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자보 관련

2020-155호 뇌혈관 질병 또는 심장 질병 및 근골격계 질병의 업무상 질병 인정 여부 결정에 필요한 사항 21.1.1

야국화 2021. 1. 12. 09:16

뇌혈관 질병 또는 심장 질병 및 근골격계 질병의 업무상 질병 인정 여부 결정에 필요한 사항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 - 155

산업재해보상보험법37조제1항제2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43항에 따라 뇌혈관 질병 또는

심장 질병 및 근골격계 질병의 업무상 질병 인정 여부 결정에 필요한 사항을 다음과 같이 개정하여

고시합니다.

                                                                                         20201229

                                                                                        고 용 노 동 부 장 관

 

 

. 뇌혈관 질병 또는 심장 질병 및 근골격계 질병의 업무상 질병 인정 여부 결정에 필요한 사항

 

1. 뇌혈관 질병 또는 심장 질병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이하 이라 한다) 별표 3 1호 가목 1)에서 업무와 관련한

    돌발적이고 예측 곤란한 정도의 긴장·흥분·공포·놀람 등과 급격한 업무 환경의 변화로 뚜렷한

    생리적 변화가 생긴 경우란 증상 발생 전 24시간 이내에 업무와 관련된 돌발적이고 예측 곤란한

    사건의 발생과 급격한 업무 환경의 변화로 뇌혈관 또는 심장혈관의 병변 등이 그 자연경과를

    넘어 급격하고 뚜렷하게 악화된 경우를 말한다.

. 영 별표 3 1호 가목 2)에서 업무의 양·시간·강도·책임 및 업무 환경의 변화 등으로 발병 전

    단기간 동안 업무상 부담이 증가하여 뇌혈관 또는 심장혈관의 정상적인 기능에 뚜렷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육체적·정신적인 과로를 유발한 경우란 발병 전 1주일 이내의 업무의 양이나 시간

    이 이전 12(발병 전 1주일 제외)간에 1주 평균보다 30퍼센트 이상 증가되거나 업무 강도·책임

    및 업무 환경 등이 적응하기 어려운 정도로 바뀐 경우를 말한다. 해당 근로자의 업무가 단기간

    동안 업무상 부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업무의 양·시간·강도·책임, 휴일·휴가 등 휴무시간, 근무

    형태·업무환경의 변화 및 적응기간, 그 밖에 그 근로자의 연령, 성별 등을 종합하여 판단한다.

. 영 별표 3 1호 가목 3)에서 업무의 양·시간·강도·책임 및 업무 환경의 변화 등에 따른 만성적인

    과중한 업무로 뇌혈관 또는 심장혈관의 정상적인 기능에 뚜렷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육체적·정신적

    인 부담을 유발한 경우란 발병 전 3개월 이상 연속적으로 과중한 육체적·정신적 부담을 발생시켰

    다고 인정되는 업무적 요인이 객관적으로 확인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해당 근로자의 업무가

    만성적인 과중한 업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업무의 양·시간·강도·책임, 휴일·휴가 등 휴무시간,

    교대제 및 야간근로 등 근무형태, 정신적 긴장의 정도, 수면시간, 작업 환경, 그 밖에 그 근로자의

    연령, 성별 등을 종합하여 판단하되, 업무시간과 작업 조건에 따른 업무와 질병과의 관련성을 판단

    할 때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한다.

  1) 발병 전 12주 동안 업무시간이 1주 평균 60시간(발병 전 4주 동안 1주 평균 64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업무와 질병과의 관련성이 강하다고 평가한다.

  2) 병 전 12주 동안 1주 평균 업무시간이 5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업무시간이 길어질수록

     업무와 질병과의 관련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특히,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업무부담 가중요인)에는 업무와 질병과의 관련성이 강하다고 평가한다.

