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semnogene abeparvovec 주사제(품명: 졸겐스마주) 사전승인 관련 신청서 작성방법 안내
/ 사전심사부/2022-08-09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고 제2022-189호(2022.7.27.) "Onasemnogene abeparvovec 주사제
(품명: 졸겐스마주)사전승인 등에 관한 세부사항" 관련입니다.
2. 졸겐스마주 사전승인 신청서 작성방법을 안내드리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사전승인 신청 관련: ☎ 033-739-3737(사전심사부)
- 모니터링 보고서 제출 관련: ☎ 033-739-1363/1372(신약성과관리부)
Onasemnogene abepavovec 주사제 (품명: 졸겐스마주) 사전승인 신청서 작성방법 |
[1]승인대상
승인대상 | □ 생후 9개월 미만 투여 | □ 생후 9개월 이상 12개월 이하 투여주1 |
○ 환아에게 투약하는 일자를 기준으로「생후 9개월 미만 투여」 또는 「생후 9개월 이상 12개월 이하 투여」
로 체크하여야 하며, 심의 및 통보에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작성
예) ’22.8.11. 신청하는 경우 ’22.8.24. 심의, 심의일로부터 10일 이내 결과 통보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신청
○ 교체투여 관련 경과규정(보건복지부 고시 제2022-181호, 2022.8.1.시행)에 따라 교체투여 사전승인 신청
을 하고자하는 경우, 승인대상란을 삭제 후 ‘스핀라자주를 투여하고 있는 환자의 졸겐스마주 교체투여
승인 신청’으로 기재
<고시 제2022-181호 Onasemnogene abeparvovec 주사제(졸겐스마주) 관련 질의응답(2022.8.4.)> 1. 스핀라자주에서 교체투여 시 졸겐스마주와의 투여 간격 ○ 스핀라자주에서 졸겐스마주로 교체투여 시 간 수치 상승 등 추가적인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적어도 4주(이상적으로는 4개월)의 투여 간격을 가지는 것이 권장됨. 2. 졸겐스마주 투여 후 다른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로의 교체투여 인정 여부 ○ 졸겐스마주 투여 후 타 치료제 투여의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입증되지 않았으므로, 졸겐스마주 요양급여 적용 여부와 상관없이 졸겐스마 투여(무상공급 포함) 후 타 치료제로의 교체투여는 급여 적용을 인정하지 아니함. |
[2]성명/성별/월령
1) 성명 | 2) 성별 | 3) 월령 | 개월 |
1) 성명: 환아의 성명을 정자(正字)로 기입
2) 성별: 환아의 성별을 남/여 구분하여 기입
3) 월령: 신청일 기준, 환아의 월령을 계산하여 숫자만 기입
예) 생후 0개월: 출산일 + 생후 1개월이 되는 날의 전날까지
’22.7.10. 출생 시 ’23.8.9.까지 생후 0개월이며, ’23.8.10.에 신청하는 경우 생후 1개월이므로 ‘1’로 기입
<고시 제2022-181호 Onasemnogene abeparvovec 주사제(졸겐스마주) 관련 질의응답(2022.8.4.)> 3. 급여기준, 경과규정의 연령 판단 ○ 생후 나이(월령) 조건은 달력 기준으로 판단함. 1) 생후 9개월 미만: 출산일 + 9개월 되는 날의 전날까지 예) 22.1.5. 출생 시 22.10.4.일까지 생후 9개월 미만으로 판단함. 2) ‘생후 12개월까지’(급여기준 대상 연령)/‘생후 12개월 이전에’(한시적 교체투여 대상): 출산일 + 13개월 되는 날의 전날까지 예) 22.1.5. 출생 시 23.2.4.일까지 생후 12개월까지(이전)로 판단함. 3) ‘생후 24개월 이하’(한시적 교체투여 대상): 출산일 + 25개월 되는 날의 전날까지 예) 22.1.5. 출생 시 24.2.4.일까지 생후 24개월 이하로 판단함. |
