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급여

제목 의료급여 희귀난치성질환자 등록제(의료급여수가의 기준 및 일반기준

야국화 2010. 11. 29. 10:21

제목 의료급여 희귀난치성질환자 등록제(의료급여수가의 기준 및 일반기준 관련) 세부운영방안 및 추가 Q&A 안내
등록일 2010-11-26[최종수정2010-11-26] 조회 393
담당자 위지원 담당부서 기초의료보장과

「의료급여수가의 기준 및 일반기준」(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0-92호, 2010.10.29) 및 기초의료보장과-3329(2010.11.4) -3731(2010.11.26)관련, 추가·변경된 내용을 반영세부운영방안 및 Q&A 자료를 제공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요 추가·변경 내용 -

○ 세부 운영방안

- 희귀난치성질환과 중증암 상병코드 일치하는 경우 등록신청서의 의료급여기관 확인란 작성 방법 : “암□” 란에 표기

- 보장기관 등록 시 접수 처리 방법

-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질환자(B20~B24) 업무처리방법

- 건강보험과 등록기간 연계되는 자 업무처리방법 추가 : 보장기관이 등록확인요청서를 신청자에게 제공, 신청자가 공단 확인증을 받아 보장기관에 제출

- 집중등록기간 동안 보장기관의 등록신청 안내문 발송 관련 세부사항 추가 : 행복e음 자료추출, 건강보험공단 자료요청을 통해 대상자 명단확보 및 안내

- 기타 : 본인부담면제 관련 주의사항 등

 

○ Q&A

- 질의 11번 답변의 “유예기간”을 “집중등록기간”으로 수정

- 질의 15번~20번 추가

 

행복e음 입력매뉴얼은 시행일 전 행복e음 복지광장을 통해 안내될 예정임

  

첨부

등록제_운영방안(최종).hwp (224 byte / 다운로드 : 133)

Q&A(추가)20101124.hwp (53 byte / 다운로드 : 90)

희귀난치성질환자_등록관련_Q_A(최종).hwp (208 byte / 다운로드 : 125)

의료급여희귀난치성질환목록세부분류(최종)20101122.xls (236 byte / 다운로드 : 122)

의료급여건강보험희귀난치성질환_비교표20101103.xls (63 byte / 다운로드 : 100)

15

등록하지 않은 희귀난치성 질환자가 집중등록기간 (‘10. 12.1~’11. 4.30) 중에 진료 받을 때의 본인일부부담기준

○ 집중등록기간 동안은 등록번호가 없더라도 희귀난치성질환자 1종(M005)으로 조회되는 수급권자에 대해 고시 부칙 제2조(희귀난치성질환자 등록에 관한 경과조치)에 따라 등록된 것으로 보고 본인일부부담금을 면제함

- 경과조치 적용 대상은 자격 조회시 등록번호는 없지만 본인부담면제코드 “M005” 확인이 되는 수급권자(등록제 시행일인 ‘10.12.1 이전에 시‧군‧구에 외래본인부담면제신청서를 작성‧제출하여 해당 자격을 부여받은 자)에 한하며

- 수급권자가 의료급여기관에서 희귀난치성질환으로 확진을 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등록된 것으로 간주하지 않음(경과조치 적용대상 아님)

○ 집중등록기간 동안에는 외래본인부담면제를 받는 희귀난치성질환자 중 등록번호가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혼재하지만

- 이 기간 이후(‘11.5.1~)에는 등록 희귀난치성질환자만 본인부담면제 대상으로 “M005”코드 및 등록번호 조회 가능

16

의료급여와 건강보험 간 자격 변동시 등록기간 연계 처리방법

건강보험 희귀난치성질환 등록자가 의료급여 수급권자로 자격변동시, 의료급여와 건강보험 간 상병코드가 일치할 경우 건강보험 등록일로부터 5년으로 등록기간 연계적용

- 해당자는 의료급여 산정특례 등록신청서 발급‧제출 없이도 등록가능

보장기관은 신청자에게 건강보험과의 등록기간 연계로 인해 유효기간이 변동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사전 설명하고, 다음의 방법 중 하나로 상병코드‧등록기간 등 확인

- 신청자가 의료기관에서 재발급 또는 출력한 기존 “건강보험 산정특례 등록신청서” 제출

- 보장기관이 직접 건강보험공단으로 공문 요청

- 신청자가 “건강보험 산정특례 등록확인요청서”(보장기관 제공)를 가지고 건강보험공단에 내방하여 확인증을 받아서 제출

17

기존 중증암 등록자도 희귀난치성질환자 등록신청을 해야 하는지

의료급여 희귀난치성질환에 해당하는 중증암 환자는 기존에 암환자로 등록했더라도 희귀난치성질환자 등록제 도입에 따른 등록 대상임

- 해당 상병코드: C90~C96 / C00~C88, C97, D00~D09 / D76.0

- 등록기준은 중증암 등록기준 준용, 따라서 중증암 등록 또는 재등록 당시에 유효하지 않았던 신청서로는 희귀난치성질환자 등록 불가

기존 중증암 등록자가 집중등록기간 동안에 희귀난치성질환자 등록신청서를 제출하는 경우, 암 등록기간 연장 혜택 부여(희귀난치성질환자 등록신청일로부터 5년)

* 「희귀난치성질환자 등록제 운영방안」 중 “기존 중증암 등록자(희귀난치성질환 상병코드 해당자) 관련사항”(p.5) 참고

18

107개 희귀난치성질환군 중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질환(B20~B24)”에 대한 업무 처리방법

기존 수급권자는 별도 신청서 없이 보장기관에서 일괄 등록하고, 원칙적으로 등록 안내대상에서도 제외

- 신규 수급권자는 등록신청서를 제출해야 함

근로능력 판정 유효기간, 희귀난치성질환자 등록 기간, 본인부담면제(면제 희망시) 적용기간 모두 종료일을 9999.12.31로 설정

19

107개 희귀난치성질환군 중 “신생아호흡곤란(P22)"에 대한 업무 처리방법

신생아호흡곤란(P22)은 초기 신생아기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상자의 후유장애를 감안, 생후 2년(등록신청서 의사발행일 기준)까지만 산정특례 등록대상이 됨

* 건강보험 희귀난치성질환 산정특례 등록기준과 동일

20

등록신청시 기존서식(일반진단서, 근로능력판정진단서, 본인부담면제 신청서 등)을 제출한 경우

기존 신청서는 등록제 시행일(’10.12.1)부터는 유효하지 않으므로, 대상자에게 의료급여 산정특례 등록신청서를 발급받아 제출하도록 안내

- 수급권자가 의료급여기관을 재방문하는 등의 불편을 겪지 않도록 의료급여기관의 신규서식 발급 협조 필요

- 등록신청서가 진단서 및 외래본인부담면제 신청서를 갈음하므로, 보장기관에서는 추가로 기존 서식을 요구하지 않도록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