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행정

<2018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 공모안내>

야국화 2018. 1. 19. 10:54

<2018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 공모안내>
   1. 공모 개요
    □ 설치근거
      ○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6조
    □ 지원내용
      ○ 지원범위 : 심뇌혈관질환센터 시설․장비비 및 운영비
      ○ 지원조건 : 국비 70%, 병원 자부담 30% 이상
      ○ 지원기간 : 5년 (심뇌혈관질환센터 사업비 5년간 지원)
       * 3년차 중간평가, 5년차 최종평가를 거쳐 지속지원 여부 등 결정
      ○ 사업수행주체 : 울산광역시 소재 종합병원(의료법 제3조제2항)
      ○ 소요예산 : 15억원 (국비기준, 1개소 설치비의 70%에 해당)

   2. 신청서 제출
     ○ 제출기간 : 2018.1.16(화) ~ 2.5(월) 18:00까지
     ○ 제출서류 : 제출공문 1부, 사업계획서 20부(CD 또는 파일 2개 포함)
       * 접수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제출처 :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 주 소 : (30113) 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13
      - 담당자 : 김혜래 서기관, 윤재규 주무관 ☎ 044-202~2515, 2513
 
※ 세부절차 붙임 참조

<붙임> 2018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 공모 안내.   끝.


붙임_18년 권역심뇌혈관 질환센터 공모 안내.hwp


=======================

2018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 공모 안내

 

공모안공고 제2018 -

 

심뇌혈관질환자의 전문치료 및 지역간 의료불균형 해소 등을 위해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9조에 따라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 하고자 아래와 같이 공모합니다.

 

2018116

보건복지부장관

 

1. 공모 개요

 

설치근거

 

○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9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6

 

지원내용

 

지원범위 : 심뇌혈관질환센터 시설장비비 및 운영비

 

지원조건 : 국비 70%, 병원 자부담 30% 이상

 

지원기간 : 5(심뇌혈관질환센터 사업비 5년간 지원)

 

* 3년차 중간평가, 5년차 최종평가를 거쳐 지속지원 여부 등 결정

 

사업수행주체 : 울산광역시 소재 종합병원(의료법 제3조제2)

 

소요예산 : 15억원 (국비기준, 1개소 설치비의 70%에 해당)

 

 

2. 선정 과정

 

선정방법

 

수요와 사업효과성을 고려하여 사업공모 추진

 

선정절차

 

보건복지부 공고에 따라 사업희망기관이 사업계획서 제출

 

선정위원회의 평가(3단계)를 거쳐 사업계획서 수정보완

* 선정위원회는 평가결과와 사업계획서 보완권고사항을 보건복지부에 보고

 

보건복지부장관은 위원회의 보고에 따라 선정발표

<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선정절차 흐름도 >

 

공고

사업계획서 제출

사업계획서 평가 (3단계)

선정발표

서면 및 구두평가
(80%)

현지확인

(20%)

최종평가

(배점없음)

보건복지부

종합병원

선정위원회

보건복지부

 

- , 최종선정된 기관이 지정취소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선정을 취소하고 지원중단 및 기 지급한 지원금 환수조치

 


<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선정취소 사유 >

*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9조제3항 및 동법 시행령 제5

 

 

계획된 사업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지정기준에 미달한 경우

 

지도감독에 따르지 않거나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거짓이나 그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선정 평가 방법

 

(선정위원회 구성) 권역심뇌혈관질환 관리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의료계 전문가를 위촉

* 부문별 전문가로 구성 : 예방부문, 3개 임상부문(심혈관, 뇌혈관, 심뇌재활)

 

평가기준

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필요성(권역내 기여도)

- 권역내 심뇌혈관질환자의 발생 및 권역의 서비스 공급역량 분석

- 권역에서 해당 병원의 심뇌혈관질환자 진료 실적 평가

- 해당 권역의 심뇌혈관질환 관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공익적 보건의료사업 수행현황(공익사업 실적 우수 지역 우선)

- 사업대상병원의 공공성 제고를 위해 그간의 공공의료사업 및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의 대한 실적 및 기여도 평가

 

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역량 및 계획의 타당성(운영계획 우수)

- 센터별 현재 운영 역량의 적절성(센터 수행이 가능한 역량 여부)

- 목표 설정의 타당성

- 조직, 인력, 시설, 장비 확충계획의 타당성

- 사업 및 프로그램 계획 우수성

 

심뇌혈관질환센터 발전을 위한 병원의 의지(병원준비상황 및 의지)

- 예산 집행계획, 자체 예산투자 규모

- 시설개선, 장비충원, 인력확보 계획의 구체성

- 사업취지에 부합하는 센터 운영계획의 타당성

- 준비과정의 충실도, 참여도 및 기관책임자의 의지와 비전

-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 현황

 

구두평가 성적

 

(1단계) 서면 및 구두 평가

 

- 사업계획서 평가는 배점기준에 따라 절대평가로 수행하되 총점합계 중 최고점과 최저점은 제외

 

- 구두평가에 불참한 선정위원의 점수는 서면평가 점수만 반영

 

- 세부 평가항목 평균점수의 합산으로 병원별 평가점수를
산출하여 상위 2개 병원을 현지 확인 대상으로 선정

 

세부항목 평균점수 = 세부항목 점수합계 ÷ 해당 항목 평가위원 수

 

(2단계) 현지확인

 

- 위원 중 분야별 1인 이상 참여하는 권역별 현지방문단 구성

- 현지방문단 조편성은 위원회에서 결정

 

- 현지방문 확인표(check list)에 따라 사업계획서 내용을 실사하여 사실과 다르거나 실현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에 대해 감점

 

(3단계) 최종평가

 

- 계량적 점수 배점은 하지 않으며, 서면 및 구두평가, 현지 확인 결과 을 고려한 종합평가 실시, 사업계획서 수정권고 사항 등 제시

 

- 최종평가 결과 및 사업계획에 대한 수정·보완 사항 복지부에 보고

* 평가결과 종합 : 서면 및 구두평가 점수 80%, 현지확인 점수 20% 반영

 

선정발표 및 후속조치

 

보건복지부장관은 위원회의 보고에 따라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사업수행기관을 선정발표

 

선정기관이 수정보완한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사업계획 승인 및 예산교부(지원규모는 평가결과를 고려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결정)

 

3. 신청 자격

 

심뇌혈관질환 진료역량이 탁월하고, 공익적 보건의료사업 수행 등 지역사회 기여도가 우수한 종합병원

 

 

4. 신청서 제출

 

제출기간 : 2018.1.16() ~ 2.5() 18:00까지

 

제출서류 : 제출공문 1, 사업계획서 20(CD 또는 파일 2개 포함)

* 접수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제출처 :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 주 소 : (30113) 세종특별자치시 도움413

 

- 담당자 : 김혜래 서기관, 윤재규 주무관 044-202~2515, 2513

 

 

 

 

 

 

 

 

 

 

 

 

 

 

 

 

 

 

 

 

붙임1

 

18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세부평가항목 및 배점기준()

 

평가 영역

(배점: 100점 만점)

세부평가항목

평가배점

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필요성(10)

권역내 심뇌환자 발생, 권역의 서비스 공급역량 분석

3

심뇌혈관질환자 진료 실적(권역내 기여도 분석)

3

권역 단위 심뇌혈관질환 예방, 치료, 재활 개선방안

4

공익적 보건의료사업 수행 현황(15)

취약계층 진료 및 사업 실적

4

공공보건의료사업 수행실적

4

지역사회 보건의료기관과의 협력 현황

3

지역사회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실적

4

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역량과 운영 계획의 타당성

(45)

센터총괄

(5)

심뇌혈관질환센터 조직 및 목표 적절성

2

심뇌혈관질환 사업 평가 계획 적절성

3

예방관리센터

(10)

