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유암종(carcinoid tumor)

야국화 2008. 7. 2. 18:29
 

유암종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Reviews of Patients with Carcinoid Tumor 

장남수

성기철/편유장/전경홍/황기은/김기택/박창영/김병익/정을순 

- Abstract - 

목적: 유암종은 1907년 Oberndorfer가 'Karzinoid'라고 처음 기술한 이후 국내외에서 많은

임상보고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유암종에 대한 발병현황과 호발 부위 등의 보고

및 외국과의 비교 보고는 없었다. 더우기 최근에는 유암종의 악성도가 인정되고 있고, 임상

적으로 흥미있는 또다른 점은 유암종이 원발병소에서 다발성으로 발견되거나, 한 병소 내에

서 선암과 공존한 경우가 빈번히 보고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저자들은 현재까지 본 병원

에서 경험한 유암종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979년부터 1996년 9월까지 본 병원에서 경험한 남자 15명, 여자 7명 총 22

명으로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연령분포는 40대가 가장 많았으며 남녀비는 2.1:1이었고, 부위별 발생빈도는 전장이

27%, 후장이 41%, 중장이 32%로 후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증상으로는 복통이 가장

많았으며 특징적 carcinoid 증후군은 없었고, 요중 5-HIAA는 7예에서 시행되었으나 정상범

위로서 유암종 진단에 큰 의미는 없었다. 선암과 공존한 악성유암종은 32%이고 순수하게

유암종자체가 악성으로 나타난 경우는 9%였다. 진단방법에 대하여 내시경 검사로 16예가

발견되었고, 대장조영술검사로 1예, 그리고 충수돌기염 수술시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4예 였

다. 방사선학적 소견은 진단에 큰 도움을 주지는 못했으나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에는

도움을 주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연령분포는 40대가 가장 많았으며 부위별 발생 빈도는 중장이 41%

로 가장 많아 외국의 문헌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기타 다른 소견은 뚜렷한 상이점은 발

견할 수 없었다.

#초록#

Background/Aims: The term, carcinoid, is derived from 'Karznoid' coined by

Oberndorfer in 1907, which means carcinoma like lesion with no malignant potential.

However, it is now generally accepted that these innocuous neoplasms potentially can

produce widespread metastasis. Although the carcinoid tumor is relatievely rare, it

continue to be of special clinical interest because of the endocrine potential, the

malignant potential and the recent appearance of the composite carcinoma-carcinoid

tumor.

Methods: We reviewed the recorded clinical manifestations of twenty-two patients

with carcinoid tumor, which had been treated from the Kang Book Samsung Hospital

for 17 years from August 1979 to September 1996.

Results: The peak incidence was in the 5th decade occupying 9 cases(42%) and male

predominence with a ratio of 2.1:1. The common site of the tumors was the rectum(8

cases) and appendix(5 cases). The incidence of carcinoid tumors according to the

embryologic origin were foregut 6 cases(27%), midgut 7 cases(32%), hindgut 9

cases(41%). The hepatic metastasis was presented in 3 cases. There was no case with

classic carcinoid syndrome. Thirty-two percent cases had carcinoma with carcinoid

tumor, and nine percent cases had malignant carcinoid tumor.

Conclusions: Comparing the age and tumor location, some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22 cases carcinoid tumor experienced at our hospital and those of foreign

studies, but other difference was not observed.

---------

카르시노이드에는 양성과 악성이 있습니다. 신경-내분비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양

성의 경우 이미 치료가 종료된 것으로 생각해도 되고, 악성의 경우 추가 치료 및 경과

관찰이 필요합니다.

제거된 종양 조직의 소견이 중요합니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 이란  (0) 2008.08.11
고형암의 병기결정와 치료  (0) 2008.07.12
대장암  (0) 2008.07.02
  (0) 2008.07.02
법적전염병  (0) 2008.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