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에 대하여>
전염병 관리사업
(1) 전염병 정복의 계기
① 미생물학,면역학의 발전 ② 위생방법과 예방접종의 활용
③ 과학적연구 및 전염병의 보호책이 강력히 이루어짐
(2) 최근
① 퇴행성 질환증가 ② 만성전염병 증가 ③ 성병증가 ④ 결핵
⑤ 원인도 모르는 전염병 ⑥ 약물의 남용으로 병원균에 저항성
(3) 전염병 발생 양상
① 유행성 ② 토착성 ③ 세계적 유행 ④ 산발성
1. 전염병의 정의와 분류
(1) 시간경과의 특성에 따른 분류
① 급성 전염병
- 병원체의 체내침입으로 급격하게 심한 증상을 발생(콜레라,페스트,장티푸스,이질.)
② 만성 전염병 - 서서히 발생하여 3개월 이상 걸리는 전염병(결핵,매독,나병)
(2) 병원체의 종류에 따른 분류
① 세균성 전염병 - 병원체가 세균(장티푸스,이질,결핵)
② 바이러스성 - 병원체가 바이러스(독감,B형간염,일본뇌염)
③ 리케치아성 - 병원체가 리케치아(발진티푸스,쯔쯔가무시)
(3) 전파경로에 따른 분류
① 공기전파 전염병-공기를 통해 전파(홍역,수두,대상포진,인플루엔자,급성회백수염,나병) ② 비말전파 전염병-비말의 형태로 호흡기를 통해 전염(풍진,뇌수막염,결핵)
③ 경구전파 전염병-대변,소변으로 나온 병원체가 구강으로 전파(장티푸스,이질,콜레라)
④ 직접접촉 전파-직접적인 환부의 접촉(나병,성병)
⑤ 곤충매개-절족동물에 의해 전파(발진열-쥐벼룩,일본뇌염-모기)
⑥ 무생물매개체-침구,장난감,음식,물,주사 등 비활성매개체
(4)법적 규정에 따른 분류
①제1종(발생 즉시 보고,격리)-콜레라,페스트,장티푸스,파라티푸스,세균성이질,O157
②제2종(예방접종대상)-DPT,MMR,폴리오,일본뇌염,B형간염
③제3종-모니터링 및 예방홍보대상 ④제4종-보건복지부령 으로 지정
2.전염병의 발생과정
* 숙주-생물이 기생하는 대상으로 삼는 생물
* 병원체-감염증을 일으키는 기생생물
(1)질병발생 인자의 결정인자
①병인(질병발생의 직접적인 원인)-물리학적요인,화학적 요인,생물학적 요인
②환경요인(병인과 숙주간에 매개역할)-생물학적환경,물리화학적 환경,사회문화적,경제적
③숙주요인-유전적 요인,과거의 환경폭로,성격,사회계급
*감염력-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알맞은 기관에 자리잡고 증식하는 능력
*병원력-병원체가 감염된 숙주에게 현성질병을 일으키는 능력
(2)전염병 발생요소
*6가지 요소-병원체,병원소,병원소로부터 탈출,전파경로,신숙주에 침입,감수성 있는 숙주
1)병원체-숙주를 침범,숙주에 기생,숙주에 손상
①동물성 기생물-원충류(아메바,트리코모나스,플라스모디아),후생동물(예:회충,십이지장충)
②식물성 기생물-곰팡이,병원성 진균,사상균
③세균- .구균(둥근모양:포도상구균,폐렴균,임균)
.간균(막대기모양:나병균,디프테리아균,장티푸스균,결핵균)
.나선균(S자형 나선형:콜레라균)
④스피로헤타-세균이 아니라 가늘고 길고 편모가 없고 회전운동(매독균)
⑤리케치아-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크기,화학요법제에 반응,곤충류가 매개(발진티푸스,발진열)
⑥바이러스-병원체중 가장 작음,세균여과막을 통과(여과성병원체),세포내에서 번식(세포내병원체)
항생제와 설파제에 저항(예:소아마비,인플루엔자,뇌염,감기,천연두)
2)병원소
*병원소-병원체가 생활하고 증식하며 생존을 계속해서 다른 숙주에게 전파될수 있는 상태로 저장되 는 장소
*전염원-숙주에게 병원체를 가져올수 있는 모든 수단
①인간병원소
ㄱ.환자-개인에겐 위험,지역사회 측면에서는 타숙주로의 전파방지 예방하여 효과적인 관리가능
ㄴ.무증상 감염자-불현성환자,환자 자신은 사회에 대해서는 위험성이 적음 인지되지 않은 환자는 사회에 위험성이 많음.
ㄷ.보균자- 병원체를 보유 배출하므로 전염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사람
1.잠복기 보균자(발병전 보균자)-잠복기간중에 타인에게 병원체를 전파(홍역,유행성 이하선염,백일해,디프테리아)
ⅱ.회복기 보균자(병후보균자)임상증상 소실후에도 계속 병원체를 배출(장티푸스,이질)
ⅲ.건강보균자-감염을 받고도 증상도 없고 발병하지 않는 경우
<보균상태의 계속기간>
ⅰ.일시적 보균자-보균기간이 3개월 이내에 끝나는 것.
