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지침」 개정 안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고 제2020-247호) 심사기준부
□ 주요 내용
- 심사지침 개정 (신설 2항목, 개정 1항목)
1.동일 폐엽에 자142 폐엽절제술과 동시 실시한 자140폐쐐기절제술의 인정여부
2. 자292 직장 및 에스장절제술-림프절 청소를 포함하는 것과 동시 실시한 자415-2 골반 및
대동맥주위림프절 절제술 인정여부
3. 위암에시행하는 F-18 FDG 양전자 방출단층촬영(F-18 FDG-PET)의 적용기준
□ 시행일
- 2020.10.1. 진료분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고 제2020 - 247호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제20조제4항 및 「요양급여비용 심사·지급업무 처리기준」제4조에
따라 심사지침을 다음과 같이 개정·공고합니다.
2020년 9월 2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
「심사지침」개정
심사지침을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부 칙
이 심사지침은 2020년 10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9장 처치 및 수술료 등
항 목 |
제 목 |
내 용 |
비고(관련 고시) |
자140 |
동일 폐엽에 |
폐엽절제술 당일, 동일 폐엽에 조직병리 |
「건강보험 행위급여 [산정지침] (5) |
자415-2 골반 및 대동맥 절제술 |
자292 직장 및 |
자292 직장 및 에스장절제술 가(1)전방 |
「건강보험 행위급여 [산정지침] (5) |
제3장 영상진단 및 방사선 치료료 |
|||
항 목 |
제 목 |
내 용 |
비고(관련 고시) |
|
위암에 시행하는 |
1. 진단을 위해 시행한 경우 또는 선행
2. 선행검사*를 통한 위암 진단 후 수술 - 다 음 - 가. 국소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거나 확인 나. 국소 림프절 전이 없이 (T2N0/T3N0/ 다. 원격전이가 의심되어 시행한 경우 라. 원격전이가 확인(M1)된 경우 인정
3. 치료 중 효과판정 가. 선행검사(CT, MRI)에서 새로운 병변 나. 임상적 사유로 CT 혹은 MRI 촬영이 다. 다발성 골전이를 동반한 환자에서
4. 병기 재설정 가. 치료 후 완치여부 판정을 위해 시행 나. 재발이 의심되는 증상, 증후, 검사결과
5. 방사선치료 계획 시 가. 수술 또는 항암치료 완료 후 방사선
* 선행검사: 상부내시경, Endoscopy, 병기설정: 병기분류(stage)는 The 8th 완치여부 판정: 치료 완료 즉, 수술 또는
<The 8th Edition American Joint Com 1. 위암 병기분류 체계 ○ T(Primary Tumor), N(Regional Lym - Primary Tumor(원발 종양), Regional
* 종양은 위결장 인대나 위간 인대 쪽으로 위의 인대들이나 그물막을 덮고 있는 내장 ** 위의 인접한 구조물에는 비장, 횡행결장, *** 십이지장이나 식도까지의 벽내 확장은
2. 위암 병기설정 ○ The 8th Edition American Joint Com ➀ Clinical staging(cTNM) : 수술 전 상부 ➁ Pathological staging(pTNM) : 수술 ➂ Postneoadjuvant Therapy staging < Clinical staging(cTNM) > < Pathological staging(pTNM) > < Postneoadjuvant Therapy staging |
F-18 FDG 양전자 고시 제2018-281호(2019.1.1.시행)
(변경 사유) 병기설정 및 분류 명확화 |
<The 8th Edition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AJCC) Staging>
1. 위암 병기분류 체계
○ T(Primary Tumor), N(Regional Lymph Node), M(Distant Metastasis)의 정의
- Primary Tumor(원발 종양), Regional Lymph Node(국소 림프절), Distant Metastasis(원격전이)
구 분 |
내 용 |
|
T (Primary Tumor) |
TX |
원발성 종양이 평가되지 않음 |
T0 |
원발성 종양의 근거가 없음 |
|
Tis |
암종이 존재함: 점막고유층(lamina propria)에 침범이 없는 상피내 종양, 고등급 이형성증(high-grade dysplasia) |
|
T1 |
종양이 점막고유층(lamina propria), 점막근판(muscularis mucosae), 또는 점막하층(submucosa)까지 침범함 |
|
T1a |
종양이 점막고유층(lamina propria) 또는 점막근판(muscularis mucosae)까지 침범함 |
|
T1b |
종양이 점막하층(submucosa)까지 침범함 |
|
T2 |
종양이 고유근층(muscularis propria)까지 침범함 * |
|
T3 |
종양이 인접 구조물 또는 장층복막에는 침범하지 않고 장막하 결합조직(subserosal connective tissue)을 침범함 **, *** |
|
T4 |
종양이 장막층(serosa(visceral peritoneum)) 또는 인접 구조물에 침범함 **, *** |
|
T4a |
종양이 장막층(serosa(visceral peritoneum))에 침범함 |
|
T4b |
종양이 인접 구조물/장기(adjacent structures/organs)에 침범함 |
|
N (Regional Lymph Node) |
NX |
국소 림프절이 평가되지 않음 |
N0 |
국소 림프절 전이가 없음 |
|
N1 |
1개 또는 2개의 국소림프절 전이가 있음 |
|
N2 |
3개∼6개의 국소림프절 전이가 있음 |
|
N3 |
7개 이상의 국소림프절 전이가 있음 |