예방관리센터 목표 적절성

2

인력, 시설, 장비 계획 적절성

2

심뇌혈관질환 교육 및 홍보계획 우수성

2

권역내 환자이송체계 개선계획 우수성

2

지역의료인 교육 및 훈련 계획 우수성

2

심혈관센터

(10)

인력, 시설, 장비 등 운영 역량 적절성(현황)

2

심혈관센터 목표 설정 타당성(계획)

2

조직 및 인력 확충계획 타당성(계획)

1.5

시설 및 장비 확충계획 타당성(계획)

1.5

사업 및 프로그램 계획 우수성(계획)

3

뇌혈관센터

(10)

인력, 시설, 장비 등 운영 역량 적절성(현황)

2

뇌혈관센터 목표 설정 타당성(계획)

2

조직 및 인력 확충계획 타당성(계획)

1.5

시설 및 장비 확충계획 타당성(계획)

1.5

사업 및 프로그램 계획 우수성(계획)

3

심뇌재활센터

(10)

인력, 시설, 장비 등 운영 역량 적절성(현황)

2

재활센터 목표 설정 타당성(계획)

2

조직 및 인력 확충계획 타당성(계획)

1.5

시설 및 장비 확충계획 타당성(계획)

1.5

사업 및 프로그램 계획 우수성(계획)

3

심뇌혈관질환센터 발전을 위한 병원의 적극적 의지(25)

예산 집행계획 타당성 및 자체 예산투자규모

4

시설개선, 장비충원, 인력확보 계획의 구체성

4

사업취지에 부합하는 센터 운영계획의 타당성

4

민간/공공보건의료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4

준비팀 구성, 원내 의견수렴 등 준비과정의 충실도

4

사업 추진에 대한 기관책임자의 의지와 비전

5

구두평가성적(5)

비전,역량,필요성,사업계획 등에 대한 발표충실성

5

 

붙임2

 

18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현지확인 심사표

 

방문 기관 : 병원

구분

확인항목

배점

결과

기타 의견

사업

계획서의 근거자료 확인

(12)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진료지원 사업 실적

 

2

충실

보통

미흡

 

공공보건의료사업 수행실적

 

2

충실

보통

미흡

 

지자체 연계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수행실적

 

2

충실

보통

미흡

 

심혈관질환 진료부서 인력, 실적

 

2

충실

보통

미흡

 

뇌혈관질환 진료부서 인력, 실적

 

2

충실

보통

미흡

 

사업계획서 작성 과정

 

2

충실

보통

미흡

 

센터별 시설 리모델링 계획 확인

(8)

예방관리센터의 시설계획 적절성

 

2

적절

보통

미흡

 

심혈관센터의 시설계획 적절성

 

2

적절

보통

미흡

 

뇌혈관센터의 시설계획 적절성

 

2

적절

보통

미흡

 

심뇌재활센터의 시설계획 적절성

 

2

적절

보통

미흡

 

단계별 배점 기준 : 2-1-0

20

 

 

 

붙임3

 

사업계획서 작성

구분

작성항목

비고

1

표지 및 제출문

작성지침 내 양식 참조

2

목차

별도 작성

3

사업계획 요약서

작성지침 내 양식 참조

4

사업계획서 본문

작성지침 내 양식 참조

1. 권역현황분석

 

2. 병원현황분석

 

3. 심뇌혈관질환센터 계획

 

4. 예방관리센터 계획

 

5. 심혈관센터 계획

 

6. 뇌혈관센터 계획

 

7. 심뇌재활센터 계획

 

8. 예산집행계획

 

9. 사업추진일정

 

10. 사업평가계획

 

11. 계획서 작성 과정

 

5

첨부자료

작성지침 참조

 

1. 표지 및 제출문

(뒷면) (앞면)

 

2cm

2018

 

 

 

 

 

 

3cm

 

6

 

 

 

17cm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사업계획서

(18 point 가는 헤드라인)

 

 

2018. .

(16 point 견명조)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원장 성명, 책임자 성명, 담당자 성명

 

(3cm 간격)

 

○○○병원

(중고딕 15)

2cm

 

 

 

(HWP 14 point 고딕체)

 

6cm

 

 

제 출 문

 

2018년도 (○○) ○○병원의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사업계획서를 붙임과 같이 제출합니다.

 

 

 

붙임

1. ○○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사업계획서 20

2. ○○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사업계획서가 담긴 CD 2

 

 

 

 

2017 . .

 

 

 

 

보건복지부장관 귀하

3. 사업계획 요약서

○○○ 병원

1. 일반현황

설립주체

 

지역인구수

심뇌혈관질환 인구비

%

병원종별

 

병상수

 

급성

 

특수

 

건축연도

000000

건축규모

지상0, 지하0

대지면적

00(00)

건물연면적

00(00)

응급지정

() 지역 응급의료기관

수련지정

() 인턴, 레지던트

전경사진-1

전경사진-2

2. 사업개요

사업명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설치위치

 

사업기간

 

센터면적 등 사업규모

센터면적, 병상수, 시설장비 규모 등

총 사업비

(백만원)

 

합계

국비

사업대상기관

기타

합계

 

 

 

 

시설비

 

 

 

 

장비비

 

 

 

 

기타 비용

 

 

 

 

○○○ 병원

3. 사업계획 등 요약

추진 배경 및 사업목적

(현황 및 문제점)

 

기대효과

 

사업내용

환자 중심의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심뇌혈관질환 집중진료기반 구축과 지역사회 병원간 연계 체계 구축 및 지역사회 심뇌혈관질환 관리의 중추역할 수행 계획 등 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운영 사업계획 요약

인력

확보

계획

심뇌혈관질환센터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전문의 . 간호사. 의료기사 등 인력 채용 획을 제시

병원

중장기

발전방안

 

4. 사업계획서 본문

작성원칙

’18년도 사업대상 권역 : 울산광역시

 

환자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급성심근경색증(AMI : Acute Myocardial Infarction)은 응급실을 경유하여 입원한 환자로서 주상병 또는 부상병이 한국질병사인분류 I21.0 ~ I21.9 청구한 환자로 정의

뇌졸중 상병 분류는 한국 표준 질병.사인분류의 I60 거미막밑 출혈,I61 뇌내출혈, I62 기타 비외상성 머리내 출혈,I63 뇌경색증으로 정의

 

아래의 자료는 보건복지부에서 일괄 제공한다.

2016년 광역단위 환자수(입원, 외래)

2016년 권역내 뇌졸중, 심근경색증 환자수(최근 5년간 환자수)

2016년 전국/지역별/지방대병원 PCI/CABG 시술 건수/평균/표준편차 등

2016년 전국/지역별/지방대병원 응급 뇌졸중 환자 진료 건수/평균/표준편차 등

 

 

 

 

 

 

4-1. 권역 현황 분석

 

권역 인구 및 지리적 특성 현황

 

인구 규모의 추정, 지역적 특성 분석의 논리성 확인

 

인구 분석

- 권역내 인구, 5세 단위 연령별, 노인 인구 추이

- 인구 통계 활용하여 제시(최근 10년간 5년 단위)

 

2014

2015

2016

%

%

%

전체 인구

 

 

 

 

 

 

0-4

 

 

 

 

 

 

5-9

 

 

 

 

 

 

10-14

 

 

 

 

 

 

……

 

 

 

 

 

 

- 노인 인구 비율 제시

 

지리적 특성 분석

- 해당 지역의 지역적 특성, 생활권 분석, 도로 및 교통 상황, 기초 자치단체 수준의 지도 첨부

- 광역 및 권역 단위 종합전문병원, 종합병원 등 지도에 mapping

- 지역적 특성에 따라 의료이용 행태, 환자 발생 및 이송에 대한 접근성 분석

 

 

심뇌혈관 질환 요구 파악

 

권역단위의 심뇌혈관질환의 역학적 특성, 의료이용 규모를 파악함.