ⅱ.만성보균자-보균기간이 3개월 이상 되는 것(장티푸스,디프테리아)
②동물병원소-사람과 관계있는 가축과 쥐,절족동물
동물병원소 |
질 환 |
쥐 |
발진열,페스트 |
소 |
우형결핵 |
말,돼지 |
일본뇌염 |
개 |
광견병 |
새 |
조형결핵,일본뇌염 |
③기타병원소-토양,곰팡이,사상균,파상풍균
3)병원체의 탈출-주로 호흡기,소화기,비뇨기,개방병소,기계적 탈출
4)전파
①직접전파-신체적 접촉(성병,나병),공기나 비말의 형태(감기,결핵,홍역)
②간접전파-매개물을 통한 전파(절족동물,무생물,개달물)
탈출 |
전파 |
침입 |
질병의 예 |
기도분비물 ( 호흡기) |
공기매개,비말,개달물 |
기도 |
감기,홍역,디프테리아 |
분변(위장관) |
물,음식물,파리,개달물 |
소화기(입) |
장티푸스,소아마비,바이러스성 간염 |
병변부위 삼출액(상처) |
직접접촉,성교,개달물,파리 |
피부,성기점막,안구점막 |
종기,임질,트라코마 |
혈액(매개동물) |
흡혈절족동물 |
피부(자상부위) |
말라리아,사상충,뇌염,발진티푸스,페스트 |
5)신숙주에 침입-침입양식은 비교적 탈출양식과 유사함
6)감수성과 면역
*면역-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 자극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고 저항력을 기르며 이러 한 저항을 통하여 동일한 균의 단백 성분에 대하여 두번 다시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
①선천면역-인체가 어떠한 면역에도 접촉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체내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면역
②후천면역
능동면역 |
수동면역 |
자연능동면역(질병을 앓은후) |
자연수동면역(태반 및 모체면역 ) |
인공능동면역(항원 투여) .생균백신-홍역,결핵,풍진,소아마비 .사균백신-장티푸스,콜레라,소아마비 .톡소이드-파상풍,디프테리아 |
인공수동면역(항체주사)-회복기혈 청,면역혈청 |
3.전염병 관리의 원칙
①전파과정의 차단 ②면역증강 ③발병한 환자의 조치
(1)전파과정의 차단
①병원소 제거-동물인 경우 없애는 곳이 좋으며 사람인 경우는 외과학적인 방법,약물요법
②전염력 감소-적절한 치료로 전파방지(매독환자에게 페니실린 주사,폐결핵 환자에게 항결핵제 요 법 4~6주 실시)
③병원소 격리
ㄱ.환자격리-병원체에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을 병원체를 전파할 위험성이 없어질 때까지 건강한 사람에게서 떼어놓는 것을 격리라고 한다.(콜레라,발진티푸스:5일,황열:6일,디프테 리아:7일,페스트,장티푸스,파라티푸스,세균성이질:14일간 격리)
검역전염병 |
감시기간 |
콜레라 |
120시간(5일) |
페스트 |
144시간(6일) |
황 열 |
144시간(6일) |
④환경위생관리-환경조건개선(소독,매개곤충관리,하수및폐기물,우유위생,물의정화)
(2)면역증강-예방접종
(3)예방되지 못한 환자에 대한 조치-조기진단,적절한 치료와 간호,합병증 예방→전파방지
주요 법정전염병 질환의 역학적 특성과 예방대책
1.호흡기계질환
①세균성 질환- 디프테리아,백일해,성홍열,폐결핵,뇌막염
②바이러스성 질환- 감기,유행성 감기,홍역,이하선염
2.소화기계질환
①세균성 질환- 장티푸스,콜레라,세균성이질
②바이러스성 질환- 소아마비,간염
3.성병- 임질,매독,후천성 면역결핍증
4.기생충 질환- 회충증,십이지장충증,촌충증,요충증,간디스토마,폐디스토마
5.리케치아성 질환- 발진티푸스,발진열,양충병 6.원충성 질환- 아메바 이질,말라리아
7.기타질환- 공수병,나병,유행성 출혈열,일본뇌염,렙토스피라증,비브리오 패혈증
1.호흡기계 질환
1)세균성 질환
(1)디프테리아(diphtheria)
①원인-디프테리아균 ②감염방법-비말전파,간접 접촉전파
③호발연령-2~5세 ④잠복기-2~7일간
⑤증상
ㄱ.인두 디프테리아-발열,인두통,권태감,편도선 종창,흰위막
증상 심할시 위막이 갈색이며 입에서 악취,편도선 헐고 구토,식욕부진,목쉰 소리,호흡촉박,심장쇠약(독성심근염)
ㄴ.후두 디프테리아-발열,개짖는 듯한 해소,쉰소리,무성,흡기시 호흡곤란,청색증,기침,식은땀, 질식으로 사망가능
⑥합병증-폐렴,기도폐쇄,무기폐,독성심근염,독성신염,중이염 ⑦예후- 3~5% 사망률
⑧치료 및 간호- 2주간 절대안정,항독소 주사,기관절개술,산소공급,습도조절,페니실린 주사
목주위 얼음찜질(부종완화,염증예방),구강청결(H2O2, boric, 중조수나 과망간산카리로 함수),피부청결,유동식,종말소독
⑨예방-디피티 주사 ⑩schick test
(2)백일해(pertussis)
①원인-백일해균 ②감염방법-비말전파
③호발연령-0~4세 ④잠복기-1~2주
⑤증상
