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RA e-Form 시스템 내 항암화학요법 심사정보 표준서식 신설 관련 안내
심사정보표준화부/2023-06-28
HIRA e-Form 시스템을 통한 「항암화학요법 심사정보 표준서식」
레이아웃 및 기재형식이 아래와 같이 신설(ROM001)되어 시스템
에 반영될 예정이니 관련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신설 내용
○ (신설 서식) 항암화학요법 심사정보 표준서식
○ (관련근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 공고 제 2020-236호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심사관련 자료제출에 대한 세부사항」 (2020.9.1.)
□ 시스템 적용 일정
○ (검증서버 적용) ’23.7.17.(월) 이후
○ (운영서버 적용) ’23.10.2.(월) 예정
□ 세부 일정 안내
○ (유예기간) 시스템 구축 소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10.2.(월)부터 서식 운영
(접수) 시작
- 7.17.(월) 이후 검증 서버 오픈 예정으로, 이후부터 검증 테스트 가능
○ (의견수렴) 보건의료단체(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대한간호사협회,
대한의학회)를 통해 의견 수렴 예정
- 수렴 기간 : ’23.6.28.(수)~7.28.(금) 약 1달 간
- 개발 및 세부 항목 관련 의견은 협회를 통해 제출 바람
○ (찾아가는 홍보)
- 7월 2주차까지 심사평가원 내 담당자에게 유선 연락 시, 방문 일정 조율 가능
※ 내부 사정으로 방문이 어려울 경우, 유선 안내로 대체
※ (제출경로) 심사평가정보 제출 시스템
※ 서식 관련 세부사항 문의: 심사정보표준화부(☎ 033-739-0806, 0809, 0823)
e-Form EMR 연계 개발(Agent) 문의: 심사정보표준화부(☎ 033-739-0807, 0812, 0829)
e-Form WEB 제출 방법 문의: 심사정보표준화부 (☎ 033-739-0815~6)
☐항암화학요법 심사정보 표준서식
문서공통정보 | ||||||||||||||||||||||
환자 등록번호 | 환자 성명 | |||||||||||||||||||||
환자 생년월일 | 환자 성별 | |||||||||||||||||||||
A. 기본 정보 | ||||||||||||||||||||||
1.입원 또는 외래 방문 일시 |
4.신장 | |||||||||||||||||||||
5.체중 | ||||||||||||||||||||||
2.작성자 성명 | 6.체표면적(BSA) | m2 | ||||||||||||||||||||
3.작성일시 | 7.ECOG PS | |||||||||||||||||||||
B. 수술기록 | ||||||||||||||||||||||
시행일시 | 시술·처치 및 수술명 | ICD-9-CM vol.3 | 수가코드 | |||||||||||||||||||
C. 검사결과 | ||||||||||||||||||||||
1.영상검사 결과 |
1)검사여부 | ○(1)Yes ( ) ○(2)No | ||||||||||||||||||||
2)검사목적 | ○(1)최초진단검사 ○(2)반응평가( ) ○(9)기타( ) | |||||||||||||||||||||
3)수가코드 | 4)검사명 | |||||||||||||||||||||
5)판독결과 | ||||||||||||||||||||||
2.병리검사 결과 |
1)검체일반 | |||||||||||||||||||||
·검사여부 | ○(1)Yes ( ) ○(2)No | |||||||||||||||||||||
·검체 채취 목적 | ○(1)수술 전 최초진단 목적 ○(2)수술 후 조직병리 검사 ○(9)기타( ) |
|||||||||||||||||||||
·수가코드 | ·검사명 | |||||||||||||||||||||
·판독결과 | ||||||||||||||||||||||
2)신생물 상세 | ||||||||||||||||||||||
·암병기 | T | N | M | |||||||||||||||||||
·조직학적 진단명 | ·조직학적 진단코드 | |||||||||||||||||||||
·분화도 | 정도 | ○(1)Well differentiated(1단계) | ||||||||||||||||||||
○(2)Moderately differentiated(2단계) | ||||||||||||||||||||||
○(3)Poorly differentiated(3단계) | ||||||||||||||||||||||
○(4)Undifferentiated(4단계) | ||||||||||||||||||||||
○(5)등급평가불가능 | ||||||||||||||||||||||
위치 | 크기 | (단위: ○cm ○mm) | ||||||||||||||||||||
·침윤깊이 | ||||||||||||||||||||||
·침범여부 | ·혈관 ○(1)Not identified ○(2)PRESENT ○(3)Indeterminate ·신경 ○(1)Not identified ○(2)PRESENT ○(3)Indeterminate ·림프관 ○(1)Not identified ○(2)PRESENT ○(3)Indeterminate |