권역 내 심뇌혈관질환의 수요 규모를 파악함.

 

심뇌혈관 질환 사망, 이환, 유병

- 사망통계, 건강보험통계 등 활용하여 제시

- 뇌졸중 유병률 및 발병률,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복지부) 참고

- 고혈압, 당뇨병 등 유병률 등 역학적 특성 분석 : 지역의 만성질환관리사업(고혈압, 당뇨사업자료 활용 및 연계)

 

권역 내 뇌졸중 및 심근경색증 환자 현황(최근 5년간)

보건복지부에서 자료 제공

 

심뇌혈관 질환의 요구, 수요관련 지역적 특성 기술

- 인구학적 특성, 역학적 특성 등을 분석한 권역의 심뇌혈관질환 관련 요구, 수요 변화를 기술함.

 

권역 내 심뇌혈관 질환 관련 공급 현황*

권역단위 및 해당병원의 심뇌혈관질환의 환자에 대한 서비스 공급 현황(예방, 응급, 급성기 치료, 재활 등)을 파악하기 위함

 

심뇌혈관 질환 관련 예방 서비스 제공 현황

- 광역자치단체의 보건과 및 관련 부서를 통해 관할 지역 내의 예방, 교육 등 활동 기술

- 광역자치단체의 고혈압, 당뇨병 예방 관리 사업 현황, 실적 등

- 광역단위 만성질환관리사업의 기술, 조직, 실적, 사업, 해당 병원과의 연계성

 

응급의료체계 현황

- 해당 광역 자치단체의 응급의료체계 및 응급환자 후송체계, 관련 기관, 조직, 인력, 주요 사업, 병원과의 연계 현황 등에 대한 기술

- 권역응급의료센터(신청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의 지정 및 연계 활동 현황 제시

권역단위 심뇌혈관질환 치료 기관 현황

- 해당 권역단위 심뇌혈관질환 관련 PCI, CABG, 뇌졸중 환자 중재시술 등 급성기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현황 기술

- 기관명, 기관 소재지, 경쟁 및 보완, 협력 관계 등 기술

 

환자 재활 서비스 제공 기관

- 해당 권역에서 제공되고 있는 뇌졸중, 심장질환 관련 재활 서비스의 현황 기술

- 지역사회재활보건사업 및 공공기관의 뇌졸중 재활 센터, 민간병원의 재활의학 서비스 제공 현황

 

기타

- 심뇌혈관질환 관련 기타 서비스, 활동, 환자의 등록 관리 체계 및 실적, 고혈압, 당뇨 환자 진료 및 등록 관리 체계 및 실적 등을 기록할 수 있음

 

환자의 지역친화도 및 진료권 분석*

보건복지부에서 자료 제공(권역내 전체환자수)

 

뇌졸중

심근경색

%

%

권역내 전체 환자수

a

100

a

100

해당 병원 이용

b

 

b

 

타 병원 이용

a-b

 

a-b

 

* b는 해당 병원 이용환자수 중 권역내 주소지 환자수만 적용

- 2016년 심뇌혈관질환 환자의 치료 의료기관 및 권역내 환자 의료이용 분석

 

환자의 진료권 분석*

 

뇌졸중

심근경색

%

%

2016년 전체 환자()

 

100

 

100

해당 권역 환자()

 

 

 

 

00

 

 

 

 

00

 

 

 

 

00

 

 

 

 

……

 

 

 

 

해당 권역 외 환자

 

 

 

 

- 2016년 해당 병원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환자의 지역 특성 분석

- 진료권 분석의 경우 해당 병원의 2016년의 입원 환자, 응급실 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기초자치단체를 지역단위로 분석

- 기초지역의 경우 생활권, 중진료권으로 재범주화가 가능, 또는 해당 병원에 대한 거리(지리적 거리, 교통 시간 등)를 고려하여 근접지역(1시간 이내), 중간지역(1-2시간), 원거리지역(3시간 이상)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도 가능

 

해당 권역 심뇌혈관 질환 관련 서비스(예방, 치료, 재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역단위의 심뇌혈관질환 관련 예방, 치료, 재활 서비스 현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

 

해당 권역 문제점

- 지역적 요구, 문제의 심각성(seriousness), 적절한 심뇌혈관 치료 및 공급체계 수립의 시급성(urgency) 등을 기술할 것.

- 환자의 접근성(access), 지역의 서비스 공급 역량(responsiveness), 서비스의 질적 수준(quality), 서비스간의 통합성(integration) 조절(coordination) 의 관점에서 해당 지역의 문제점 기술 및 해결 방향 제시

 

권역 단위 과제 및 개선 방안

- 권역 단위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치료, 재활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기술

- 권역 단위 심뇌혈관질환 센터로서 해당 병원의 mission을 정립하기 위한 방향 제시

 

 

 

4-2. 병원 현황 분석

 

병원의 일반적 현황

 

권역 내 병원의 역할, 병원의 조직 체계, 사회적 활동 등을 파악

 

해당 병원의 일반 현황

병원 연혁

미션 및 비전

병원 조직 체계

- 병원장 및 주요 보직(진료부장, 수련부장, 특수 진료 센터장)

 

병상

 

병상 수 - 1

허가

병상

운영병상 (bed)

치매

요양

총계

일반병상

특수병상

소계

일반

중환자

산모

소계

정신

진폐

노인

행려

호스피스

 

 

 

 

 

 

 

 

 

 

 

 

 

 

병상 수 - 2

응급실

병상수

외과계 중환자실

내과계 중환자실

전문 집중치료실

심혈관

뇌혈관

심혈관

뇌혈관

Coronary

Care Unit

Stroke Unit

 

 

 

 

 

 

 

 

병실 수

구분

일반병상

특수병상

1-2인실

3-4인실

5-6인실

7인실 이상

1-2인실

3-4인실

5-6인실

7인실 이상

병상 수()

 

 

 

 

 

 

 

 

병상 비율(%)

 

 

 

 

 

 

 

 

진료실적

- 2016년 진료과별 주요 입원, 외래 진료 실적

 

연락처

- 주소, 연락처, 사진 등

 

병원 지역사회 공공사업 현황

 

취약 계층 대상 진료 및 사업

- 최근 3년간(2014-2016) 취약 계층 진료 실적*

 

2014

2015

2016

입원환자()

외래환자()

입원환자()

외래환자()

입원환자()

외래환자()

전체

의료

급여

전체

의료

급여

전체

의료

급여

전체

의료

급여

전체

의료

급여

전체

의료

급여

 

 

 

 

 

 

 

 

 

 

 

 

 

의료취약계층 환자 진료 지원 체계 및 진료지원 사업*

구분

내용

 

 

- ’14‘16년까지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진료 지원 사업 내용, 목적, 사업대상, 기간, 실적 등을 명시

* 현장방문 시 의료취약계층 대상 사업 자료 확인 및 평가

- 병원 전체적으로 실시한 공익적 사업으로 수해 및 재해 진료 지원, 전염병 예방 및 환자 관리사업 지원, 권역 단위 사업에 의료 지원, 기타 병원에서 수행한 소외지역 진료, 사회적 취약 계층 및 특정 질환자에 대한 무료진료, 방문 진료, 진료비 감면 등 혜택 조치 등을 기술

 

기타 공익적 사업

최근 3년간 공공보건의료사업 수행실적*

연도

사업명

내용

2014

 

공공보건의료사업 수행실적을 구체적으로 명시

2015

 

 

2016

 

 

* 관련 자료는 현장방문 시 확인

 

 

심뇌혈관질환 관련 현황

 

해당 병원 심혈관질환 관련 진료 실적*

 

해당 병원의 2016PCI 건수 분포

구분

기관수

총건수

기관당 PCI건수 분포

평균

표준

편차

중앙값

최대-최소

Q3-Q1

해당병원

1

 

