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안전 주의경보 [진정약물 투여 후 환자 감시 미흡 관련]2018. 12. 12. (수)
[진정약물 투여 후 환자 감시 미흡 관련] 주의경보 참고자료
□ 미국 마취과학회 신체상태 분류법(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hysical status)
등급 | 환자 신체상태 |
1등급 | 수술을 필요로 하는 병소의 진행과정을 포함하여 전신질환이 없는 건강한 환자 |
2등급 | 수술질환이나 동반질환으로 경도나 중등도의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 |
3등급 | 일상생활에 제약을 주는 고도의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 |
4등급 |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심한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 |
5등급 | 예정된 수술에도 불구하고 24시간 이내 사망률이 50% 이상인 환자 |
* 대한의사협회.(2016). “의원 및 병원 급 의료기관 의사를 위한 프로포폴 진정 임상권고안”
□ 기도 평가 방법(Modified Mallampati classification)
Class 1 | 연구개(soft palate) 전체가 다 보임 |
Class 2 | 목젖(uvula) 전체가 보임 |
Class 3 | 목젖의 기저부만 보임 |
Class 4 | 연구개 전체가 전혀 보이지 않음 |
☞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중립위로 하고 입을 크게 벌리고 혀를 최대한 내민 상태에서 평가자가
구강 구조를 평가
* 대한의사협회.(2016). “의원 및 병원 급 의료기관 의사를 위한 프로포폴 진정 임상권고안”
□ 금식시간(성인)
음식물 종류 | 금식 최소시간 |
고형식, 우유 | 6 ~ 8시간 |
깨끗한 소량의 물 | 2시간 |
* 대한의사협회.(2016). “의원 및 병원 급 의료기관 의사를 위한 프로포폴 진정 임상권고안”
□ 금식시간(소아)
음식물 종류 | 금식 최소시간 | ||
6개월 이하 | 6개월~36개월 | 36개월 이상 | |
맑은 유동식(Clear liquid) | 2시간 | 2시간 | 2시간 |
모유(Breast milk) | 4시간 | 4시간 | 4시간 |
유아식(Infant formula) | 6시간 | 6시간 | 6시간 |
분유, 우유(Nonhuman milk) | 6시간 | 6시간 | 6시간 |
가벼운 식사(Light meal) | 4시간 | 6시간 | 6시간 |
든든한 식사(Heavy meal) | 6시간 | 6시간 | 8시간 |
☞ 맑은 유동식 : 맹물, 덩어리가 없는 맑은 주스, 탄산음료, 우유가 포함되지 않은 맑은 블랙커피
☞ 가벼운 식사 : 토스트나 수프
☞ 든든한 식사 : 기름에 요리된 음식이나 고기, 지방이 포함된 음식/ 정규식사/ 다량의 맑은 음료
* 대한소아마취학회.(2016). “소아진정가이드라인”
□ 진정 중 의식수준 평가(Modified Observer’s Assessment of Alertness/ Sedation(MOAA/S) Scale)
반응도 | 점수 |
깨어 있으며, 정상적인 톤으로 이름을 불렀을 때 즉각적으로 반응 | 5 |
깨어 있으며, 정상적인 톤으로 이름을 불렀을 때 느리게 반응 | 4 |
기면상태이나, 큰소리로 또는 반복적으로 이름을 불러야만 반응 | 3 |
기면상태이나, 몸을 가볍게 흔들거나 약하게 자극할 때 반응 | 2 |
강한 자극에만(승모근을 꼬집어야) 반응 | 1 |
강한 자극에도(승모근을 꼬집어도) 반응 없음 | 0 |
* 대한의사협회.(2016). “의원 및 병원 급 의료기관 의사를 위한 프로포폴 진정 임상권고안”
□ 마취 후 퇴원점수 체계(Postanesthetic Discharge Scoring System)
지표 | 점수 | |
활력징후 | 진정 전 수치의 20%이내 | 2 |
진정 전 수치의 20 ~ 40% | 1 | |
진정 전 수치의 40% 이상 | 0 | |
활동성과 의식 상태 | 지남력(시간, 장소, 사람)이 있고 안정적으로 걸음 | 2 |
지남력(시간, 장소, 사람)이 있거나 안정적으로 걸음 | 1 | |
모두 불가함 | 0 | |
통증과 오심/구토 | 최소 | 2 |
중등도(moderate), 조절을 위해 약이 필요 | 1 | |
중증도(severe), 조절을 위해 약이 필요 | 0 | |
출혈 | 최소 | 2 |
중등도(moderate) | 1 | |
중증도(severe) | 0 | |
섭취와 배설 | 미음 섭취 및 배뇨 가능 | 2 |
미음 섭취 또는 배뇨 가능 | 1 | |
모두 불가함 | 0 |
☞ 총 점수가 9점 이상일 경우 퇴실에 적합
* 대한의사협회.(2016). “의원 및 병원 급 의료기관 의사를 위한 프로포폴 진정 임상권고안”
□ 진정치료 후 회복실 퇴실 기준 평가도구(Modified Aldrete score system)
지표 | 점수 | |
근 활동성 | 사지가 모두 가능함 | 2 |
상지 또는 하지만 가능함 | 1 | |
모두 불가능 | 0 | |
호흡 정도 | 심호흡과 기침이 모두 가능함 | 2 |
숨이 차거나 호흡이 얕음 | 1 | |
무호흡 | 0 | |
활력징후 | 진정 전 혈압의 20%이내 | 2 |
진정 전 혈압의 20 ~ 49% | 1 | |
진정 전 혈압의 50%이상 | 0 | |
의식 정도 | 의식이 완전함 | 2 |
호출에 깨어남 | 1 | |
무반응 | 0 | |