|||||||||||||||||||||
·절제면 암세포존재여부 | ○(1)Yes ○(2)No | |||||||||||||||||||||
·림프절 전이여부 | ○(1)Yes(절제된 림프절 개수: /전이된 림프절 개수: ) ○(2)No |
|||||||||||||||||||||
3.진단검사 결과 |
1)검사여부 | ○(1)Yes ( ) ○(2)No | ||||||||||||||||||||
2)검사목적 | ○(1)최초진단검사 ○(2)반응평가( ) ○(9)기타( ) | |||||||||||||||||||||
3)검사결과 | ·검사 수가코드 | |||||||||||||||||||||
·검사명 | ||||||||||||||||||||||
·판독 결과 | Grid형 검사결과 | |||||||||||||||||||||
Text형 검사결과 | ||||||||||||||||||||||
4.Child pugh score |
1)검사일시 | |||||||||||||||||||||
2)검사결과 | ○(1)Child class A( ) ○(2)Child class B( ) ○(3)Child class C( ) | |||||||||||||||||||||
5.골수검사 결과 |
1)검사일시 | 2)Blast 수치 | % | |||||||||||||||||||
3)검사결과 | ||||||||||||||||||||||
6.추가 검사 | 1)검사일시 | 2)검사명 | ||||||||||||||||||||
3)검사결과 | ||||||||||||||||||||||
7.비고 | ||||||||||||||||||||||
8.첨부 | ||||||||||||||||||||||
D. 현 항암화학요법 | ||||||||||||||||||||||
1.시행여부 | ○(1)Yes (관련 암종: / 기타: ) | ○(2)No | ||||||||||||||||||||
·상세 정보 | ○(1)최초투여 ○(2)지속투여 ○(3)약제변경 | |||||||||||||||||||||
2.종양종류 | ○(1)원발성 ○(2)전이성 ○(9)기타( ) | |||||||||||||||||||||
3.투여요법 | ○(01)선행화학요법(Neoadjuvant) | |||||||||||||||||||||
○(02)수술후 보조요법(Adjuvant) | ·8주이내 투여여부 ○(1)Yes( ) ○(2)No |
|||||||||||||||||||||
○(03)고식적요법(Palliative) | ||||||||||||||||||||||
○(04)항암화학방사선요법(CCRT) | ||||||||||||||||||||||
○(99)기타( ) | ||||||||||||||||||||||
4.약제 | ·감량 용량 | ·기타 | ||||||||||||||||||||
5.투여주기 | ·투여주기 및 간격 | |||||||||||||||||||||
·투여 시작 일자 | ||||||||||||||||||||||
·투여 종료 일자 | ||||||||||||||||||||||
E. 이전 항암화학요법 | ||||||||||||||||||||||
1.항암/방사선 요법 시행 여부 |
○(1)항암화학요법 ○(2)방사선요법( / ) ○(3)확인불가 | |||||||||||||||||||||
·시작일자 | ·종료일자 | |||||||||||||||||||||
2.이전 항암 치료 상세 |
1)관련 암종 | ·기타 암종 | ||||||||||||||||||||
2)암병기 | ||||||||||||||||||||||
3)투여요법 | ○(01)선행화학요법(Neoadjuvant) | |||||||||||||||||||||
○(02)수술 후 보조요법(Adjuvant) | ||||||||||||||||||||||
○(03)고식적요법(Palliative) | ||||||||||||||||||||||
○(04)항암화학방사선요법(CCRT) | ||||||||||||||||||||||
○(99)기타( ) | ||||||||||||||||||||||
4)항암화학요법 약제 | ||||||||||||||||||||||
F. 추가정보 | ||||||||||||||||||||||
순서 | 항목코드 | 항목명 | 내용 | 라벨명 | ||||||||||||||||||
1 | ||||||||||||||||||||||
2 |
항암화학요법 심사정보 표준서식 관련 질의·응답
∘ 서식 담당부서: 정보운영실 심사정보표준화부 ∘ 연락처: 033-739-0805, 0806, 0823 |
Q1 항암화학요법 표준서식은 언제 제출하여야 하나요?
○ 항암화학요법에 관련된 자료 제출이 필요한 경우
Q2 항암 환자의 경우 반드시 이 서식을 제출해야 하나요?
○ HIRA e-Form 시스템은 진료비 심사‧평가 등에 필요한 필수 진료
○ 공개된 항암화학요법 심사정보 표준서식은 법규정에 의해 제출이
○ 따라서 요양기관에서는 기존 방식 (명세서 특정내역, 청구 포털,
2. 세부 항목
A. 기본정보
Q1 체표면적, ECOG PS는 반드시 제출하여야 하나요?
○ 아닙니다. 체표면적과 ECOG PS는 ‘선택(C)’값으로 관련 자료가 있을 시
○ 표준서식 내 항목 중 ‘필수(E)’항목은 모두 작성하여야 하며, ‘선택(C)·해당
B. 수술기록
Q2 타 병원 수술 기록도 제출하여야 하나요?