ㄱ.전구기-2주일 경한기침이 밤이나 이른 아침에 심함,재채기,미열
ㄴ.경해기(발작기)-구토 경련을 동반한 기침,흡기가 힘들어 흑하는 소리가남(당나귀 기침)
짙은 객담,발한,청색증,호흡중지
ㄷ.회복기-기침과 경련이 줄어듬,1개월 반까지 전염성 가능
⑥합병증-기관지염,폐염
⑦치료 및 간호-구토(조금씩 자주),신선한 공기(기온차 심한 것 좋지 않음),진해제,진정제 사용
항생제 사용(C.M ,T.C ,A.M ,S.M),객담은 suction, 무호흡시 인공호흡,산소공급, 격리
*C.M-Chlorampenicol ,T.C-tetracyclin, A.M-ampicillin, S.M-streptomycin
⑧예방-디피티 주사(2,4,6 개월)
(3)성홍열
①원인-용혈성 연쇄상구균 ②감염경로-포말전파 ③잠복기-3~7일
④증상- 고열,두통,구토,발진(목-흉부-복부-사지,입주위에 없슴),딸기모양의 혀 혹은 고양이 혓바 닥,1주후부터 열하강
⑤합병증-신장염,중이염 ⑥치료-penicillin,sulfa제,소변검사로 합병증 주의
⑦간호-격리,안정(병실 따뜻하게 습도유지),구강간호,피부청결,소양증(중조,유산마그네슘),유동 식,식염제한
⑧진단-DICK TEST
(4)폐결핵-법정 3종 전염병
①원인균-세균성 결핵균(robert koch) ②침범부위-폐
③결핵의 유형-인간결핵,소결핵,새결핵 ④전염원-개방성 환자,결핵에 감염된 소의 우유제품
⑤전파방법-비말 및 포말전파 ⑥침입경로-호흡기
⑦잠복기-4~6주 ⑧호발연령-15~30세
⑨감수성 및 저항성-3세이하,영양결핍자,게으른자,쉽게 피로한자,당뇨병환자,노인은 감수성↑
3~12세는 비교적 적음
⑩발생빈도- 농촌≪도시, 백색인종≪황색인종
⑪증상-급성시 고열,발한,체중감소,만성시 미열,피로감,식욕부진,신경과민,소화불량,기침,객혈,목 쉰소리,흉통,객담배출,한쪽 흉부가 들어감
⑫진단
ㄱ.투베르쿨린 반응검사(2~4℃보관)- 결핵균을 2000배로 희석 0.1cc피내주사 PPD 48~72시간 후 판독 양성은 10mm) 이상, 음성은 5mm)이하
ㄴ.x-ray 촬영-직접촬영,간접촬영
ㄷ.객담검사-도말검사(즉시볼수있음,결핵균이 많아야 함),배양검사(40일이상 걸림,적은양의 균으로도 가능)
⑬예후-활동성 결핵인 경우 평생 재발 가능성이 있슴.조기발견 치료시 재발가능성 10%미만
⑭치료(항결핵제)
ㄱ.1차약-S.M, rifampicin,INAH, EMB,피라지나마이드(가장 효과적이고 독성이 적다)
ㄴ.2차약-1차약에 내성이 생겼을때 사용,ETHA, K.M, prothionamide, viomycin,capreomycin
*피라지나마이드는 2차약에서도 병행하여 사용됨.
⑮간호
ㄱ.대기요법-조용,따뜻,신선한 공기가 충만한곳,금연,병실외인금지,직사일광욕 금지(객혈우려)
ㄴ.안정 ㄷ.식사- 고지방,고단백,고탄수화물,고비타민C
ㄹ.열-오후 2~3시에 미열, 해열제 사용은 좋지 않다.
ㅁ.객혈- 상반신을 높여줌,잔기침,Ice bag을 흉부에 대줌,면회거절,의사표시는 필기로, 갈증시 과일즙이나 보리차, 유동식,절대안정,출혈한 객담은 3%크레졸에 30분간 둔후 변소에 버림,홑이불도 크레졸 소독
⑯발한
ㄱ.피부의 땀을 자주 닦고 속옷을 자주 갈아 입힘. ㄴ.저녁식사를 빨리하고 소화후 취침 ㄷ.자기전에 차 마시는 것 삼가 ㄹ.10%의 포르말린으로 피부에 문질러 주면 땀이 적게남
⑰객담
ㄱ.체위 배농법 ㄴ.점착성 객담인 경우 따뜻한 물이나 우유 한모금 마심
ㄷ.따뜻한 물에 향료를 몇방울 떨어뜨려 함수
⑱주의점
ㄱ.노동 심하지 않게 ㄴ.정신적 긴장이 없을 것 ㄷ.먼지,가스가 없는곳
ㄹ.정신적 수양에 도움이 되고 요양에 도움 ㅁ.주위사람에게 피해 없도록
ㅂ.값이 비싼 설비가 필요치 않는 것 ㅅ.음성 높이지 않을 것
ㅇ.기쁨,좋은마음,즐거움,유모어를 줄수 있는 것
⑲예방
ㄱ.보건교육 ㄴ.병원,x-ray시설,병리실 ㄷ.가정방문시 교육
ㄹ.B.C.G 주사 ㅁ.우유저온소독 ㅂ.먼지흡입 주의
ㅅ.전염병 환자 발견시 보고 ㅇ.격리
ㅈ.의료종사자,환자,정신과 환자,산업장에서 일하는 사람은 건강조사
⑳식이요법-열량 40~50kcal/kg, 단백질1.5g/kg, ca많은 것(우유,오렌지,계란,사과,육류)
(5)뇌막염(meningitis)
①원인-뇌막염구균(meningococcus,stahplyococcus,streptococcus)
②호발시기-늦은겨울 봄 ③호발연령-1세미만
④전파방법-포말전파 ⑤잠복기-1주
⑥증상-두통,고열(38~40℃),구토,경련,경부강직,불안정,헛소리,혼수상태,쇼크로 사망
⑦치료-설파제,페니실린제,항생제,비타민c,산소공급,비강영양법
⑧합병증-실명,난청,뇌수종,폐렴,관절염,심내막염 ⑨면역-없슴
2)바이러스성 질환
(1)감기(common cold)
①원인균-rhinovirus,coronavirus ②잠복기-12~72시간, 보통24시간
③발생-세계적으로 지방적 및 유행성 현상을 나타낸다
④증상-코감기,콧물,재채기,두통,기침,오한및 권태,열은 드물다.