 

권역내 시행기관

 

 

 

 

 

 

 

지방대학병원

 

 

 

 

 

 

 

전국 시행기관

 

 

 

 

 

 

 

보건복지부에서 자료 제공

 

구분

기관수

총건수

기관당 CABG건수 분포

평균

표준

편차

중앙값

최대-최소

Q3-Q1

해당병원

1

 

 

권역내 시행기관

 

 

 

 

 

 

 

지방대학병원

 

 

 

 

 

 

 

전국 시행기관

 

 

 

 

 

 

 

보건복지부에서 자료 제공

 

해당 병원의 뇌혈관질환 관련 진료 실적*

 

해당 병원의 2016년 응급 뇌졸중 환자 진료 분포

구분

기관수

총건수

기관당 응급 뇌졸중 환자수 분포

평균

표준

편차

중앙값

최대-최소

Q3-Q1

해당병원

1

 

 

권역내 의료기관

 

 

 

 

 

 

 

지방대학병원

 

 

 

 

 

 

 

전국 의료기관

 

 

 

 

 

 

 

보건복지부에서 자료 제공

 

 

심뇌혈관질환 관련 의료인력 현황*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수(2018131일 현재)

심장질환 전문의 수(흉부외과, 심장내과 등)

진료과목

합계()

전문의

수련의

전문의()

100병상당 전문의 수

인턴()

레지던트()

심장내과

 

 

 

 

 

흉부외과

 

 

 

 

 

 

 

 

 

 

 

뇌질환 전문의 수 (신경과, 신경외과 등)

진료과목

합계()

전문의

수련의

전문의()

100병상당 전문의 수

인턴()

레지던트()

신경과

 

 

 

 

 

신경외과

 

 

 

 

 

 

 

 

 

 

 

응급, 재활 및 진료지원분야 전문의 수 (재활의학과, 영상의학과 등)

진료과목

합계()

전문의

수련의

전문의()

100병상당 전문의 수

인턴()

레지던트()

재활의학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 심뇌혈관질환 재활전공, 심장 또는 뇌 영상 전공, 중재시술 전공에 한함

 

 

간호사 수(2018131일 현재)

간호사

100병상당 간호사 수

간호조무사

보조원(보유자격증 없음)

 

 

 

 

 

 

 

지역사회 예방 및 환자 발견 관리 사업

심뇌혈관질환 관련 협력 병의원 및 협력내용* (2016)

 

협력병원

주소

주요 협력 내용

1

 

 

 

2

 

 

 

3

 

 

 

4

 

 

 

5

 

 

 

 

지역보건기관(공공/민간기관)과의 협력* (2016)

 

협력기관

담당부서

협력내용

1

 

 

 

2

 

 

 

3

 

 

 

4

 

 

 

5

 

 

 

 

최근 3년간 광역 지자체 또는 보건소와 연계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수행실적*

연도

사업명

내용

2014

 

연계 보건소명, 사업명, 사업내용 등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수행실적을 구체적으로 명시

2015

 

 

2016

 

 

* 관련 자료는 현장방문 시 확인

 

기타 활동

- 심뇌혈관질환 진료, 예방관리 등 지역사회 또는 전국단위 활동 기술

4-3. 심뇌혈관질환센터 계획

 

해당 병원의 권역단위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mission, 목표 설정의 구체성, 적합성 수준을 평가함.

해당 병원의 심뇌혈관질환 응급 진료권 범위 확대, 야간 및 휴일의 응급 진료 실적 향상, 병원 내의 진단 및 치료 신속성 향상을 위한 계획의 구체성 평가

역 단위 예방 및 질병 관리를 위한 해당 병원의 역할 및 목표, 과제 도출의 적합성

세부 추진 계획의 구체성, 적합성, 목표와의 관련성 등에 관한 평가

인력, 시설 및 장비, 사업 및 프로그램, 기타의 영역에 대한 세부 평가

 

- 심뇌혈관질환센터의 총괄적인 운영과 사업계획을 기술함

- 심뇌혈관질환센터의 사무국은 예방관리센터에서 담당함

- 광역자치단체 및 지역사회를 대상 사업 내용 기술

 

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및 운영의 필요성

 

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및 운영의 필요성에 대한 논리적 타당성

- 권역의 수요, 공급 현황 분석,

- 병원의 서비스 제공 현황 및 과제 분석

- 센터 설치 및 운영을 통해 중점적인 개선이 필요한 분야 제시

 

센터 조직 및 역할*

 

심뇌혈관질환 센터 운영을 위한 조직체계의 적합성 평가

조직 운영을 위한 핵심 인력, 지원 인력 확보, 인력의 전문성, 센터 시설 및 공간의 별도 확보 등을 평가

조직의 운영을 위한 리더쉽, 의사결정의 과정, 관련 기관 참여 등에 대한 평가

 

심뇌혈관질환센터 조직

- 심뇌혈관질환센터의 전체 조직도 제시, 센터 전체의 관리는 예방관리센터에서 담당하거나 지원하는 것으로 함.

- 심혈관센터, 뇌혈관센터, 심뇌재활센터, 예방관리센터와의 조직 관계 제시

- 심혈관질환센터 대표, 담당자, 직원 제시, 근무형태, 겸직 및 예산 지원을 통한 추가 확보

- 심혈관질환센터 설치 장소, 시설 공간, 사무 운영 형태 제시

 

2) 심뇌혈관질환센터 각 센터별 역할

 

3) 위원회 및 참여

- 위원회 및 이해 주체의 참여(공공기관, 지역주민대표, 전문가 등 센터의 합리적 운영을 위한 의견 수렴 및 의사결정 형태)

 

목표 설정 및 체계도*

 

심혈관질환 센터를 통한 목표 설정에 대한 평가

세부 영역별 목표의 구체성, 측정가능성, 달성가능성, 적합성, 목표도달시기 등에 관한 평가

구조, 과정, 성과 목표의 상호 논리적 연계성

 

심뇌혈관질환센터의 총괄적인 운영 목표 설정

 

병원 전 단계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목표 설정

- 심뇌혈관 환자의 진료권 범위 확대

- 환자의 양적 확대, 특히 야간, 주말 및 휴일의 센터 이용률 향상

- 병원 전 단계의 이송 신속성 향상

 

해당과 및 분류

전공분야

해당분야

현인원

확보필요인원

주요역할

비고

 

 

 

 

 

 

 

 

 

 

 

 

 

 

 

 

 

 

 

 

 

 

 

 

 

 

 

 

 

 

- 해당과 및 분류 : 의사, 간호사, 행정 및 연구 인력 등 기술

- 필요한 인력의 역할, 유형, 경력, 고용 및 근무조건, 급여 수준 등을 제시

- 새로운 인력이 환자의 서비스 개선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기술

 

시설계획

시설 계획

심혈관 및 뇌혈관질환 집중치료실, 재활치료실, 예방관리센터 배치 계획 및 평면도() 반드시 포함


병상 규모 산정 근거

심뇌혈관질환센터 병상 규모 산정에 대한 근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

 

장비계획은 예산부분에서 총괄 작성함

- 장비비 산출근거를 예산부분에서 제시

 

. 기관 책임자의 의지와 비전*

- 기관책임자의 사업추진 의지 및 적극성, 비전 등을 기술

4-4. 예방관리센터 계획

 

세부 추진 계획의 구체성, 적합성, 목표와의 관련성 등에 관한 평가

인력, 시설 및 장비, 사업 및 프로그램, 기타의 영역에 대한 세부 평가

- 광역자치단체 및 지역사회를 대상 사업 내용 기술

 

센터 조직 및 역할

 

센터 운영을 위한 조직체계의 적합성 평가

조직 운영을 위한 핵심 인력, 지원 인력 확보, 인력의 전문성, 센터 시설 및 공간의 별도 확보 등을 평가

조직의 운영을 위한 리더쉽, 의사결정의 과정, 관련 기관 참여 등에 대한 평가

 