[3]체중/주민등록번호
4) 체중 | 측정일 | 5) 주민등록번호 | ||
체중(Kg) |
4) 체중
- 측정일: 체중 측정일을 연월일 순으로 YYYYMMDD 형식으로 숫자만 기입
- 체중: kg 단위로 체중을 숫자만 기입
5) 주민등록번호: 환아의 주민등록번호를 숫자만 기입
예) 2207121234567(O), 220712-1234567(X)
[4]진단유형/보험구분
6) 진단유형 | □ 1형 | □ 증상발현 전 | 7) 보험구분 | □ 건강보험 | □ 의료급여 |
6) 진단유형
- SMA 1형의 임상적인 진단이 있는 경우「1형」에 표기
- 증상발현 전인 경우 「증상발현 전」에 표기
[5]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 투약여부
8)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 투약여부 (타병원 투약포함) |
□ 있음 | □ 없음 | ||||
① 약제명 | ② 투약진행여부 | ③ 투약시작일 | ④ 최종투약일 | ⑤ 비고 | ||
□ 진행 중 □ 종료 |
8) 환아가 타병원 포함하여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를 투약한 이력이 있는 경우 「있음」에 표기 후
아래의 표 작성, 이력이 없는 경우 「없음」에 표기 후 아래의 표 미작성(공란)
- 아래 표에 투약이력 작성 시 2종류 이상의 약제를 투약한 경우, 각각의 행으로 나누어 기입
예)
① 약제명 | ② 투약진행여부 | ③ 투약시작일 | ④ 최종투약일 | ⑤ 비고 |
AAA | □ 진행 중 ■ 종료 | 20200302 | 20220402 | 부작용(신독성)으로 중단 |
BBB | □ 진행 중 ■ 종료 | 20200501 | 20220603 | 사전승인 모니터링 불승인 |
CCC | ■ 진행 중 □ 종료 | 20200701 | 20220801 | 임상연구 무상공급 투약 중 *20221201 투약 예정 |
DDD | ■ 진행 중 □ 종료 | 20200701 | 20220801 | 20221201 투약 예정 |
① 약제명: 약제의 품명을 정확히 기입
② 투약진행여부: 투약이 진행 중인 경우 「진행 중」, ‘불승인’ 등으로 투약이 예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투약이 종결된 경우「종료」에 표기
③④: 연월일 순으로 YYYYMMDD형식으로 숫자만 기입
⑤ 비고: 다음 차수 투약 예정일, 투약 종료 사유, 임상시험/연구 등에서 약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투약한 경우 등 비고 사항을 기입
[6]유전자 검사
9) 유전자 검사 | ① 검사일자 | ② SMN2 복제수 | ||
③ 검사결과 |
① 검사일자: 연월일 순으로 YYYYMMDD형식으로 숫자만 기입
② SMN2 복제수: 유전자 검사 결과에 관련 분야 전문의가 판정한 SMN2 유전자의 복제수(copy)를 숫자만 기입
③ 검사결과: 유전자 검사 결과에 관련 분야 전문의가 판정한 검사결과를 text로 기입
예) SMN1 deletion, SMN1 exon 7의 homozygous deletion 등
[7]척수성 근위축증 관련 임상 증상
10) 척수성 근위축증 관련 임상 증상 |
① 최초 발현 일자 | ② 생후 개월 수 | 개월 | ||
③ 최초 발현 증상 | |||||
④ 경과 및 현재 상태 |
10) 상기 6) 진단유형에서 ‘1형’인 경우에만 기재, ‘증상발현 전’인 경우 미기재(공란)
① 최초 발현 일자: 척수성 근위축증 관련 임상 증상이 최초로 발현된 일자를 연월일 순으로 YYYYMMDD
형식으로 숫자만 기입, 연월만 확인되는 경우 YYYYMM00으로 기입
② 생후 개월 수: 척수성 근위축증 관련 임상 증상이 최초로 발현된 일자 기준으로 환아의 생후 개월 수를
숫자만 기입
※ 성명/성별/월령의 월령 계산법 참조(1p)
[8]호흡기능