⑤치료 및 간호
ㄱ,안정,몸 보온,건조 ㄴ.다량의 수분섭취
ㄷ.타인과 접촉삼가,방문객 제한 ㄹ.오한방지,습도유지 ㅁ.가벼운 식사제공
(2)유행성 감기(influenza)
①원인균-A,B,C VIRUS ②잠복기-24~72 시간)
③전파방법-비말감염,간접전염,공기전염 ④전염기간-임상증상 출현후 3일간
⑤증상-갑자기 출현,발열(38~40℃),심한두통,광선혐기증,오한,쇠약,전신근육통,식욕부진,인후통
불안,마른기침,콧물
⑥예방
ㄱ.좋은 개인위생습관 ㄴ.유행시 사람이 많은곳 피함
ㄷ.쇠약한 남자,임신부,노인,당뇨,심폐질환,인플루엔자 질환에 잘 걸리는 사람은 다가백신 접종
ㄹ.amantidine hydrochloride를 유행기간중 1일 2회 100mg씩 내복하면 50%는 예방
⑦치료 및 간호(대증요법)
ㄱ.열이 내린후에도 24~48시간은 안정 ㄴ.두통,사지통(aspirin),기침,흉통(codeine)
ㄷ.유동식,수분섭취 증가 ㄹ.구강간호 ㅁ.따듯한 식염수로 함수
ㅂ.등마사지,스폰지 목욕 ㅅ.습도 높힘
⑧합병증-세균성페렴,맥관질환,부비강염,기관지염,중이염
(3)홍역(measles)-마진,홍진
①원인-measles virus ②전파방법-비말전파 ③잠복기-10~12일(대개 1~2주)
④증상
ㄱ.카탈기-3~4일 발열 시작,재채기,콧물,결막충혈,눈물,눈꼽,기침,코플릭반점,
ㄴ.발진기-귀뒤부터 발진이 얼굴,목,몸,팔다리의 순으로 나타남
ㄷ.회복기-쌀겨 모양의 낙설,열하강,발진이 쇠퇴한다.
⑤합병증-기관지폐염,중이염 ⑥예방- 격리 ,liugen(홍역 단독백신)0.5cc피하주사
⑦치료 및
ㄱ.열-아스피린 ㄴ.합병증 예방-항생제,설파제
ㄷ.구강간호,눈간호-붕산수 ㄹ.고열-유동식,과일즙
ㅁ.피부간호-청결,소양증(중조,유산마그네슘) ㅂ.해열후 3주일 이후 등교
(4)이하선염(mumps)
①원인-virus ②유행시기-늦은겨울,봄
③감염경로-직접접촉,포말전파 ④호발연령-4~14세
⑤전염시기-발병 2~3일 전부터 종창이 있는동안 ⑥잠복기-2~4주(평균 20일)
⑦증상
ㄱ.1~2일간 오한,미열,두통 ㄴ.식욕부진,연하곤란
ㄷ.이하선 종창,압통,발열(39~40℃),동통,lemon test
⑧합병증-고환염,난소염,췌장염
⑨치료 및 간호-종창부에 vaselin,olive oil또는 더운 물찜질, 염증시 얼음찜질
2.소화기계 질환
1)세균성 질환
(1)장티푸스(typhoid fever)-제1종 법정 전염병,급성 세균성 장질환
①원인균- 장티푸스세균( 살모넬라 ),열에는 비교적 약하여 60℃에서 30분 사멸됨. ②매개물-오염된 물과 음식물(날음식,날과일,채소,조개류,밀크),환자나 보균자의 대소변
③매개체-파리 ④유행시기-여름부터 초가을
⑤잠복기-평균2주간 ⑥전염성-배설물중 장티푸스균 발견시
⑦감수성 및 면역성-인공면역의 효과는 약2년,고도의 예방력은 약1년
⑧발생빈도-상하수도,분뇨처리,보균자의 단속과 관련 ⑨나이-3~50세
⑩증상-오한,계류열(하루종일 온도차가 1℃이내인 고열),두통,요통,전신통,식욕부진,서맥,장 진 (흉부,등),소아인 경우 전신마비,성인은 헛소리,무감동,혼수상태,오심과구토
⑪재발-약 8~10% 였는데 항생제 사용후 10~20%로 증가
⑫합병증-장출혈,장천공,담낭염
⑬진단-계류열,서맥,장미진,비장증대,widal teat(혈청검사)
⑭예후-장년 이후의 비만자,음주자는 예후불량,항생제 요법의 발달로 치명률이 2~3% 이하로 감소
⑮치료 및 간호
ㄱ.C.M(chloramhpenicol)이 특효약 ㄴ.2~3주동안 절대안정,격리
ㄷ.2주후부터 서서히 운동 ㄹ.산과가스,섬유질이 많지 않은 식사
ㅁ.설사시 지방식 금함 ㅂ.날음식 피함
ㅅ.변비-물이나 saline 관장 ㅇ.욕창예방
ㅈ.열-구강간호 ㅊ.환자의 헛소리 유무관찰
ㅋ.장출혈-복부에 ice bag 사용으로 혈관수축
ㅌ.기록철저 ㅍ.공포감 제거 ㅎ.보건교육-보호자