예방관리센터 조직

- 예방관리센터의 조직도 제시

- 예방관리센터 대표, 담당자, 직원 제시, 근무형태, 겸직 및 예산 지원을 통한 추가 확보

- 예방관리센터 설치 장소, 시설 공간, 사무 운영 형태 제시

 

 

목표 설정 및 체계도*

 

예방관리 센터를 통한 목표 설정에 대한 평가

세부 영역별 목표의 구체성, 측정가능성, 달성가능성, 적합성, 목표도달시기 등에 관한 평가

구조, 과정, 성과 목표의 상호 논리적 연계성

 

 

예방관리센터의 총괄적인 운영 목표 설정

 

예방사업 목표 제시

- 광역자치단체 및 지역사회를 대상 사업 목표 설정

- 지역사회 예방 및 환자 관리의 양적, 질적 향상

 

 

시설 및 구조개선*

 

세부 개선분야

현재 시설수준

확보필요시설규모

주요역할

비고

 

 

 

 

 

 

 

 

 

 

 

 

 

 

 

- 시설, 공간 확보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

- 구조개선의 경우 기존 시설의 문제점과 개선의 방향, 개선으로 인한 기대 효과 기술

 

 

장비*

 

장비 확충 및 개선 분야

확충예정

장비명

필요수량

주요목적

비고

 

 

 

 

 

 

 

 

 

 

 

 

- 장비 구입의 목적, 기능, 기존 유사 장비 유무, 장비의 설치, 활용에 필요한 인력 및 기술 훈련 수준, 예상되는 활용 실적, 활용 기간 등을 제시

사업 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

 

권역내 지역 주민 심뇌혈관 질환 교육 및 홍보 계획*

- 보건소 등 지역보건기관 및 지역내 공공, 민간 단체와 공동의 강연회, 캠페인 등

- 사업 협력 기관, 사업 실시 대상, 주요 내용 등

 

권역내 환자 이송 체계 개선을 위한 사업 계획*

- 응급의료체계, 환자이송체계, 야간 및 휴일 당직 근무 체계 개선을 위한 세미나 등

 

지역 의료인 교육 및 훈련 사업 계획*

- 지역 의료기관과의 연계 체계

- 심뇌혈관 질환 관련 최신 의학 지식, 기술 등을 보급하기 위한 전문인 교육, 훈련

- 심뇌혈관질환 관련 전문 의료인 대상 세미나, 워크삽 등

 

기타 사업 및 프로그램

사업명

사업대상

및 규모

주요목적

사업수행방법

기존 유사사업

비고

 

 

 

 

 

 

 

 

 

 

 

 

 

 

 

 

 

 

-센터의 기능과 연계한 사업내용 기재

*2-3. 2. 4) 지역사회 예방 및 환자발견 관리사업 나)~)참조 :지역사회 심뇌혈관질환 관리의 중추역할 수행

 

 

 

4-5. 심혈관센터 사업 계획

 

세부 추진 계획의 구체성, 적합성, 목표와의 관련성 등에 관한 평가

인력, 시설 및 장비, 사업 및 프로그램, 기타의 영역에 대한 세부 평가

 

센터 조직 및 역할*

 

심혈관센터 운영을 위한 조직체계의 적합성 평가

조직 운영을 위한 핵심 인력, 지원 인력 확보, 인력의 전문성, 터 시설 및 공간의 별도 확보 등을 평가

조직의 운영을 위한 리더쉽, 의사결정의 과정, 관련 기관 참여 등에 대한 평가

- 심혈관센터의 조직도 제시

- 심혈관센터 대표, 담당자, 직원 제시, 근무형태, 겸직 및 예산 지원을 통한 추가 확보

- 심혈관센터 설치 장소, 시설 공간, 사무 운영 형태 제시

 

 

목표 설정 및 체계도*

 

심혈관센터를 통한 목표 설정에 대한 평가

세부 영역별 목표의 구체성, 측정가능성, 달성가능성, 적합성, 목표도달시기 등에 관한 평가

구조, 과정, 성과 목표의 상호 논리적 연계성

 

구조, 과정, 결과의 측면에서 목표를 제시

 

병원 단계의 진단 및 치료 신속성 향상을 위한 목표 제시

- 특히, AMI 치료 결과를 향상하기 위한 목표 포함.

- 병원의 병원도착 30/60분 이내 혈전용해제 투여율, 병원도착 120/180 이내 Primary PCI 실시율과 같이 객관적이고, 측정 가능한 성과 개선을 위한 목표 설정

 

 

인력*

 

인력현황 및 과제

 

구분

2018. 1월 현재

추가 확보 예정

심장내과

전문의

전임교수

 

 

기금교수

 

 

임상교수

 

 

전임의

 

 

전공의

 

 

흉부외과

전문의

전임교수

 

 

기금교수

 

 

임상교수

 

 

전임의

 

 

전공의

 

 

영상의학과 전문의

 

전임교수

 

 

기금교수

 

 

임상교수

 

 

전임의

 

 

전공의

 

 

- 추가 인력 확보 계획 제시. 인력 확보 계획이 없는 경우 없음으로 표시

* 흉부외과와 영상의학과의 경우, 심혈관질환 전공자에 한함

- 구체적인 명단, 관련 실적 (수술, 진단, intervention)은 현지방문 시 확인할 예정임

직종

해당과 및 분류

야간당직

인원수

근무유형

상주 on-call

의 사

심장내과

전문의

 

 

 

레지던트

 

 

 

인턴

 

 

 

 

흉부외과

전문의

 

 

 

레지던트

 

 

 

인턴

 

 

 

 

영상의학과

전문의

 

 

 

레지던트

 

 

 

인턴

 

 

 

 

응급의학과

전문의

 

 

 

레지던트

 

 

 

인턴

 

 

 

간호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기타

 

 

 

의료기사직

방사선사

 

 

 

방사선 보조기사

 

 

 

기타 의료기사

 

 

 

기타 보조기사

 

 

 

- 야간 진료를 수행하기 위한 인력의 배치 계획 수립

 

해당과 및 분류

전공분야

해당분야

현인원

확보필요인원

주요역할

비고

 

 

 

 

 

 

 

 

 

 

 

 

 

 

 

 

 

 

 

 

 

 

 

 

 

 

 

 

 

 

- 해당과 및 분류 : 의사, 간호사, 방사선사, 행정 및 연구 인력 등 기술

- 필요한 인력의 역할, 유형, 경력, 고용 및 근무조건, 급여 수준 등을 제시

- 새로운 인력이 환자의 서비스 개선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기술

 

시설 및 구조개선*

 

시설의 문제점 및 과제

 

구 분

현 황

확보 계획

심혈관센터 면적

(아래 기재된 면적의 총합)

m2

 

심혈관센터 병상수

병상

 

순환기내과 평균 입원 병실

병상

 

심혈관계 중환자실(CCU)

병상

 

준중환자실(?)

