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

울퉁불퉁 '하지정맥류', 반바지 못 입는 40~50대 늘어

야국화 2014. 6. 17. 11:45

울퉁불퉁 '하지정맥류', 반바지 못 입는 40~50대 늘어
담당부서 진료정보분석실, 정보전략분석팀 작성일 2014.06.13 조회수

울퉁불퉁 '하지정맥류', 반바지 못 입는 40~50대 늘어

- 2013년 기준 40~50대 진료인원,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 이상(51.1%)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하지의 정맥류(I83, Varicose veins of lower extremities)’에 대해 분석한 결과,
• 진료인원은 2009년 약 13만 5천명에서 2013년 약 15만 3천명으로 5년간 약 1만 8천명(13.0%)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3.1%로 나타났다.
• 총진료비는 2009년 약 306억원에서 2013년 약 381억원으로 5년간 약 75억원(24.4%)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5.6%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하지정맥류’ 진료인원을 성별로 보면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31.7%~32.7%, 여성은 67.3%~68.3%로 여성의 진료인원이 약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하지정맥류’의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으로 50대 구간이 27.6%로 가장 높았고, 40대 23.4%, 60대 16.1% 순으로 나타났다. 점유율이 높은 40, 50대 중년층 진료인원을 더한 비중은 51.1%로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50대 구간은 2013년 진료인원이 4만 2천명으로 2009년에 비해 7천명증가하여 연령구간 중 가장 많이 증가하였는데 이 중 약 70%가 여성 진료인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의 진료인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하지정맥류’ 진료인원은 1년 중 6월에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월에 전월대비 평균 22.5% 증가하여 7월까지 증가세가 이어지다 8월부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6월에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이유는 ‘하지정맥류’의 흔한 증상인 핏줄돌출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기온이 상승하면서 반바지, 치마 착용이 늘다보니 다른 계절에 비해 증상이 나타난 부위의 노출이 신경 쓰여 진료를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 ‘하지정맥류’는 하지의 정맥 판막이 손상되면서 심장으로 돌아가는 혈액이 역류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보통 다리에 거미줄 모양의 실핏줄이 보이거나 정맥이 밖으로 돌출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 증상이 약하면 다리의 피곤함 등만 느낄 수도 있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피부색이 검게 착색되거나 궤양이 나타날 수 도 있다.

 
□ ‘하지정맥류’의 치료방법은 증상에 따라 다르다.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리는 높게(심장보다) 올리고 있거나 압박스타킹을 착용하는 등의 치료방법으로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이 치료방법으로 효과를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약물, 레이저, 수술 등의 방법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
- 간단한 치료방법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는 만큼 증상이 의심된다면 내원하여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 ‘하지정맥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리에 끼는 스키니진이나 부츠 등의 착용과 오래 서있는 자세,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 등을 피하는 것이 좋다. 그 외에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를 통해 증상을 완화, 예방할 수 있다.
- 사무실에서 오래 앉아 있는 경우에는 앉아서 다리를 꾸준히 움직여주며, 귀가 후에는 다리에 쿠션 등을 받치고 누워있는 것이 좋다.
- 기본적으로 다리의 혈액순환이 힘들어 발생하는 질환인 만큼 원활한 혈액순환을 위해 고염식을 피하고 토마토, 단호박 등 혈액순환에 좋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

 ※ 작성 기준
 ○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기준(비급여제외)
 ○ 한방 및 약국 실적 제외
 ○ 주상병 : 하지의 정맥류(I83, Varicose veins of lower extremities)
 ♠ 상병기호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2010), 통계청
 =================================================

 

※ 세부내역 첨부 파일 참조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