⑯ 환자의 분비물 처리
ㄱ.토물,대소변-3% 크레졸에 2시간 담가 두었다 변소에 버림
ㄴ.오물에 파리가 앉지 않게 뚜껑설치
ㄷ.종말소독,환자목욕,머리감기기,소독된 옷으로 갈아입히기
⑰ 예방 - 환자 발생시 보건소에 신고,예방주사,오염물 소독,우유소독,파리제거,안전한 음료수 제공 , 식품관리자 검사,보균자 적발
⑱ 식이요법 - 고칼로리, 고단백질(우유,계란),
유동식-연식-일반식, 식사회수 조금씩 자주
(2)콜레라(cholera)-급성 세균성 장질환
① 원인-비브리오 콜레라균 ② 매개물-오염된 물과 음식물,어패류 먹은후
③ 매개체-파리 ④ 잠복기-평균 2~3일
⑤ 감수성 및 면역성-전반적,영양상태와 관련,에방주사의 효과는 6개월 이상 가지 않음
⑥ 보균기간-3개월
⑦ 증상-구토,설사(쌀뜨물 같은 설사),갈증,피로감,실신상태,혼수상태,소변의 혼탁 ⑧ 치료 및 간호-수분보충,항생제 사용,절대안정,격리,분비물은 3%크레졸에 2시간 담구었다 버림
⑨ 예방-오염된 식수,음식 섭취금지,분변위생처리,우유저온소독,파리구제,개인위생,예방주사,상수도 공급안전,신고,격리,종말소독
(3)세균성 이질(dysentery)-제1종 법정 전염병=적리,역리
①원인균-이질균(shigella) ②매개물-오염된 음식물(식수,우유,바퀴벌레,파리)
③감수성 및 저항성-어린이,장년 多 ④유행시기-여름철(8~9월),집단발생
⑤잠복기-2~7일
⑥증상-갑작스런 복통,설사,전신권태,오심과구토,하루 20~30회 설사(이급후증,점액성,혈성,농성)
발열(1주일후 하강),사지냉한,빈맥
⑦예방
ㄱ.유행시에는 외식,폭음,폭식 금함 ㄴ.식전,배변후 손을 씻는다
ㄷ.날음식 피한다. ㄹ.대변,하수도 완전히 소독
ㅁ.변소,하수도 개량,정비,파리박멸
⑧치료 및 간호
ㄱ.안정 ㄴ.하복부 보온 ㄷ.설사로 인한 탈수이므로 수액,포도당액 등 공급
ㄹ.설파제,C.M, A.M, T.M ㅁ.유동식 ㅂ.욕창예방
ㅅ.대소변,목욕물 등은 5%크레졸에 2시간 이상 두었다가 버림
2)바이러스성 질환
(1)소아마비(poliomelitis)
①원인-polio virus ②전파-소화기 전파(구강분비물,분변)
③잠복기-7~14일 ④유행시기-여름~가을(6~9월)
⑤증상(바이러스가 중추신경,척수 침범)-발열이 2~3일후 하강,하지마비,감기증상(식욕부진,중등 열,두통,구토,설사,오심,인두염),변비,발한,상하지마비(한쪽에 오는 경우 多),근육위축,척추 만곡,안면신경마비,안구운동장애,동공이상
⑥치료및간호-절대안정,물리요법,온천요법,더운찜질,마비시마사지,각종보조기구 사용
⑦예후-5~7% 사망,1/2완쾌,1/4영구마비,1/4경한마비
⑧예방-salk,sabin(경구용 소아마비 약)
(2)간염(hepatitis)
①A형간염(전염성간염)
ㄱ.원인균-간염 바이러스 A형 ㄴ.전파방법-분변에 오염된 음식물,물의 경구감염,비인두 분비물
ㄷ.잠복기-15~45일 ㄹ.특징-가을~겨울 多,청소년 多
ㅁ.증상-발병 1주일 전부터 몸이 노곤,식욕저하,두통,상복부 불편감,황달(감가로 오인)
②B형간염(혈청성 간염)
ㄱ.원인균-간염바이러스 B형 ㄴ.잠복기-60~160일
ㄷ.전파방법- ⒈오염된 혈액,혈장,혈청을 주사
⒉오염된 주사기,바늘,기타 의료기구
⒊병원체에 오염된 물,음식물로 인한 경구감염
⒋수직감염(모자감염),정액.체액을 통한 감염
ㄹ.증상- ⒈전구기:심한피로감,감기,구토,소화불량,열,콧물,근육통,식욕부진
⒉황달기:노란색의 침착,간비대
⒊회복기:황달이 서서히 소실,전신증상도 좋아짐.
ㅁ.치료 및 간호-안정,자극물 피함,식이(고칼로리,고단백,함수탄소),포도당 정맥주사,소양감 (1%석탄산수,중조)
ㅂ.예방- 환자의 대변소독,변기 30분이상 소독,수혈삼가,1회용 주사기 사용,간호후 손씻기,예 방주사
ㅅ.예후-3~16주내에 예후 좋다,사망률 1%미만,노인에 사망률 높다,B형간염이 예후나쁨
3.성병
(1)임질-성병중 발생빈도가 높다.