산소포화도 | 산소투여 없이 92%이상 | 2 |
산소투여 후 90%이상 | 1 | |
산소투여 후 90%미만 | 0 |
☞ 총 점수가 8점이거나 수술 전 상태와 동일할 경우 퇴실에 적합
* 대한의사협회.(2016). “의원 및 병원 급 의료기관 의사를 위한 프로포폴 진정 임상권고안”
< 진정치료 표준운영절차 모니터링 도구 >
구분 | 모니터링항목 | 등록번호 : | ||
이 름 : | ||||
Pass | Fail | 미해당 | ||
1.진정 전 평가 | 1) 진정 전 평가는 진정 약물의 적용 전에 시행되었는가? | P | F | N |
2) 진정 전 평가는 의사 또는 간호사에 의해 시행되었는가? | P | F | N | |
3) 평가 항목에 대해서는 누락 없이 기록되었는가? | P | F | N | |
3-1) 과거 병력에 대한 기록을 하였는가? | P | F | N | |
3-2) 약물이나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에 대한 기록을 하였는가? | P | F | N | |
3-3) 현재 복용중인 약물에 대한 기록을 하였는가? | P | F | N | |
3-4) 기도의 변형이나 치아 상태에 대한 기록을 하였는가? | P | F | N | |
3-5) 공복 시간에 대한 기록을 하였는가? | P | F | N | |
3-6) 활력 징후에 대한 기록을 하였는가? | P | F | N | |
3-7) 의식 수준에 대한 기록을 하였는가? | P | F | N | |
2.진정 동의서 | 1) 진정 동의서는 진정치료를 시행하기 전에 작성되었는가? | P | F | N |
2) 진정 동의서는 의사 또는 간호사에 의해 작성되었는가? | P | F | N | |
3) 진정 동의서는 의무기록으로 저장되어 있는가? | P | F | N | |
3.진정중 모니터링 | 1) 진정중 모니터링은 실시간으로 지속적 시행되었는가? | P | F | N |
2) 진정중 모니터링은 투약이후 최대 15분 간격으로 기록되었는가? | P | F | N | |
3) 진정 중 모니터링 항목에는 맥박이 포함되어 있는가? | P | F | N | |
4) 진정 중 모니터링 항목에는 산소포화도가 포함되어 있는가? | P | F | N | |
4.진정후 모니터링 | 1)진정후 모니터링은 실시간으로 지속적 시행되었는가? | P | F | N |
2)진정후 모니터링은 치료후와 퇴실기준 충족시까지 최대30분 간격으로 기록되었는가? | P | F | N | |
3)진정후 모니터링항목에는 맥박이 포함되어 있는가? | P | F | N | |
4)진정후 모니터링항목에는 산소포화도가 포함되어 있는가? | P | F | N | |
5 진정 후 평가 | 1) 진정후 퇴실 평가가 시행되었는가? | P | F | N |
2) (만약,진정후 퇴실기준 미충족시) 해당 주치의에게 퇴실 결정을 받았는가? | P | F | N | |
6 퇴실 | 1) (입원환자인 경우) 해당 병동으로의 이송시 발생된 문제는 없었는가? | P | F | N |
2) (입원환자인 경우) 진정치료 전후 발생한 주요한사항에 대해서 이송하는 병동에 환자상태에 대해 인계되었는가? | P | F | N | |
3) 진정상태의 환자 또는 퇴실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환자 이송시 의료인 동반하여 이송되었는가? | P | F | N | |
4) (외래 환자인 경우) 환자와 보호자에게 안내문(귀가시 주의사항, 응급상황 발생시 연락처)이 제공되었는가? | P | F | N | |
7.직원의 자격 및 역량 | 1) 진정치료를 수행하는 직원은 진정교육을 받았는가? | P | F | N |
2) 진정치료를 수행하는 간호사는 응급상황 발생 시 연락할 주치의를 알고 있는가? | P | F | N | |
3) 진정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직원은 응급상황 발생시 대처할 수 있는가? | P | F | N | |
3-1) 호흡부전 발생 시 기도유지 positioning을 시행할 수 있는가? | P | F | N | |
3-2) 호흡부전 발생 시 기도유지를 위한 oral airway device를 사용할 수 있는가? | P | F | N | |
3-3) 자발호흡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bag mask ventilation을 시행할 수 있는가? | P | F | N | |
3-4) 담당의사의 지시하에 적절한 처치를 시행하여도 호전이 없고, 도움이 필요할 때에는 CPR팀을 호출해야 함을 알고 있는가? | P | F | N | |
8 .진정 약물 관리 | 1) 진정 약물은 잠금장치 된 장소에 보관되어 있는가? | P | F | N |
2) 진정 약물은 라벨링(약명, 용량, 경로, 개봉일 및 유효시간)이 되어 있는가? | P | F | N |
* SMC “진정치료_표준운영절차(SOP) 모니터링 도구”
'병원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복지부 공고 2018-795호 환자안전기준 개정 : 2018-12-20 (0) | 2018.12.24 |
---|---|
진정 동의서 (0) | 2018.12.17 |
2018년 제7차 환자안전 주의경보 발령 안내(진정약물 투여 후 환자 감시 미흡 관련) (0) | 2018.12.14 |
재난적의료비 지원사업 관련 협조요청 (0) | 2018.12.11 |
특수의료장비 설치인정기준 조정 관련 질문(FAQ) 및 답변 안내 (0) | 2018.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