11) 호흡기능 | ① 영구적 인공호흡기주2 | □ 유 □ 무 | ② 기관절개술 | □ 유 □ 무 | |
③ 호흡보조장치 | □ 유 □ 무 | ||||
종류, 방법, 간격, 기간 등 |
|
① 영구적 인공호흡기: 비침습적 인공호흡기를 포함하여 하루 16시간 이상, 연속 14일 이상 인공호흡기
를 사용한 경우「유」에 표기
③ 호흡보조장치: 하루 총 사용시간과 사용기간을 자세하게 기재
<고시 제2022-181호 Onasemnogene abeparvovec 주사제(졸겐스마주) 관련 질의응답(2022.8.4.)> 4. ‘영구적 호흡기 사용’의 판단 방법 ○ 비침습적 인공호흡기를 포함하여 하루 16시간 이상, 연속 14일 이상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경우를 ‘영구적 호흡기 사용’ 상태로 판단함. |
[9]항-AAV9 항체 역가 검사
12) 항-AAV9 항체 역가 검사 |
① 검사일자 | ||
② 검사결과 | □ negative | □ positive |
① 검사일자: 항-AAV9 항체 역가 검사일자를 연월일 순으로 YYYYMMDD형식으로 숫자만 기입
② 검사결과: 검사결과지 Test Result란의 ‘Inferred Clinical Significance’값에 따라 negative 또는 positive로 표기
<고시 제2022-181호 Onasemnogene abeparvovec 주사제(졸겐스마주) 관련 질의응답(2022.8.4.)> 5. 항-AAV9 항체 역가 1:50 초과의 해석 방법 ○ 항-AAV9 항체 역가 검사 결과가 1:100으로의 방향(1:100, 1:200, 1:400인 경우)을 의미함. |
[10]CHOP-INTEND
13) CHOP-INTEND주3 | ① 시행일자 | ② 총점 |
① 시행일자: 검사 시행일을 연월일 순으로 YYYYMMDD형식으로 숫자만 기입
② 총점: CHOP-INTEND 검사에서 환아가 획득한 점수의 총점을 64점 만점 기준으로 숫자만 기입
[11]급성 또는 만성의 조절되지 않는 활성감염 여부
14) 급성 또는 만성의 조절되지 않는 활성감염 여부 | □ 있음 | □ 없음 |
14) 급성 또는 만성의 조절되지 않는 활성감염에 대해 담당의사의 의학적 판단에 따라 표기
[12]검사결과
15) 검사결과 | ※ 신청서 제출일 기준 최근 3회 검사결과를 오래된 일자부터 좌측부터 기재 (신청서 제출일 기준 2주 이내 검사결과를 반드시 포함) |
○ 일자별 검사결과
- 신청서 제출일 기준 최근 3회 검사결과를 오래된 일자부터 좌측부터 기입하되, 신청서 제출일
기준 2주 이내 검사결과를 반드시 포함
- 검사일자는 연월일 순으로 YYYYMMDD형식으로 숫자만 기입
- 검사를 1회 또는 2회만 시행한 경우, 1회 또는 2회의 결과만 기입
○ 참고치
- lower limit: 각 검사실에서 제공하는 참고치의 가장 낮은 수치
- upper limit: 각 검사실에서 제공하는 참고치의 가장 높은 수치
- 단위: 참고치에 함께 기재된 단위를 정확히 기입
[13]기타 질환 또는 문제점
16) 기타 질환 또는 문제점 |
○ 환아가 가지고 있는 기타 질환 또는 문제점
- 있는 경우 자세히 기입, 없는 경우 ‘무’로 기입
[14]필수 첨부자료
필수 첨부자료 | 진료기록 및 검사결과지 일체 - 활력징후 기록지, 혈액검사, 유전자 검사, 항 AAV9 항체 역가 검사, 운동기능평가 포함 - 발열이 있는 경우 흉부엑스레이 판독 결과지 제출 - 호흡기 증상 또는 질환이 있거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경우 호흡기 전문의 소견서 및 흉부엑스레이 판독 결과지 제출 운동기능평가 관련 비디오 기록 1형인 경우, 최초발현증상 및 시기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진료기록 등 이행동의서 |
① 진료기록 및 검사결과지 일체 제출
☞ 활력징후 기록지, 혈액검사, 유전자 검사, 항 AAV9 항체 역가 검사, 운동기능평가지를
반드시 포함하여 진료기록 및 검사결과지 일체 제출
☞ 발열이 있는 경우 흉부엑스레이 판독 결과지를 반드시 제출해야하며, 배양검사나