①원인균-neisseria gonorrhea ②전파방법-성교,목욕탕,옷,침구,신생아(산도통해)
③증상- ㄱ.남자:요도 부위에 짙은 황색의 농 분비물→요도염,고환염,전립선염 으로 진전
ㄴ.여자:초기 요도염→자궁경관염
④합병증- ㄱ.남자:요도염,전립선염,부고환염(양쪽이면 불임)
ㄴ.여자:요도염,난관염(양쪽이면 불임),골반골막염
ㄷ.이외에 임균성안염, 임질성 관절염,심내막염,골반염증성질환,뇌막염,피부병변
⑤진단-direct smear(배양검사) ⑥치료-penicillin,ampicillin
⑦관리 및 예방-예방교육,콘돔사용,신생아(1%질산은,테트라싸이클린,에리쓰로마이신)
(2)매독(syphillis)
①원인균-spirocheta pallida(treponema pallidum),(나선균)
②침입양식-피부,점막,선천감염,수혈감염
③전파방법-성교나 키스,태아감염(임신5개월 이후),수혈감염 ④잠복기-10일~6주간,평균3주간
⑤증상
ㄱ.초기매독(1기매독)-경성하감 (생식기,입술,구강점막),치료하지 않아도 4~6주후에 저절로 사 라짐(혈청반응 음성)
ㄴ.2기매독(감염후 3개월)-전염성 강하며 혈청검사 양성,편평콘딜롬(외음부,항문주위),점막반점 (구강과 음부),2~6주후에 사라짐
ㄷ.잠복기-매독균이 뇌,척수,심근,대동맥,간장 등을 서서히 침범
ㄹ.후기매독(3기매독)-감염후 3~10년후 나타남.고무종,심부조직에 파괴성 변화,중추신경계 침범 (마비성 치매)
⑥진단- ㄱ.제1기-혈청반응은 음성,암시야 검사 실시 ㄴ.제2기- VDRL
⑦치료-penicillin 사용,페니실린에 과민자(erythromycin,tetracyclin,cargomycin)
(3)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①원인균- HIV-Ⅲ ②전파방법-직접전파
③전염경로-보균자 및 환자의 혈액,정액,질분비물,눈물,소변,타액,수혈,귀뚫기,문신,면도기,칫솔
④증상
ㄱ.주증상-체중감소(10%이상),1개월 이상의 만성설사,1개월 이사의 지속적 또는 간혈적 열
ㄴ.2차증상-1개월 이상 계속되는기침,피부염,수포진,구강및식도염,만성적대상포진,임파선종창
ㄷ.중증-주증상이 2가지 이상,2차증상이 1가지 이상시,카포시 육종이 있을때,어린애(만성설사,빈 혈,성장저지)
⑤사망원인-카리니 폐렴,카포시 육종
⑥진단- 항체검사,ELISA 효소면역법(양성시),웨스턴 블럿법 시행
⑦예방법
ㄱ.환자,동성연애자,마약중독증 환자와의 성적 접촉을 피할 것
ㄴ.콘돔사용 ㄷ.면도기,칫솔 같이 사용 금지,혈액이 묻은 물건은 모두 소각
ㄹ.오염된 혈액이나 혈액제제에 대하여 항체검사 실시
ㅁ.주사기나 주사바늘, 침은 1회용 사용
⑧치료-대증요법
4.기생충질환
(1)회충증(ascariasis)
①병원체-회충(선충에서 가장큼,15~30CM)
②발생-전 세계에 널리 퍼져 있다.(열대의 고온 다습한 지역)
③증상
ㄱ.폐에 침범-39~40℃의 발열,경련성 기침,호흡곤란,두통,객담,오한,흉통
ㄴ.장침범-복통,식욕감퇴,체중감소,빈혈,구토,설사,변비,빈혈,영양장애,안면창백,복부팽만,혈변
설사
ㄷ.충수,담관,췌장에 들어가 증세 일으킴.