|
N3a |
7개∼15개의 국소림프절 전이가 있음 |
|
N3b |
16개 이상의 국소림프절 전이가 있음 |
|
M (Distant Metastasis) |
M0 |
원격전이가 없음 |
M1 |
원격전이가 있음 |
* 종양은 위결장 인대나 위간 인대 쪽으로 고유근층을 통과하여 확장될 수 있거나 또는 구조물을 덮고 있는 내장 쪽 복막의 천공 없이 큰 그물막이나 작은 그물막 쪽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 경우 T3로 분류한다.
위의 인대들이나 그물막을 덮고 있는 내장 쪽 복막의 천공이 있는 경우는 T4로 분류한다.
** 위의 인접한 구조물에는 비장, 횡행결장, 간, 횡격막, 췌장, 복벽, 부신, 신장, 소장 및 후복막이 포함된다.
*** 십이지장이나 식도까지의 벽내 확장은 인접한 구조의 침습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이 부위 중 어느 곳에서나 가장 큰 침습의 깊이를 사용하여 분류된다.
2. 위암 병기설정
○ The 8th Edition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AJCC)에서는 병기설정을 3가지로 구분
➀ Clinical staging(cTNM) : 수술 전 상부소화기 내시경, CT, MRI 등 임상적 검사로만 이루어지는 병기설정
➁ Pathological staging(pTNM) : 수술 치료 후 병리 조직학적 소견을 고려한 병기설정
➂ Postneoadjuvant Therapy staging(ypTNM) : Neoadjuvant 시행 후 병기설정
< Clinical staging(cTNM) >
cTNM |
cT |
cN |
M |
특징 |
stage 0 |
Tis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점막층에 국한된 종양, 원격전이 없음 |
stageⅠ |
T1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2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ⅡA |
T1 |
N1, N2, or N3 |
M0 |
국소림프절 양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2 |
N1, N2, or N3 |
M0 |
국소림프절 양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ⅡB |
T3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4a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Ⅲ |
T3 |
N1, N2, or N3 |
M0 |
국소림프절 양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4a |
N1, N2, or N3 |
M0 |
국소림프절 양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ⅣA |
T4b |
AnyN |
M0 |
종양이 인접 구조물이나 장기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stageⅣB |
AnyT |
AnyN |
M1 |
원격 전이가 확인됨 |
< Pathological staging(pTNM) >
pTNM |
pT |
pN |
pM |
특징 |
stage 0 |
Tis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점막층에 국한된 종양, 원격전이 없음 |
stageⅠA |
T1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stageⅠB |
T1 |
N1 |
M0 |
국소림프절 1개 또는 2개 양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2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ⅡA |
T1 |
N2 |
M0 |
국소림프절 3개∼6개 양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2 |
N1 |
M0 |
국소림프절 1개 또는 2개 양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3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ⅡB |
T1 |
N3a |
M0 |
국소림프절 7개∼15개 양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2 |
N2 |
M0 |
국소림프절 3개∼6개 양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3 |
N1 |
M0 |
국소림프절 1개 또는 2개 양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a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ⅢA |
T2 |
N3a |
M0 |
국소림프절 7개∼15개 양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3 |
N2 |
M0 |
국소림프절 3개∼6개 양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a |
N1 |
M0 |
국소림프절 1개 또는 2개 양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a |
N2 |
M0 |
국소림프절 3개∼6개 양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b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인접 구조물이나 장기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ⅢB |
T1 |
N3b |
M0 |