호흡기바이러스 검사결과 등이 있다면 함께 제출
☞ 호흡기 증상 또는 질환이 있거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경우 호흡기 전문의 소견서 및
흉부엑스레이 판독 결과지를 반드시 제출하여야 하며, 추가 서류나 검사결과 등이 있다면 함께 제출
② 운동기능평가 관련 비디오 기록
☞ 비디오 기록 제작 요령
· 요양기관명, 환자 및 의료인 얼굴이 식별되지 않도록 하되, 목 가누기 등이 확인될 수 있도록
환자의 눈, 코, 입만 불투명 처리
· 운동기능평가검사의 각 항목과 항목별 획득 점수가 정확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촬영하거나,
편집(자막) 등을 활용하여 제출
<고시 제2022-181호 Onasemnogene abeparvovec 주사제(졸겐스마주) 관련 질의응답(2022.8.4.)> 6. 졸겐스마주 투여를 위한 동의서 관련 사항 ○ 『졸겐스마주 투여를 위한 장기 추적조사 이행 동의서』 제출은 졸겐스마주 보험 적용을 위한 의무사항으로 사전승인 신청 시 의무적으로 제출되어야 함. - 「Onasemnogene abeparvovec 주사제(품명: 졸겐스마주) 사전승인 등에 관한 세부사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고 제2022-189호, 2022.7.27.) 별지 제2호 서식 ○ 아울러, 요양기관에서 졸겐스마주 약제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하여 환자(보호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동 약제 투여 전 환자 및 보호자의 동의서를 받을 것을 권장함. |
[15] 기타 사항
○ 주치의: 서명(날인) 필수
<별첨> Onasemnogene abeparvovec 주사제(품명: 졸겐스마주) 사전승인 등에 관한 세부사항
[별지 제1호 서식]
○ 졸겐스마주(성분명: Onasemnogene abeparvovec) 요양급여 신청서
승인대상 | □ 생후 9개월 미만 투여 | □ 생후 9개월 이상 12개월 이하 투여주1 | ||||||||||||||||||||
1) 성명 | 2) 성별 | 3) 월령 | 개월 | |||||||||||||||||||
4) 체중 | 측정일 | 5) 주민등록번호 | ||||||||||||||||||||
체중(Kg) | ||||||||||||||||||||||
6) 진단유형 | □ 1형 | □ 증상발현 전 | 7) 보험구분 | □ 건강보험 | □ 의료급여 | |||||||||||||||||
8)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 투약여부 (타병원 투약포함) |
□ 있음 | □ 없음 | ||||||||||||||||||||
① 약제명 | ② 투약진행여부 | ③ 투약시작일 | ④ 최종투약일 | ⑤ 비고 | ||||||||||||||||||
□ 진행 중 □ 종료 | ||||||||||||||||||||||
9) 유전자 검사 | ① 검사일자 | ② SMN2 복제수 | ||||||||||||||||||||
③ 검사결과 | ||||||||||||||||||||||
10) 척수성 근위축증 관련 임상 증상 |
① 최초 발현 일자 | ② 생후 개월 수 | 개월 | |||||||||||||||||||
③ 최초 발현 증상 | ||||||||||||||||||||||
④ 경과 및 현재 상태 | ||||||||||||||||||||||
11) 호흡기능 | ① 영구적 인공호흡기주2 | □ 유 □ 무 | ② 기관절개술 | □ 유 □ 무 | ||||||||||||||||||
③ 호흡보조장치 | □ 유 □ 무 | |||||||||||||||||||||
종류, 방법, 간격, 기간 등 |
|
|||||||||||||||||||||
12) 항-AAV9 항체 역가 검사 |
① 검사일자 | |||||||||||||||||||||
② 검사결과 | □ negative | □ positive | ||||||||||||||||||||