병상

 

심혈관조영실

 

 

심전도 검사실

 

 

24시간 혈압 및 홀터검사실

 

 

운동부하 검사실

 

 

기립경 검사실

 

 

심초음파 검사실

 

 

기타( )

 

 

기타( )

 

 

 

세부 개선분야

현재 시설수준

확보필요시설규모

주요역할

비고

 

 

 

 

 

 

 

 

 

 

 

 

 

 

 

- 시설, 공간 확보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

- 구조개선의 경우 기존 시설의 문제점과 개선의 방향, 개선으로 인한 기대 효과 기술

 

 

장비*

 

장비 현황

구 분

현 장비

추가 구입 예정

심혈관촬영기

( )

아니오, ( )

혈관내 초음파기

 

 

회전죽상반 절제기

 

 

전기생리학 검사기

 

 

제세동기

 

 

경피적 심폐순환 보조장치

 

 

대동맥내 풍선 펌프

 

 

심장냉동 외과적 기기

 

 

형광투시 촬영기(C-Arm)

 

 

가스멸균기

 

 

인공호흡기

 

 

심장충격소생기(Defibrillator)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

 

 

심장초음파

 

 

심전도

 

 

24시간 심전도(Holter System)

 

 

24시간 혈압측정기

 

 

운동부하검사

 

 

MRI

 

 

MDCT

 

 

SPECT

 

 

 

확충예정

장비명

필요수량

주요목적

기존장비수량 및 구입연도

비고

 

 

 

 

 

 

 

 

 

 

 

 

 

 

 

- 장비 구입의 목적, 기능, 기존 유사 장비 유무, 장비의 설치, 활용에 필요한 인력 및 기술 훈련 수준, 예상되는 활용 실적, 활용 기간 등을 제시

 

 

사업 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

 

심근경색의 Critical Pathway

현황

계획

,

 

 

심혈관센터 CP 개발 및 적용추진계획

추진내용

 

추진방법

 

추진일정

 

사업 및 프로그램

사업명

사업대상

및 규모

주요목적

사업수행방법

기존 유사사업

비고

 

 

 

 

 

 

 

 

 

 

 

 

 

 

 

 

 

 

-센터의 기능과 연계한 사업내용 기재

*2-3. 2. 4) 지역사회 예방 및 환자발견 관리사업 가)참조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심뇌혈관질환 집중진료기반 수축 및 지역사회 병원 간 연계체계 구축

 

 

4-6. 뇌혈관센터 사업 계획

 

세부 추진 계획의 구체성, 적합성, 목표와의 관련성 등에 관한 평가

인력, 시설 및 장비, 사업 및 프로그램, 기타의 영역에 대한 세부 평가

 

센터 조직 및 역할*

 

뇌혈관센터 운영을 위한 조직체계의 적합성 평가

조직 운영을 위한 핵심 인력, 지원 인력 확보, 인력의 전문성, 센터 시설 및 공간의 별도 확보 등을 평가

조직의 운영을 위한 리더쉽, 의사결정의 과정, 관련 기관 참여 등에 대한 평가

- 뇌혈관센터의 조직도 제시

- 뇌혈관센터 대표, 담당자, 직원 제시, 근무형태, 겸직 및 예산 지원을 통한 추가 확보

- 뇌혈관센터 설치 장소, 시설 공간, 사무 운영 형태 제시

 

목표 설정 및 체계도*

 

뇌혈관센터를 통한 목표 설정에 대한 평가

세부 영역별 목표의 구체성, 측정가능성, 달성가능성, 적합성, 목표도달시기 등에 관한 평가

구조, 과정, 성과 목표의 상호 논리적 연계성

 

구조, 과정, 결과의 측면에서 목표를 제시

 

병원 단계의 진단 및 치료 신속성 향상을 위한 목표 제시

- 병원 도착 후 24시간 이니 뇌영상검사 촬영률, 정맥내 혈전용해서(t-PA) 투여율, 병원 도착 후 48시간 이내 항혈전제 투여율과 같이 객관적이고, 측정 가능한 성과 개선을 위한 목표 설정

인력*

 

인력현황 및 과제

 

구분

2018. 1월 현재

확보 계획

신경과

전문의

전임교수

 

 

기금교수

 

 

임상교수

 

 

전임의

 

 

전공의

 

 

신경외과

전문의

전임교수

 

 

기금교수

 

 

임상교수

 

 

전임의

 

 

전공의

 

 

영상의학과 전문의

 

전임교수

 

 

기금교수

 

 

임상교수

 

 

전임의

 

 

전공의

 

 

* 영상의학과의 경우, 뇌혈관질환 전공자에 한함

- 구체적인 명단, 관련 실적 (진단, intervention)은 현지방문시 확인

- 추가 인력 확보 계획 제시. 인력 확보 계획이 없는 경우 없음으로 표시

 

직종

해당과 및 분류

야간당직

인원수

근무유형

상주 on-call

의 사

신경과

전문의

 

 

 

레지던트

 

 

 

인턴

 

 

 

 

신경외과

전문의

 

 

 

레지던트

 

 

 

인턴

 

 

 

 

영상의학과

전문의

 

 

 

레지던트

 

 

 

인턴

 

 

 

 

응급의학과

전문의

 

 

 

레지던트

 

 

 

인턴

 

 

 

간호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기타

 

 

 

의료기사직

방사선사

 

 

 

방사선 보조기사

 

 

 

기타 의료기사

 

 

 

기타 보조기사

 

 

 

- 야간 진료를 수행하기 위한 인력의 배치 계획 수립

 

해당과 및 분류

전공분야

해당분야

현인원

확보필요인원

주요역할

비고

 

 

 

 

 

 

 

 

 

 

 

 

 

 

 

 

 

 

 

 

 

 

 

 

 

 

 

 

 

 

- 해당과 및 분류 : 의사, 간호사, 방사선사, 행정 및 연구 인력 등 기술

- 필요한 인력의 역할, 유형, 경력, 고용 및 근무조건, 급여 수준 등을 제시

- 새로운 인력이 환자의 서비스 개선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기술

 

시설 및 구조개선*

- 현재 뇌혈관센터 또는 시설의 문제점 및 과제

구 분

현 황

확보 계획

면적

m2

 

뇌혈관질환 전용 병상수

병상

 

뇌혈관질환 중환자실

병상

 

뇌졸중집중치료실(Stroke Unit)

유 무, m2

 

병상

 

뇌혈관 수술실

 

 

뇌혈류검사실

 

 

뇌혈관조영술실

 

 

핵의학 검사실

 

 

뇌자기공명혈관조영술실 (MRA)

 

 

기타( )

 

 

 

세부계획

뇌졸중집중치료실

(Stroke Unit)

설립연도? __________

상주인력

의 사 ________

간호사 ________

물리치료사 ________

작업치료사 ________

기타 _________ (구체적으로 기술)

병상수 ________ 병상

평균병상가동률 _______ %(개략적기술)

평균재원일수 _______ (개략적기술)

 

세부 개선분야

현재 시설수준

확보필요시설규모

주요역할

비고

 

 

 

 

 

 

 

 

 

 

 

 

 

 

 

- 시설, 공간 확보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

- 구조개선의 경우 기존 시설의 문제점과 개선의 방향, 개선으로 인한 기대 효과 기술

장비*

구 분

현 장비

추가 구입 예정

CT

( )

아니오, ( )

MRI

 

 

뇌혈류검사

 

 

경동맥초음파(Carotid doppler)

 

 

뇌혈관조영술

 

 

뇌자기공명혈관조영술(MRA)

 

 

SPECT

 

 

PET

 

 

기타( )

 

 

기타( )

 

 

확충예정

장비명

필요수량

주요목적

기존장비수량 및 구입연도

비고

 

 

 

 

 

 

 

 

 

 

 

 

 

 

 

- 장비 구입의 목적, 기능, 기존 유사 장비 유무, 장비의 설치, 활용에 필요한 인력 및 기술 훈련 수준, 예상되는 활용 실적, 활용 기간 등을 제시

 

사업 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

 

뇌졸중의 Critical Pathway

현황

계획

,

 

 

뇌혈관센터 CP 개발 및 적용추진계획

추진내용

추진방법

추진일정

사업 및 프로그램

사업명

사업대상

및 규모

주요목적

사업수행방법

기존 유사사업

비고

 

 

 

 

 

 

 

 

 

 

 

 

 

 

 

 

 

 

-센터의 기능과 연계한 사업내용 기재

*2-3. 2. 4) 지역사회 예방 및 환자발견 관리사업 가) 참조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심뇌혈관질환 집중진료기반 수축 및 지역사회 병원 간 연계체계 구축