국소림프절 16개이상 양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2 |
N3b |
M0 |
국소림프절 16개이상 양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3 |
N3a |
M0 |
국소림프절 7개∼15개 양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a |
N3a |
M0 |
국소림프절 7개∼15개 양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b |
N1 |
M0 |
국소림프절 1개 또는 2개 양성, 종양이 인접 구조물이나 장기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b |
N2 |
M0 |
국소림프절 3개∼6개 양성, 종양이 인접 구조물이나 장기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ⅢC |
T3 |
N3b |
M0 |
국소림프절 16개이상 양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4a |
N3b |
M0 |
국소림프절 16개이상 양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b |
N3a |
M0 |
국소림프절 7개∼15개 양성, 종양이 인접 구조물이나 장기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b |
N3b |
M0 |
국소림프절 16개이상 양성, 종양이 인접 구조물이나 장기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Ⅳ |
AnyT |
AnyN |
M1 |
원격 전이가 확인됨 |
< Postneoadjuvant Therapy staging(ypTNM) >
ypTNM |
ypT |
ypN |
ypM |
특징 |
stageⅠ |
T1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2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1 |
N1 |
M0 |
국소림프절 1개 또는 2개 양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Ⅱ |
T3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2 |
N1 |
M0 |
국소림프절 1개 또는 2개 양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1 |
N2 |
M0 |
국소림프절 3개∼6개 양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a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3 |
N1 |
M0 |
국소림프절 1개 또는 2개 양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2 |
N2 |
M0 |
국소림프절 3개∼6개 양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1 |
N3 |
M0 |
국소림프절 7개이상 양성, 종양이 점막 고유층,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층에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stageⅢ |
T4a |
N1 |
M0 |
국소림프절 1개 또는 2개 양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T3 |
N2 |
M0 |
국소림프절 3개∼6개 양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2 |
N3 |
M0 |
국소림프절 7개이상 양성, 종양이 고유근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b |
N0 |
M0 |
국소림프절 음성, 종양이 인접 구조물이나 장기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b |
N1 |
M0 |
국소림프절 1개 또는 2개 양성, 종양이 인접 구조물이나 장기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a |
N2 |
M0 |
국소림프절 3개∼6개 양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3 |
N3 |
M0 |
국소림프절 7개이상 양성, 종양이 장막하 결합조직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b |
N2 |
M0 |
국소림프절 3개∼6개 양성, 종양이 인접 구조물이나 장기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b |
N3 |
M0 |
국소림프절 7개이상 양성, 종양이 인접 구조물이나 장기까지 침범, 원격전이 없음 |
|
T4a |
N3 |
M0 |
국소림프절 7개이상 양성, 종양이 장막층까지 침범,원격전이 없음 |
|
stageⅣ |
AnyT |
AnyN |
M1 |
원격 전이가 확인됨 |
'심사지침,심사참고,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피 질환 환자 상급종합병원 외래 본인부담률 적용관련 안내 /의료체계개선부/2020-10-07 (0) | 2020.10.08 |
---|---|
심평원2020-250호 심사지침 공고 관련 안내 (0) | 2020.10.05 |
심사평가체계 개편을 위한 분석심사 선도사업 지침 개정 알림 심사운영실/2020-07-30 (0) | 2020.07.30 |
심평원2020-208호 심사지침 개정 (0) | 2020.07.28 |
심평원2020-198호 심사지침 개정 20.8.1 (0) | 202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