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반응성 단백 시험(C-reactive protein)
검사 : 진단검사
정의
CPR는 감염, 염증이 발생하면 수 시간내에 간에서 만들어져 혈류로 분비되는 급성기 반응물질입니다.
혈액 내 CRP가 증가하는 것은 급성 감염이나 염증이 있음을 의미하며, 심장 발작, 패혈증, 외과적
처치 후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CRP는 감염성 질환과 자가면역질환에서 치료 효과를 감시하는
유용한 지표입니다.
더 낮은 농도의 CRP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hs-CRP 검사가 있습니다. 이는 임상적으로 증상이 없는
사람에게서 향후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입니다.
검사/시술/수술 방법
검사 전 준비사항은 없으며, 팔의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를 시행합니다.
검사결과
정상범위는 0.00~0.49mg/dL 입니다.
혈액검사의 정상 범위는 성별, 나이, 임신 여부, 검사를 시행하는 기관, 검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검사를 시행하는 병원이나 검사실에서 제시하는 참고치를 사용하여 의료진과 결과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주의사항
CRP 농도는 피임약의 사용이나 호르몬 대체요법으로 사용되는 에스트로젠, 임신, 비만의 경우 증가
할 수 있습니다.
CRP 검사 결과가 높다면 통증, 열 등의 다른 임상적 증상들이 수반될 수 있습니다.
CRP 뿐만 아니라 최근 감염성 질환의 표지자로서 프로칼시토닌도 많이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CRP와 함께 ESR(적혈구침강속도) 검사도 염증 상태를 확인하는데 이용됩니다. 두 검사 모두
염증반응시 증가하는 소견을 보이지만 CRP는 급성 반응에서 수치가 증가하였다가 정상범위로 돌아오는
경향이나, ESR은 만성적인 염증의 추이를 보여주므로 수치가 증가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추 압박성척수증(cervical compressive myelopathy (0) | 2021.10.21 |
---|---|
뇌 혈류부하 단층 영상검사Acetazolamide stress brain perfusion SPECT (0) | 2021.02.02 |
적혈구 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ESR) (0) | 2021.02.01 |
소비자 대상 직접(DTC) 유전자검사 70항목으로 확대20.11.30 (0) | 2020.12.01 |
면역혈소판감소증(Immune thrombocytopenia) (0) | 2020.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