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근전도 (sEMG)검사와 침 근전도 (needle EMG)의 비교
표면근전도 검사 (sEMG) 침 근전도 검사 (needle EMG)
근전도 검사는 보통 표면 근전도 검사와 근육 내 근전도 검사인 침 근전도 2가지로 나누어 지는데
표면근전도 (sEMG)검사는 뇌에서 근육으로 전달되는 미세 전류를 측정하여 근육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침 근전도 (needle EMG)검사는 병변 부위에 센서를 부착, 신경 전도가 되어 이상 부위의 근육에 니들을 삽입 후 전기적 자극을 주어 센서에 전기 자극들 전달, 근육 상태를 파악하여 일정 교육을 받은 의사가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표면근전도 (sEMG)검사를 침 근전도와 혼동하여 침 근전도 (needle EMG)진단 영역을 표면근전도로 똑같이 재연해보라는 주문이 있습니다. 이는 이름의 유사성에서 비롯되는 문제이나 두 기기는 전혀 다른 메커니즘을 가지기 때문에 표면근전도가 침 근전도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표면근전도 검사는 신경 전도를 파악하기 어려워도 환자의 근 긴장도, 근육 불균형 등
여러 근질환들을 통증없이 빠른 시간내에 검사할 수 있어 환자들의 선호도가 매우 높고 저항감이 적습니다.
『두 기기 차이의 요약』
표면근전도 (sEMG)검사 vs. 침 근전도 (needle EMG)검사
근육 자체의 진단 신경 전도의 차이 진단
무통증 통증 정도가 매우 심함
검사 시간 5분 소요 검사 시간 20-30분 소요
[출처] 근전도 검사와 종류: 표면근전도 vs. 침 근전도 검사|작성자 엔텀메디랩
===============================================================================================
1. 검사종류 및 소요시간 1) 신경전도검사 : 약 30분 ~ 40분 ![]() ![]() ![]() ![]() ![]() 2) 침근전도검사 : 약 30분 ~ 1시간 ![]() ![]() ![]() ![]() ![]() 3) 반복신경자극검사 : 약 30분 ~ 40분 ![]() ![]() ![]() 4) 순목반사검사(Blink reflex test) : 약 15분 ~ 20분 ![]() ![]() ![]() 2. 검사방법 -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전극을 붙이고 전기자극 또는 침 자극을 가하여 검사합니다 - 다양한 부위, 때에 따라서는 같은 자극을 반복적으로 주며, 근육을 수축하며 검사를 하기위해 근육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달라고 하기도 합니다. 3. 주의사항 - 검사부위를 자극 할 때 일시적인 불쾌감이나 통증을 느낄 수 있으나 큰 문제는 없습니다. - 인공심박동기를 부착한 분은 주의가 필요하므로 검사 전 검사실에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 침근전도 검사인 경우,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를 복용하는 분, 혈소판 감소증이나 응고인자 결핍이 있는 분은 출혈의 문제가 있을 수 있어 검사가 어려울 수 있으니 검사전 검사실에 말씀해 주십시오. 사진출처 http://www.cnsneurodx.com/faq.html http://www.youtube.com/watch?v=avl2rS3siig http://dx.doi.org/10.7860/JCDR/2012/4829.2648 http://www.physicianstotalrehab.com/nerve-conduction-studies.php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140870-overview http://youtu.be/_LTEdal_wWA |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다공증 검사[bone densitometry ] (0) | 2017.05.15 |
---|---|
실명을 부르는 망막 (맥락막, 유리체) 질환, 50대 이상 환자 가장 많아 (0) | 2017.05.10 |
Fitz-Hugh-Curtis Syndrome (0) | 2017.01.26 |
[스크랩] 심장의 구조와 기능 (0) | 2016.11.23 |
당뇨합병증 (0) | 2016.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