○ 현 항암치료 심사에 필요한 타 병원 수술 기록인 경우, 서식 항목 중
C. 검사결과
Q3 검사결과 값은 모두 제출해야 하나요?
○ 아닙니다. 해당 암종별 심사에 필요한 검사만 제출하여 주시면 충분
※ 암종별 제출이 필요한 자료는 심평원장 공고(제2023-156호, 2023.5.31.)
Q4 작성요령에는 영상검사, 병리검사, 진단검사 시행일시를 제출
○ 항암화학요법 심사정보 표준서식 작성요령에 따라 검사 실시여부와
Q5 수술·검사 수가코드, 검사명 모두 제출해야 하나요?
○ 수가 코드, 검사명 모두 제출하여야 하며 수가코드가 매핑되지 않는
○ 준용하여 산정한 수가인 경우, 실제 시행한 수술명을 ‘시술·처치 및
Q6 암종별 암병기는 어떤 내용을 제출하나요?
○ 고형암은 stage분류, 혈액암은 필요시 WHO 분류를 제출하시면
- (예시) 난소암‘FIGO(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Q7 조직학적 진단명이 여러 개인 경우 어떻게 제출하나요?
○ 요양기관에서 부여한 조직학적 진단명을 모두 작성하고, 유형
- (예시) Hepatocellular carcinoma / Cholangiocarcinoma
Q8 Text형 검사결과와 Grid형 검사결과는 어떻게 구분하여
○ Text형 검사결과에는 각 병원에서 판독 소견서 또는 보고서
- (예시) 배양검사, 골수검사, 분자·세포유전자검사
○ Grid형 검사결과에는 짧은 값의 검사 결과를 제출하면 됩니다.
- (예시) 수치화된 검사결과(Hb 12.1)숫자형은 아니지만
Q9 Child pugh score의 제출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 항암화학요법 투여 전 가장 최근에 시행한 관련 검사결과 및 환자
- Child pugh class 기준 A : 5~6점 / B : 7~9점 / C : 10~15점
※ <참고> Child pugh class결정 항목 및 기준
구분 | 점수 | ||
1 | 2 | 3 | |
혈청 빌리루빈(mg/dL) | <2 | 2-3 | >3 |
혈청 알부민(g/dL) | >3.5 | 2.8-3.5 | <2.8 |
프로트롬빈 시간 or INR |
<4 <1.7 |
4-6 1.7-2.3 |
>6 >2.3 |
복수 | 없음 | Mild ~ moderate | Severe |
간성 뇌증 | 없음 | Mild ~ moderate | Severe |
Q10 항암화학요법 약제 용량이 변경된 경우 어떻게 제출하나요?
○ ‘D. 현 항암화학요법’항목 중 ‘4. 약제’항목에 투여 약제명 (혹은
○ ‘감량 용량’에 약제명과 조절 용량 및 단위까지 제출하고
·예시1 : 80% 감량 투여
·예시2 : Cisplantin 60mg/㎡ -> 20mg/㎡
○ ‘기타’ 항목에는 변경 사유를 평문으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Q11 허가 초과 인정요법은 항암화학요법명을 어떻게 제출하나요?
○ 요양기관에서 사전에 신청하여 인정받은 허과초과 인정요법*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고 제 2018-160호, 2018.6.28.>
Q12 투여용량 변동이 없는 경우 어떻게 하나요?
○ 투여용량 변동이 없는 경우, ‘감량 용량’ 항목은 미제출하시면 됩니다.
Q13 항암화학요법 심사정보 표준서식 항목 외 추가로 제출하고 싶은
○ ‘C. 검사결과’ 항목 중 ‘7. 비고’ 또는 ‘8. 첨부’를 통해 제출 가능합니다.
E. 이전 항암화학요법
Q14 이전 항암화학요법과 현 항암화학요법 구분에 대해 궁금
○ 이전 항암화학요법은 현재 투여치료 중인 요법 이전에 항암제
A 〉B 〉C
..........................이전 항암화학요법(A,B)[요법변경]→현 항암화학요법(C)
Q15 이전 항암화학요법은 어느 시점 이력부터 제출해야 하나요?
○ 과거 항암치료 이력 정보는 동일기관 내 동일 환자에 대해 우리원
으로항암화학요법 관련 자료를 제출하지 않으신 경우 제출하시면
됩니다.기존 다른 방법(명세서 특정내역, 서면자료 등)으로 자료를
제출하신 경우에도, 항암화학요법 심사정보 표준서식을 처음 제출
시 초회에 한하여 해당 환자 이력을 함께 제출해 주시면, 해당 정보
는 우리원 내에서 체계적으로 저장․관리되므로 향후 심평원 내 타
업무에 참여하실 때 동일 자료를 중복제출하실 필요가 없게 됩니다.
