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82 반월판 연골절제술의 급여기준 관련 질의 응답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244호 관련 (’21.10.1.시행)
질 의 | 답 변 |
1. 영상검사 또는 관절내시경검사 에서 뚜렷한 파열이 확인되는 경우란? |
〇 MRI에 준하는 검사결과* Grade Ⅲ 이상으로 반월연골판 조직내의 증가된 신호강도가 관절면 상하부까지 연결되어 나타나는 경우이거 나, 관절경 검사결과 관절면으로 연장된 파열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를 의미함. * MRI에 준하는 검사결과에 단순방사선검사 제외 ※ MRI Grade - (grade Ⅰ) 반월연골판 조직(substance)내에 국한되어 원형으로 신호가 증가되어 보이는 경우 - (grade Ⅱ) 반월연골판 조직내에서 수평선상(horizontal line)으로 높은 신호강도가 나타나며, 이는 관절면까지 연결되지 는 않은 경우 - (grade Ⅲ) 반월연골판 조직내의 증가된 신호강도가 관절면 상·하부 (superior or inferior articular surface)까지 연결되어 나타나는 경우 |
2. 켈그렌-로렌스 분류법(Kellgren Lawrence) grade Ⅳ의 세부 적용기준은? |
〇 켈그렌-로렌스 분류법(Kellgren Lawrence) grade Ⅳ는 중요소견 으로 관절간격 감소(joint space narrowing)가 75% 이상 이면서 골극(osteophyte), 경화(sclerosis), 결손(bone end deformity)의 2차적 소견이 함께 동반된 경우 |
3. 연골판병변 신체 검진의 양성소견이란? |
〇 McMurray’s Test, Thessaly Test, Apley’s Compression Test 등의 1가지 검사에서 양성 소견을 보이는 경우 |
4. 관절의 잠김이란? | 〇 관절의 잠김은 기계적 증상을 나타내는 잠김(locking) 또는 걸림(catching)을 표현하는 의미임. |
'요양급여심사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248호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 21.10.1:선천성 악안면 교정 (0) | 2021.10.05 |
---|---|
고시 제2021-245호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안내/ 약제기준부/21.10.1 (0) | 2021.10.05 |
2021-244호 요양급여기준 및 방법 세부사항 개정 21.10.1 (0) | 2021.09.30 |
2021-234호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약제)」일부개정 안내21.9.1 (0) | 2021.09.01 |
2021-233호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일부개정21.9.1 (0) | 2021.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