관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요양기관은 요양병원으로(조산원 제외) 평균급여비는 17억 9천만원으로 전년 보다 약 9.5% 증가하였고, 기관수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11.6%로 나타났다.

 

(단위: 백만원, 개소, %)

 

구분

2011년

2012년

증감률

평균급여비

기관수

평균급여비

기관수

평균급여비

기관수

417

82,948

426

83,811

2.3

1.0

종합병원급

34,252

319

34,641

322

1.1

0.9

상급종합

128,006

44

133,637

44

4.4

0.0

? B I G 5

419,422

5

419,503

5

0.0

0.0

? BIG 5 외

90,645

39

96,987

39

7.0

0.0

종합병원

19,251

275

18,972

278

△1.4

1.1

병 원 급

1,834

2,746

1,950

2,926

6.4

6.6

병 원

2,368

1,375

2,499

1,421

5.5

3.3

요양병원

1,630

988

1,786

1,103

9.5

11.6

치과병원

297

199

300

201

1.2

1.0

한방병원

590

184

624

201

5.8

9.2

의 원 급

176

55,296

182

56,103

3.7

1.5

의 원

269

27,837

279

28,033

4.0

0.7

치과의원

65

15,058

69

15,365

5.4

2.0

한 의 원

100

12,401

104

12,705

3.7

2.5

보건기관 등

39

3,508

39

3,502

0.3

△0.2

보건기관

39

3,468

39

3,469

△0.2

0.0

조 산 원

8

40

23

33

198.7

△17.5

약 국

416

21,079

406

20,958

△2.3

△0.6

주 : 1) 기관수는 연도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리기준

2) 평균급여비 = 요양기관종별 요양급여비 / 연도말 기관수

 

2012년 건강보험적용인구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80,545원으로 전년 78,424원과 비교하여 2,121원(2.7%)이 늘어났다.

 

65세 이상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256,321원으로 전체 1인당 월평균 진료비의 3.2배이며, 전년대비 8,955원(3.6%) 증가하였다.

 

전체 진료비 중 65세 이상 진료비 점유율은 2005년 24.4%에서 2012년 34.4%로 7년간 10%p가 늘어났다.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전 체 인 구(천명)

47,392

47,410

47,820

48,160

48,614

48,907

49,299

49,662

65세 이상 인구(천명)

3,919

4,073

4,387

4,600

4,826

4,979

5,184

5,468

(비율, %)

(8.3)

(8.6)

(9.2)

(9.6)

(9.9)

(10.2)

(10.5)

(11.0)

총 진 료 비(억원)

248,615

284,103

323,892

348,690

393,390

436,283

462,379

478,392

65세 이상 진료비(억원)

60,731

73,504

91,190

107,371

124,236

141,350

153,893

164,502

(비율, %)

(24.4)

(25.9)

(28.2)

(30.8)

(31.6)

(32.4)

(33.3)

(34.4)

1인당 월평균 진료비 (원)

43,705

49,939

56,608

60,535

67,709

74,564

78,424

80,545

65세 이상 1인당 월평균 진료비 (원)

129,124

150,384

173,217

194,531

214,507

236,588

247,366

256,321

 

2012년 건강보험료 총부과액은 36조 3,900억원으로 전년대비 10.5% 증가하였다.

(단위 : 억원, %)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보험료 부과액

169,277

188,106

217,287

249,730

261,661

284,577

329,221

363,900

(전년대비 증감률)

-

(11.1)

(15.5)

(14.9)

(4.8)

(8.8)

(15.7)

(10.5)

주 : 1) 결산기준

2) 월보험료는 개인부담보험료 기준

3) 반올림 계산하여 실제 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012년 직장 보험료 부과액은 29조 3,796억원으로 전체부과액의 80.7%를 차지하였으며 지역 보험료 부과액은 7조 103억원으로 전년 6조 7,806억원보다 3.4% 증가하였다.

 

2012년 총 징수금액은 36조 523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3조 3,809억원(10.3%) 증가하였고 징수율은 99.1%로 나타났다.

 

? 징수율을 직역별로 보면 직장은 99.4%로 2011년 징수율과 같았으며, 지역은 97.8%로 전년대비 0.8%p 감소하였다.

 

(단위 : 억원, %)

 

구 분

합 계

지 역

직 장

부과액

징수액

징수율

부과액

징수액

징수율

부과액

징수액

징수율

2007년

217,287

213,865

98.4

53,802

51,140

95.1

163,485

162,725

99.5

2008년

249,730

244,334

97.8

59,434

55,526

93.4

190,297

188,808

99.2

2009년

261,661

258,590

98.8

59,284

57,117

96.3

202,377

201,472

99.6

2010년

284,577

282,065

99.1

63,746

62,143

97.5

220,831

219,922

99.6

2011년

329,221

326,714

99.2

67,806

66,851

98.6

261,416

259,863

99.4

2012년

363,900

360,523

99.1

70,103

68,576

97.8

293,796

291,947

99.4

주 : 1) 결산기준

2) 징수액은 12월 납부마감일인 익년 1.10일까지 징수액 포함

3) 부과액 = 당년부과액, 징수액 = 당년 징수액 + 과년 징수액

4) 직장 부과액 및 징수액은 임의계속가입자 보험료, 소득월액보험료 포함

※ 임의계속가입자 : 전 직장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퇴직한 지역가입자 중 직장가입자 자격을 유지한 자

소득월액 보험료(2012.9.1.시행) : 직장가입자 중 근로소득 외 소득이 연간 7천200만원 넘는 자에게 부과한 보험료

 

 

2012년 건강보험진료비용을 5대분류별로 나누어 보면 진료행위료 37.44%, 기본진료료 26.95%, 약품비 26.60%, 치료재료료 3.67%, 정액수가․DRG 5.34%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

 

구 분

진료비

기본진료료

진료행위료

약 품 비

치료재료료

정액수가․

D R G

금 액

구성비

금 액

구성비

금 액

구성비

금 액

구성비

금 액

구성비

478,392

128,911

26.95

179,132

37.44

127,233

26.60

17,580

3.67

25,537

5.34

의료기관

360,439

128,911

35.76

149,387

41.45

39,025

10.83

17,580

4.88

25,537

7.08

약 국

117,953

-

-

29,745

25.22

88,208

74.78

-

-

-

-

주 : 1) 2012년 1~12월 청구기관의 진료실적을 토대로 2012년 연간을 지급기준으로 추정

2) 정액수가는 요양병원과 보건기관의 실적을 토대로 추정

 

첨부

hwp [3.18.월.조간]국민건강보험공단,_2012_건강보험주요통계_발간.hwp (687 KB / 다운로드 :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