④진단-대변검사 ⑤치료-piperazine ⑥생존기간-1년
⑦예방
ㄱ.인분처리(하수처리개선,정화조 설치) ㄴ.변소사용
ㄷ.식품위생-야채는 흐르는 물에서 4~5회 씻도록 함
ㄹ.60℃ 5초 혹은 70℃ 1초면 죽는다.비료로 쓰는 경우 완전부패
ㅁ.개인위생-식전에 손씻기
(2)십이지장충증(hookworm disease)=구충증
①원인-십이지장충
②발생-기온,습도,오물처리 시설,위생상태,생활습성 등에 영향을 받고 농촌에 多(열대와 온대)
③증상-폐를 통과할 때 폐렴증세(기침,가래),성충 한 마리가 하루 평균 0.2cc의 피를 흡혈,빈혈, 어지러움,저혈압,얼굴부종,설사,변비,경한 심장비대,호흡곤란,간증대,피부와 점막창백,단백뇨,발육중지
④진단-대변검사 ⑤치료-alcopar
⑥예방-변소개량,맨발로 흙밟지 않게,감염원 제거,집단검사 치료,농사일의 개량
⑦감염경로-경구와 피부
(3)촌충증-중국,동남아시아 多
①무구조충증
ㄱ.원인-무구조충(길이:4~10m,1000~2000개의 마디) ㄴ.진단-대변검사
ㄷ.전파경로-충란이 소의 먹이(풀)→소의 장에 기생→근육이나 조직→소고기,소내장→불충분 한조리→소장에서 발육→성충
ㄹ.증상- 소화기증상:위장장애,복통,메스꺼움,식욕부진,권태감,체중감소,구토
신경증상:두통,현기증,불면증
ㅁ.예방-대변처리,소고기 위생적 처리,소의사료,도축장의 위생검사,육회는 -10℃ 5일간 조치, 밀도살 방지
②유구조충
ㄱ.원인-유구조충
ㄴ.전파경로-충란→돼지사료에 오염→근육,기타조직→돼지고기→사람이 먹어 생김
ㄷ.진단-대변검사
ㄹ.증상-빈혈과 관계,체중감소,장천공,뇌에 기생(수두증,착란,운동실조,간질발작)
ㅁ.예방-대변처리,돼지고기 위생처리 및 익혀먹기,도축장의 위생검사,밀도살 방지
(4)요충증
①형태와 발육-사람에게만 기생,머리날개 가지고 있어 장점막에 붙어서 산다
②감염-항문에서 산란,오염된 손을 거쳐 직접 경구감염 또는 항문에서 떨어진 충란이 옷과 가구, 음식물,식기 등을 통해 경구감염
③발생의 역학-온대,한대지방 多,선진국 多,가족성 감염
④증상-항문소양증,설사,복통,맹장염의 원인,어린이(불면증,신경증 유발)
⑤예방-손씻기,좌변기 닦기,집단검사 실시 및 약복용,개인위생(손톱깎기,목욕),세탁,침구일광
(5)간디스토마
①병원체-간디스토마,간흡충(간에기생)
②전파경로-대변에서 충란→강이나 못에 도달→쇄우렁이(제1중간숙주)→담수어(제2중간숙주)
→살속에 들어감→불철저한 조리시 사람이 감염
③발생지-낙동강,중국,대만,일본에 多
④증상-복부팽만,소화불량,식욕부진,간증대,복수,부종,만성설사,위장출혈,빈혈,야맹증,황달,영양 장애
⑤진단-대변검사,십이지장에서 충란검사
⑥예방-담수어 생식금지,양어장에 인분사용 금지,대변의 1/10량에 0.7%황산암모니움을 섞고 30분이 지난 다음 비료로 사용,우렁이가 없는 곳에 양어장 설치
(6)폐디스토마
①원인-폐흡충,폐 또는 뇌에서 기생
②전파경로-대변이나 객담에서 충란→다슬기(제1중간숙주)→참게,가재,사람의 몸체
③발생-우리나라 전국(함경북도 제외,일본,대만,필리핀,중국에 산발적 발생)
④증상-폐결핵과 비슷한 증상(기침,혈담,가래,가래는 끈끈하고 쇠빛,각혈,기침시 비린내),복통,복 부압통,혈액성점액변,간질증세(뇌에 기생시)
⑤진단-혈담,각혈,환자의 충란검사 ⑥치료-bithionol투여
⑦예방-보건교육,가재나 게의 생식금지,가래와 대변의 위생적 처리
5.리케치아성 질환
(1)발진티푸스
①병원체-일종의 리케치아 ②잠복기간-8~14일(평균11일)
③전파경로-환자의 혈액을 빨아먹은 벼룩,이에 의해,이똥이 건조되어 호흡기로 전파
④증상-심한두통,사지통,오한,고열,전신상태 장해
⑤진단-급격한 발병,계류열,피부발진,신경증상
⑥치료- ㄱ.aureomycin,chloromycetin ㄴ.소화가 쉬운 것,수분공급
ㄷ.흥분시-luminal,barbital
(2)발진열
①병원체-리케치아 무제리(rickettsia mooseri) ②잠복기간-8~10일
③전파경로-쥐에 있는 벼룩의 대변이 피부로 침입
④증상-급하게 발열증상이 1~3일로 최고가 되며 1주일 계류,담홍색의 발진(흉복부,사지 多,장미진 과 흡사)
⑤예방-환자 및 가족의 격리,이,벼룩,쥐 구제,DDT
(3)쯔쯔가무시=양충병
①병원체-리케치아 오리엔탈리스 ②전파경로-진드기의 유충→사람피부 부착(야영,등산,낚시) ③기생숙주-쥐 ④잠복기간-6~11일(평균7일)
⑤증상
ㄱ.전구증-유충이 물린 자리에 발적,종창 수포를 만들고 궤양으로 됨.
ㄴ.오한과 발열,열은 2~3일에 40℃로 1~2주간 계류하다 서서히 내려감.
ㄷ.발진(안면,경부,측두부→구간,사지,장미진 모양,출혈 없슴)
⑥치료-chloromycetin,aureomycetin,terramycin ⑦예방법-들쥐박멸,DDT
6.원충성 질환
(1)아메바이질
①병원체-엔트아메바 히스톨리티카(entamoeba histolytica)
②잠복기-수주~수개월 ③전염-환자의 대변에 오염된물(오염된 생채소,파리,식품취급자)
④증상-전신권태,복부팽만감,복통,변통의 불규칙,혈액과 점액이 섞인 설사변,발열,오한,급성기는1~수주간 이며 자연히 치유하기도 하나 수주~수개월 후에 재발하는 일도 있음.간농양
⑤치료-염산 에멘틴,칼바미딘,야트렌, 탄닌용액으로 장을 세척
⑥예방-인분의 위생적 처리
(2)말라리아
①병원체-말라리아 원충 ②전파경로-아노펠레스 모기,수혈,오염된 주사기,태반
③잠복기-10~14일
④증상
ㄱ.전구증-미열,전신권태,식욕부진,신체 각부의 동통이 있으며 전구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ㄴ.발작,오한전율,안면창백,빠른맥박,고열,의식혼탁,빈혈,비장종대
⑤치료-키니네,아테브린,프라스모힌,아테브린과 프라스모힌과의 병용이 좋다.