   근무일정 예측이 어려운 업무

   교대제 업무

   휴일이 부족한 업무

   유해한 작업환경 (한랭, 온도변화, 소음)에 노출되는 업무

   육체적 강도가 높은 업무

   시차가 큰 출장이 잦은 업무

   정신적 긴장이 큰 업무

  3) 발병 전 12주 동안 업무시간이 1주 평균 52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라도 2항의 업무부담 가중

     요인에 복합적으로 노출되는 업무의 경우에는 업무와 질병과의 관련성이 증가한다.

. 오후 10시부터 익일 6시 사이의 야간근무의 경우에는 주간근무의 30%를 가산(휴게시간은 제외)

    하여 업무시간을 산출한다. 다만, 근로기준법63조제3호에 따라 감시 또는 단속적으로 근로에

    종사하는 자로서 사용자가 고용노동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경우와 이와 유사한 업무에 해당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2. 근골격계에 발생한 질병

. 근골격계 질병의 정의 및 범위

  1) 근골격계 질병은 특정 신체부위에 부담을 주는 업무로 그 업무와 관련이 있는 근육, 인대, 힘줄,

     추간판, 연골, 뼈 또는 와 관련된 신경 및 혈관에 미세한 손상이 누적되어 통증이나 기능 저하

     가 초래되는 급성 또는 만성질환을 말한다.

  2) 근골격계 질병은 팔(上肢), 다리(下肢) 및 허리 부분으로 구분한다.

   ) “팔 부분(上肢)”은 목, 어깨, , 위팔, 아래팔, 팔꿈치, 손목, 손 및 손가락의 부위를 말하며, 대표

        적 질병으로는 경추염좌, 경추간판탈출증, 회전근개건염, 팔꿈치의 ()상과염, 수부의 건염

        및 건초염, 수근관증후군 등이 있다.

   ) “다리 부분(下肢)”은 둔부, 대퇴부, 무릎, 다리, 발목, 발 및 발가락의 부위를 말하며, 대표적 질병

        으로는 무릎의 반월상 연골손상, 슬개대퇴부 통증증후군, 발바닥의 근막염, 발과 발목의 건염 등

        이 있다.

   ) “허리 부분은 요추 및 주변의 조직을 지칭하며 대표적 질병으로는 요부염좌, 요추간판탈출증 등

        이 있다.

. 가목 1)에 따른 근골격계 질병을 판단할 때에는 해당 질병에 대한 증상, 이학적 소견, 검사 소견,

    진단명 등을 확인하여 판단한다.

. 업무수행 중 발생한 사고로 인한 근골격계 질병

  1) 신체부담업무를 수행한 작업력이 있는 근로자에게 업무수행 중 발생한 사고로 인해 나타나는 근골

      격계 질병은 업무상 질병의 판단 절차에 따른다. 다만, 신체에 가해진 외력의 정도와 그에 따른

      신체손상(골절, 인대손상, 연부조직 손상, 열상, 타박상 등)이 그 근로자의 직업력과 관계없이 사고

      로 발생한 것으로 의학적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업무상 사고의 판단 절차에 따른다.

  2) 1)에서 업무수행 중 발생한 사고란 업무수행 중에 통상의 동작 또는 다른 동작에 의해 관절 부위에

     급격한 힘이 돌발적으로 가해져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급격한 힘이 돌발적으로 가해져

     발생한 경우를 판단할 때에는 신체부담업무에 따른 신체의 영향과 급격한 힘의 작용에 따른 신체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업무관련성 여부를 판단한다.

. 업무관련성의 판단

  1) 신체부담업무의 업무관련성을 판단할 때에는 신체부담정도, 업력, 간헐적 작업 유무, 비고정작업

     유무, 종사기간, 질병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한다.

  2) 1)의 신체부담정도는 재해조사 내용을 토대로 인간공학전문가, 산업위생전문가, 산업의학 전문의 등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평가하되, 필요한 경우 관련 전문가와 함께 재해조사를 하여 판단한다.

 

. 재검토 기한

고용노동부장관은 이 고시에 대하여 202111일 기준으로 3년이 되는 시점(3년째의 1231

 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부 칙

이 고시는 202111일부터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