○ 이전 항암화학요법을 표준서식을 통해 제출하실 경우, 현 항암
화학요법 변경 전 환자의 과거 항암화학요법 이력(현재 유지중인
요법은 현 항암화학요법에 제출)을 전부 제출하시면 됩니다.타 암종
관련 또는 타 기관에서 시행한 항암화학요법일지라도 요양기관에서
확인 가능한 과거력은 전부 제출을 권장드립니다.
Q16 이전 항암화학요법 이후 휴약기간이 있었습니다.관련 사실을
자료로써 소명할 수 있나요?
○ ‘C. 검사결과’ 항목 내 ‘7. 비고’ 항목 내 요법 중단 사유를 평문
으로 제출 가능합니다.
Q17 항암화학요법 약제명은 어떻게 제출하나요?
○ 기관 내에서 실제 활용하고 있는 약품명(상품명)이 아닌,「암환자
에게 처방 투약하는 약제에 대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공고 내 I. 주요 암종별 항암요법에 명시된 요법
명(약제명)으로 제출하여 주시면 됩니다.
- (예시) 유방암에 ‘테바레트로졸정2.5mg’ 투여 시 공고에 명시된
내용 (유방암 > 2. 수술 후 보조요법 > 2. letrozole) 따라, ‘letrozole’
로 약제명 매칭하여 제출
Q18 항목별 제출 사유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항목 | 심사 참고 | |
A. 기본정보 | 신장, 체중, 체표면적 |
항암제 용량 결정 |
ECOG PS | 항암제 투여대상 급여 기준 항목 |
|
B. 수술기록 | 시행일시 | 수술 전·후 검사 또는 항암치료 여부 판단 |
시술·처치 및 수술명 |
항암요법 투여 단계, 용법 결정 | |
C. 검사결과 | 검사일시 | 반응평가 시기 확인 |
검사목적 | 검사 인정여부 | |
반응평가 결과 병리검사 |
진단, 항암제 투여 요법·용량·주기 결정 및 치료방향, 전이 또는 재발 여부 등 확인 |
|
진단검사 | ||
Child pugh score |
간암 관련 항목으로 항암요법 및 급여대상 확인 |
|
골수검사 | 혈액암 관련 항목으로 항암요법 및 급여대상 확인 |
|
D. 현 항암 화학요법 |
수술 후 8주이내 투여여부 |
약제, 용량, 요법 및 투약 시점 확인 |
용량 | 감량 여부 및 용량 변경, 사유 확인 | |
E. 이전 항암 화학요법 |
이력, 이전 투여요법 |
현 항암요법 및 단계 결정, 투여 시기와 간격, 주기 확인 |
Q1 심사 보완자료를 제출 하려고 합니다. 기존 1차 심사 때, HIRA
○ 네. 그렇습니다. HIRA e-Form System으로 제출된 자료는 1차
Q2 이미 제출한 표준서식 내용을 일부 수정하거나 제출한 표준
○ 제출한 표준서식의 상태(연계상태)에 따라 상이합니다. ‘연계전’
Q3 여러 번 시행한 항목을 제출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 항목 내 ‘추가’탭 클릭 후 줄 추가하여 제출이 가능합니다.
○ 줄 추가 가능한 항목: 수술기록, 검사결과(영상검사결과, 병리
- (예시) 22.01.05. BRAIN CT, 22.01.25. BRIAN MRI 결과값
4. 서식작성 요령 관련(공통)
Q1 문서공통정보는 무엇인가요?
○ 문서공통정보는 모든 표준서식에서 공통으로 제출되어야 하는
Q2 문서공통정보 탭에 환자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하게 되어 있는데,
○ 모든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송신되며, 환자 주민등록번호는 별도
Q3 내과 세부 전문과목 항목은 어떻게 기재 하나요?
○ ‘요양급여비용 청구방법, 심사청구서·명세서서식 및 작성요령
'심사평가원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3차수 구입약가 확정단가 안내 /의약품정보조사부/2023.7.10 (0) | 2023.07.11 |
---|---|
2023년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및 자료제출 관련 안내 (0) | 2023.07.03 |
천식·만성폐쇄성폐질환’ 효과 좋은 치료제 처방률 여전히 낮아평가실 평가2부2023-05-25 (0) | 2023.05.26 |
2023년 지출보고서 실태조사 관련 주요 안내사항/유통질서관리부2023-05-12 (0) | 2023.05.15 |
Burosumab 주사제(품명:크리스비타주사액) 사전승인 등에 관한 세부사항」 제정·공고 안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고 제2023-130호)/사전심사부2023-05-03 (2)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