 

 

4-7. 심뇌재활센터 사업 계획

 

세부 추진 계획의 구체성, 적합성, 목표와의 관련성 등에 관한 평가

인력, 시설 및 장비, 사업 및 프로그램, 기타의 영역에 대한 세부 평가

센터 조직 및 역할*

 

심뇌재활센터 운영을 위한 조직체계의 적합성 평가

조직 운영을 위한 핵심 인력, 지원 인력 확보, 인력의 전문성, 센터 시설 및 공간의 별도 확보 등을 평가

조직의 운영을 위한 리더쉽, 의사결정의 과정, 관련 기관 참여 등에 대한 평가

- 심뇌재활센터의 조직도 제시

- 심뇌재활센터 대표, 담당자, 직원 제시, 근무형태, 겸직 및 예산 지원을 통한 추가 확보

- 심뇌재활센터 설치 장소, 시설 공간, 사무 운영 형태 제시

 

목표 설정 및 체계도*

 

심뇌재활센터의 목표 설정에 대한 평가

세부 영역별 목표의 구체성, 측정가능성, 달성가능성, 적합성, 목표도달시기 등에 관한 평가

구조, 과정, 성과 목표의 상호 논리적 연계성

- 구조, 과정, 결과의 측면에서 목표를 제시

- 심뇌혈관질환의 환자의 조기재활, 지역사회 재활과 연계 등 병원내 환자 의뢰 체계, 지역사회와 병원의 환자 의뢰체계 개선을 위한 목표 포함

- 객관적이고, 측정 가능한 성과 개선을 위한 목표 설정

 

인력*

 

인력현황 및 과제

 

구분

2018. 1월 현재

추가 확보 예정

재활의학

전문의

전임교수

 

 

기금교수

 

 

임상교수

 

 

전임의

 

 

전공의

 

 

전문치료사

물리치료

 

 

언어치료

 

 

작업치료

 

 

기타

 

 

기타

 

 

- 추가 인력 확보 계획 제시. 인력 확보 계획이 없는 경우 없음으로 표시

 

해당과 및 분류

전공분야

해당분야

현인원

확보필요인원

주요역할

비고

 

 

 

 

 

 

 

 

 

 

 

 

 

 

 

 

 

 

 

 

 

 

 

 

 

 

 

 

 

 

- 해당과 및 분류 : 의사, 간호사, 방사선사, 행정 및 연구 인력 등 기술

- 필요한 인력의 역할, 유형, 경력, 고용 및 근무조건, 급여 수준 등을 제시

- 새로운 인력이 환자의 서비스 개선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기술

 

시설 및 구조개선*

- 현재 심뇌재활센터 또는 시설의 문제점 및 과제

구 분

현 황

확보 계획

물리치료실

m2

 

심혈관질환 물리치료실

m2

 

뇌혈관질환 물리치료실

m2

 

언어치료실

m2

 

작업치료실

m2

 

기타( )

m2

 

기타( )

 

 

 

세부 개선분야

현재 시설수준

확보필요시설규모

주요역할

비고

 

 

 

 

 

 

 

 

 

 

 

 

 

 

 

- 시설, 공간 확보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

- 구조개선의 경우 기존 시설의 문제점과 개선의 방향, 개선으로 인한 기대 효과 기술

장비*(참고자료)

 

구 분

현 장비

추가 구입 예정

EKG telemetry

( )

아니오, ( )

treadmill

 

 

arm ergometer

 

 

bicycle ergometer

 

 

운동부하검사장비

(심혈관센터 보유시 공동사용)

 

 

혈압측정기

 

 

산소포화도 측정기

 

 

매트

 

 

 

구 분

현 장비

추가 구입 예정

 

( )

아니오, ( )

 

 

 

 

 

 

 

 

 

 

 

 

 

 

 

 

 

 

 

 

 

 

확충예정

장비명

필요수량

주요목적

기존장비수량 및 구입연도

비고

 

 

 

 

 

 

 

 

 

 

 

 

 

 

 

- 장비 구입의 목적, 기능, 기존 유사 장비 유무, 장비의 설치, 활용에 필요한 인력 및 기술 훈련 수준, 예상되는 활용 실적, 활용 기간 등을 제시

 

사업 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

 

사업 및 프로그램

사업명

사업대상

및 규모

주요목적

사업수행방법

기존 유사사업

비고

 

 

 

 

 

 

 

 

 

 

 

 

 

 

 

 

 

 

 

심뇌재활센터 CP 개발 및 적용추진계획

 

추진내용

 

추진방법

 

추진일정

4-8. 예산 집행 계획

 

예산 규모의 타당성, 센터 사업과의 적합성, 집행 가능성, 예산 투입의 장기적 효과, 예산 수립의 구체성 등을 고려

- 전체 예산 및 센터별 예산 구분하여 작성

 

예산 계획*

 

예산 소요액

(단위: 백만원)

 

합계

예방관리센터

치료재활센터

소계

심혈관

뇌혈관

심뇌재활

합 계

 

 

 

 

 

 

시설비

 

 

 

 

 

 

장비비

 

 

 

 

 

 

기타 비용

 

 

 

 

 

 

기타 비용은 센터 설치에 따른 준비팀 경비 등 필요 경비를 말함

 

재원 계획

(단위: 백만원)

 

합계

국비

사업대상기관

기타

합계

 

 

 

 

시설비

 

 

 

 

장비비

 

 

 

 

기타 비용

 

 

 

 

지방비 확보가 가능한 경우 기타 란에 기재

 

국고 요구액

(단위: 백만원)

 

합계

예방관리센터

치료재활센터

소계

심혈관

뇌혈관

심뇌재활

합 계

 

 

 

 

 

 

시설비

 

 

 

 

 

 

장비비

 

 

 

 

 

 

기타 비용

 

 

 

 

 

 

 

병원 자체 부담액*

(단위: 백만원)

 

합계

예방관리센터

치료재활센터

소계

심혈관

뇌혈관

심뇌재활

합 계

 

 

 

 

 

 

시설비

 

 

 

 

 

 

장비비

 

 

 

 

 

 

기타 비용

 

 

 

 

 

 

- 국고와 자부담 예산의 대략적인 투입계획을 기술하되, 시설비 또는 장비비, 각 센터별 예산을 고정비율(30%)로 배분할 필요 없음

 

시설비 예산 추계

시설비 산출 근거

 

- 센터별 시설비 산출 근거 제시

- 시설 설계 심의 신청서 참조(별지 제4-1호 서식)

<별지 제4-1호 서식>

시설 설계 심의 신청서

의료기관

공사명

 

의료기관명

 

전화/FAX

 

설계자

성 명

 

사무소명

 

주 소

 

전 화

 

대지조건

위 치

 

면 적

지 역

 

지구/지목

 

시설비 예산

국고 외 다른 비용이 있을 경우 비용 부담 주체를 구분할 것(단위 : 천원)

기존현황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지상층 면적

구 조

 

층 수

지상 층, 지하 층

사업계획

공사종류

신축, 수직증축, 수평증축, 별동증축, 개보수

건축면적

연면적

병상수

병상

구 조

 

층 수

지상 층, 지하 층

개보수 면적

주차대수

지상 대, 지하 대

(장애인 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시설 설계에 대하여 심의를 신청합니다.