7.기타질환
(1)공수병
①원인-virus(향신경성 바이러스)-뇌조직 내에서 증식 ②발생동물-개,여우,박쥐,늑대,이리,고양이
③증상-초기의 약 2~4일간은 고단하고 열,두통,목아픔,다리의 동통,신경증세,흥분,불안,불면,빈맥,호흡촉박,물을 무서워함,후궁반장,무욕상태,호흡마비,순환장애
④치료
ㄱ.개에 물린후 묶어놓고 1주~10일간 관찰
ㄴ.물린상처 즉시 소독,상처에 면역혈청 주사(파상풍 예방접종)
ㄷ.상처는 꿰매지 않는다. ㄹ.모든 환자 사망-통증 감소 치료만 해줌
⑤예방
ㄱ.개를 관리,유행지역 다니지 않게 ㄴ.방견은 죽여도 좋다는 조치
ㄷ.개 예방접종,환자의 격리,오염된 물건소독,침으로 전파되므로 조심
ㄹ.환자와 접촉만으로 예방주사 필요없슴.
(2)나병=한센병
①원인-나병균 ②잠복기-평균3~5년
③성별-남자≫여자, 15~30세 ④국내발생지역-경상남북도,전라남북도,충청남북도
⑤종류-나종형,결핵양형,중간군,부정군 ⑥감염경로-상기도 감염,공기전파 및 피부접촉
⑦증상-지각상실,피부에 경계가 불분명한 소반점,,사자얼굴,눈썹과 머리털의 탈모,안장코,결막염 등으로 실명,지각마비,독수리손
⑧치료-DDS를 1~2년간 복용하고 진행된 환자는 6~8년이 걸림,재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생동안 약복용,M.D.T요법(D.D.S,lamprene,리팜피신을 병용하여 치료)
⑨예방-부모가 치료받은지9개월 되지않았음 따로 떼어 양육 오염된접촉침,면도날,개인소독
(3)유행성 출혈열
①원인-virus(한탄 virus) ②호발기-봄,가을
③잠복기-10~40일 ④감염경로-들쥐의 배설물이 건조→호흡기 통해
⑤증상
ㄱ.유열기(발열기)-3~8일간 열 ㄴ.저혈압기-착란,섬망,혼수(쇼크)→1~2일
ㄷ.감뇨기(핍뇨기)-약 3~5일간 무뇨,고혈압,폐수종,뇌부종
ㄹ.이뇨기-1일 3~10ℓ의 소변을 봄(탈수,쇼크) ㅁ.회복기-3~12주 서서히 회복,식욕회복
⑥치료-대증요법
ㄱ.안정 ㄴ.고열시 얼음찜질 ㄷ.쇼크-Trendelenburg 자세
ㄹ.감뇨기-수분제한 ㅁ.이뇨기-수분공급
⑦예방-들쥐 및 진드기의 접촉이 없도록 잔디위에 옷을 말리지 않을 것.환자격리는 필요없슴.
(4)일본뇌염
①원인-virus ②매개물-모기(빨간집모기)
③양상-여름철,초가을,15세 이하,70세 이상 多 ④잠복기-5~15일
⑤발생지역-한국,일본,동남아지역,더운지역과 관련
⑥증상-오한,고열,두통,식욕부진,사지통,불면증,오심과 구토
뇌에 침범시(의식장애,언어장애,연하곤란,호흡마비,상하지마비)
회복되어도 20%정도는 정신장애,사지마비 남김
⑦치료 및 간호
ㄱ.대증요법,환자자신을 위한 격리,절대안정,방은 어둡고 조용하게
ㄴ.기관절개술,인공비강영양,마비시 마사지 ㄷ.욕창예방,구강간호,배변도와줌
⑧예후-사망률 20~30%(사인:호흡장애,순환장애,세균감염)
⑨후유증-지능장애,언어장애,성격이상,운동마비
⑩예방-모기박멸,방충망,보건교육,돼지우리를 주택지에서 멀리
⑪발생후 대책-환자격리 필요없으며 물건소독도 필요없슴.
(5)렙토스피라증
①원인균-렙토스피라균 ②발생-7~11,9~10 多 ③잠복기-7~12일
④전파경로-쥐의 오줌에 오염된 풀,흙,물→점막이나 상처난 피부의 접촉을 통해 농부,하수구청소부,수의사,축산업자 등이 고위험군
⑤증상
ㄱ.초기증상-고열,오한,두통,근육통,걷기 힘들 정도로 힘이 빠지고 객담,황달,폐에서 출혈
ㄴ.논,밭에서 일한후 10일 경과후 감기 비슷한 증상시 흉부 엑스선,소변검사
⑥예방-논,밭에서 일하는 경우 장화,장갑,긴옷 입을 것
(6)비브리오 패혈증
① 원인 - vibrio vulnificus균 ② 잠복기 - 20시간,만성 소모성 질환
③ 발생시기 - 6~9월의 더운 기후에서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발생
④ 감수성 - 만성,간질환등 저항력이 약한 사람→어패류 생식,낚시,어패류 손질시
⑤ 증상 - 창상부위에 부종과 홍반,수포성 괴사
간 질환자:발열,오한,전신쇠약감,구토,설사,수포성궤양,괴사
⑥치료-항생제 투여 ⑦예방-생식 금함,간 질환자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