13) CHOP-INTEND주3 | ① 시행일자 | ② 총점 | ||||||||||||||||||||
14) 급성 또는 만성의 조절되지 않는 활성감염 여부 | □ 있음 | □ 없음 | ||||||||||||||||||||
15) 검사결과 | ※ 신청서 제출일 기준 최근 3회 검사결과를 오래된 일자부터 좌측부터 기재 (신청서 제출일 기준 2주 이내 검사결과를 반드시 포함) |
|||||||||||||||||||||
[표] | ||||||||||||||||||||||
16) 기타 질환 또는 문제점 |
||||||||||||||||||||||
필수 첨부자료 | 진료기록 및 검사결과지 일체 - 활력징후 기록지, 혈액검사, 유전자 검사, 항 AAV9 항체 역가 검사, 운동기능평가 포함 - 발열이 있는 경우 흉부엑스레이 판독 결과지 제출 - 호흡기 증상 또는 질환이 있거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경우 호흡기 전문의 소견서 및 흉부엑스레이 판독 결과지 제출 운동기능평가 관련 비디오 기록 1형인 경우, 최초발현증상 및 시기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진료기록 등 이행동의서 |
|||||||||||||||||||||
신청일 | 년 월 일 | |||||||||||||||||||||
요양기관명 | 이메일(결과통보 회신용) | |||||||||||||||||||||
주치의주4 | 진료과목 | 전문의 면허번호 | ||||||||||||||||||||
세부전공 | 세부전문의 면허번호 | |||||||||||||||||||||
주치의 성명 | 서명(날인) | 담당자 성명 | ||||||||||||||||||||
연락처1(주치의) | 연락처2(담당자) |
주1. 투약예정일을 고려하여 신청
주2. 급성, 가역적 질병상태를 제외하고 인공호흡기를 하루 16시간 이상, 연속 14일 이상 사용 시
주3. 운동기능은 CHOP-INTEND(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Infant Test of Neuromuscular
Disorder)를 사용하여 총점으로 평가하여 제출
주4.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 경험이 있는 관련분야 전문의
항목 | 일자별 검사결과 | 참고치 | |||||
lower limit | upper limit | 단위 | |||||
CBC | Hb | ||||||
WBC | |||||||
platelet | |||||||
neutrophil | |||||||
SGOT(AST) | |||||||
SGPT(ALT) | |||||||
Total bilirubin | |||||||
PT | |||||||
Troponin I | |||||||
CRP | |||||||
ESR | |||||||
procalcitonin | |||||||
creatinine | |||||||
viral marker |
HIV | ||||||
B형간염 | |||||||
C형간염 |
'심사평가원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비급여 진료비용 등 공개 자료 제출 안내/비급여정보부/2022-09-07 (0) | 2022.09.08 |
---|---|
국민의 합리적 의료선택을 위한 ‘비급여 진료비 정보 조사’ 실시22.9.5 (0) | 2022.09.06 |
[의료장비] 이학요법 행위 관련 장비 정비 안내/자원평가실 자원운영부/2022-07-26 (0) | 2022.07.26 |
치료재료 구입목록 접수시스템 사용자매뉴얼(요양기관용) 안내/ 등재관리부/2022-07-20 (0) | 2022.07.21 |
2022년도 차등제 업무 편람은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 > 정보마당> 일반자료실2022.7.6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