201 년 월 일

신청인 ()

보건복지부장관 귀하

<첨부서류>

1. 사업비 집행계획 내역(설계비, 감리비, 공사비, 기타비용으로 구분하여 작성)

2.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주단면도, 건축개요, 각 실별 면적표, 설비계획 개요, 가구 및 의료장비 배치도등 각 1(도면은 A3 size 평철 백상지)

3. 개보수인 경우 변경 전, 후의 도면을 모두 첨부(도면은 A3 size 평철 백상지)

 

장비비 예산 추계

장비 신청 목록 및 장비비 산출 근거

(단위 : 백만원)

구분

장비명

(용도 함께 기재)

보유현황

신청

대수

단가

총소요액

사유

대수

구입

년도

 

 

 

 

 

 

 

 

 

 

 

 

 

 

 

 

 

 

 

 

 

 

 

 

 

 

 

 

 

 

 

 

 

 

 

 

 

 

 

 

 

 

 

 

 

 

 

 

 

 

 

 

 

 

 

 

 

 

 

 

 

 

 

 

 

 

 

 

 

 

 

 

 

 

 

 

 

 

 

 

 

 

 

 

 

 

 

 

 

 

 

 

 

 

 

 

 

 

 

 

 

 

 

 

 

 

 

 

 

 

 

 

 

 

 

 

 

 

 

 

총 현황 : 장비비 총 백만원( 외 종)

* 보유현황란 : 신청한 심뇌혈관질환센터 기능에 해당하는 현재 병원내 장비 현황

* 구분란 : 장비가 들어갈 심뇌혈관질환센터 내 공간명 () 병동

* 사유란 : ‘신규’, ‘추가’, ‘교체로 구분

 

 

병원의 예산 분담에 대한 계획

시설 및 장비비 재원 마련 계획(’18)

 

센터별 사업비 재원 마련 계획(’18년 이후)

 

- 24시간 진료를 위한 인건비 추계

- 예방관리사업 수행을 위한 사업비 추계

 

운영 5년 후 자립 운영계획

 

- 현재 계획상 5년간만 사업비를 지원하고 이후 자체 운영 필요

- 24시간 진료체계 등 진료의 양적, 질적 수준을 유지, 권역내 예방관리사업 지속 수행에 대한 계획과 추진 의지 기술

 

4-9. 사업 추진 일정

 

사업 추진 일정의 타당성, 선후 관계, 예상 되는 어려움에 대한 고려

 

사업 추진 일정

구 분

추진 일정

비 고

1M

2M

3M

4M

5M

6M

 

 

 

 

 

 

 

 

 

 

 

 

 

 

 

 

 

 

 

 

 

 

 

 

 

 

 

 

 

 

 

 

 

 

 

 

 

 

 

 

 

 

 

 

 

 

 

 

 

 

 

 

 

 

 

 

 

 

 

 

 

 

 

 

 

 

 

 

 

 

 

 

 

 

 

 

 

 

 

 

 

 

 

 

 

 

 

 

 

 

 

 

 

 

 

 

 

 

 

추진진도(%)

 

 

 

 

 

 

 

 

 

 

- 각 센터별 예상 업무시작 시기 등에 대해서도 표시할 것

 

사업 추진상의 예상 문제 및 극복 방안

 

 

4-10. 사업 평가 계획*

 

센터 설치 및 운영 후 결과 평가를 위한 구체적 계획 수립

평가 영역 및 항목, 대상, 설계, 평가시기 등의 적합성, 구체성 고려

- 센터별 작성

 

심뇌혈관질환 센터

 

센터 설치 및 운영의 결과 평가 필요성

- 각 센터별로 구체적으로 작성

 

평가 목적

- 각 센터별로 구체적으로 작성

 

평가 방법(총괄)

- 평가 대상, 설계, 평가시기

- 자료 수집 방법

- 중간평가회 및 최종 평가회 계획

 

평가 결과 활용 방안

-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및 산하기관, 대학병원 등

 

예방관리센터 평가 계획

 

평가 방법

- 평가 대상, 설계, 평가시기

- 자료 수집 방법

 

평가 결과 활용 방안

 

심혈관센터 평가 계획

 

평가 방법

- 평가 대상, 설계, 평가시기

- 자료 수집 방법

 

평가 결과 활용 방안

 

 

뇌혈관센터 평가 계획

 

평가 방법

- 평가 대상, 설계, 평가시기

- 자료 수집 방법

 

평가 결과 활용 방안

 

 

심뇌재활센터 평가 계획

평가 방법

- 평가 대상, 설계, 평가시기

- 자료 수집 방법

 

평가 결과 활용 방안

 

4-11. 계획서 작성 과정 기술*

 

계획서 작성 과정에 대한 병원의 의지, 위임, 팀워크, 의견수렴 및 공감대 형성, 노력에 대한 평가

 

센터 계획 준비팀 구성

 

성명

소속 및 직위

역할

1

 

 

 

2

 

 

 

3

 

 

 

4

 

 

 

5

 

 

 

6

 

 

 

7

 

 

 

- 계획서 작성 책임자, 실무자 성명 및 연락처

 

준비팀에 대한 병원, 대학 차원의 위임

- 공식적인 팀 구성에 대한 행정 처리. 공문 등 현장방문 시 확인

 

준비팀 회의 현황

 

회의일시

장소

주요안건

참석자

1

 

 

 

 

2

 

 

 

 

3

 

 

 

 

4

 

 

 

 

5

 

 

 

 

6

 

 

 

 

7

 

 

 

 

- 현장방문 시 확인

 

대학병원 내 의견 수렴

- 병원의 공식적인 절차를 통해 계획서의 주요 내용에 대한 의견 수렴. 심의 절차에 대한 확인

- 계획서의 주요 내용에 대한 병원 및 대학의 발표회, 설명회 등

- 임상 각 과장의 센터 지원에 대한 의견서 작성

 

병원의 예산 분담에 대한 근거

- 병원 분담금 확보 방안 등에 대한 공식적 논의 절차 및 과정 기술

 

권역 내 보건기관, 의료기관과의 연계

- 지역 단위 협력의 대상이 되는 민간의료기관, 공공보건의료기관 등과의 협력 및 업무 협조 관련 근거 서류

- 환자 의뢰 체계 형성을 위한 민간의료기관, 예방 및 조기발견을 위한 공공보건기관 등을 대상으로 함

 

관련 서류는 현장방문 시 확인 예정

 

 

 

 

[참고자료] 재활의학과 장비 목록

설치장소

장비명

작업치료실

 

Foundations&,Memory&Visuospatial&,Problem Solvi

E-Link training exercise

F.E.S / Microstim

Adult Elec. Stand-in Table

Vital Stim

아쿠아치료실

 

Arm & Leg Tank

Height Adjustable Bath

Underwater Treadmill

Training Pool System

운동치료실

 

페달식 하지 관절운동장치

Electric Hi.Lo Therapectic Mat (전동식 평상)

F.E.S (기능적전기 자극치료기) Group

TILTING TABLE

Bobath Table

재활 런닝머신

전동식 상지/전동식 하지

Parallel Bar

등속성상지운동기/등속성하지운동기

Motorized Lower Body Exercise

Balance Training System

Isokinetic Testing & Rehabilitation System

Treadmill

Semi-Recumbent Cycle

Unweighting Support System

Upper Body Cycle

Body Composition Analyzer

언어치료실

 

Delayed Auditory Feed back (DAF)

Dr.Wicom(언어치료기)

Language Master

Nasality lndicator

Language Master

인지치료실

Computer-Aided Con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Sys

 

 

열전기치료실

 

Cryo Therapy Unit

Microwave Therapy Unit

Ultrasound Therapy Unit

S.S.P

T.E.N.S

I.C.T

E.S.T

Laser Therapy Unit

5. 첨부서류

반드시 현 병원의 배치도와 각층 평면도, 개선부분의 현황사진을 첨부하고, 배치도 또는 평면도 위에 사업범위를 표시할 것

최근 5년 동안의 병원 이전계획, 현대화방안 및 경영진단 등의 용역결과물 요약서

기타 사업계획평가에 도움이 되는 도면 및 서류일체

추가 필요 시 별도 통보 예정임

 


붙임_18년 권역심뇌혈관 질환센터 공모 안내.hwp
0.1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