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S(Global Deterioration Scale) 전반적인 퇴화척도
환자의 인지능력은 ?
1 = □ | 인지장애 없음 | 임상적으로 정상. 주관적으로 기억장애를 호소하지 않음. 임상 면담에서도 기억장애가 나타나지 않음. |
2 = □ | 매우 경미한 인지장애 | 건망증의 시기. 주관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억장애를 주로 호소함: (1) 물건을 둔 곳을 잊음, (2) 전부터 잘 알고 있던 사람 이름 또는 물건이름이 생각나지 않음. 임상 면담에서 기억장애의 객관적인 증거는 없음. 직장이나 사회생활에 문제 없음. 이러한 자신의 증상에 적절한 관심을 보임. |
3 = □ | 경미한 인지장애 | 분명한 장애를 보이는 가장 초기 단계. 그러나 숙련된 임상가의 자세한 면담에 의해서만 객관적인 기억장애가 드러남. 새로이 소개 받은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기 어려울 수 있음. 책을 읽어도 예전에 비하여 기억하는 내용이 적을 수 있음. 단어나 이름이 금방 떠오르지 않는 것을 주위에서 알아차리기도 함. 귀중품을 엉뚱한 곳에 두거나 잃어버린 적이 있을 수 있음. 낯선 곳에서 길을 잃은 적이 있을 수 있음. 임상 검사에서는 집중력의 감퇴가 보일 수 있음. -직업이나 사회 생활에서 수행 능력이 감퇴함. 동료가 환자의 일 수행 능력이 떨어짐을 느낌. 환자는 이와 같은 사실을 부인할 수 있음. 경하거나 중등도의 불안증이 동반될 수 있음. 현재 상태로는 더 이상 해결할 수 없는 힘든 사회적 요구에 직면하면 불안증이 증가됨. |
4 = □ | 중등도의 인지장애 | 후기 혼동의 시기. 자세한 임상 면담 결과 분명한 인지장애. 다음 영역에서 분명한 장애가 있음: (1) 자신의 생활의 최근 사건과 최근 시사 문제들을 잘 기억하지 못함, (2) 자신의 중요한 과거사를 잊기도 함, (3) 순차적 빼기(예; 100-7, 93-7…)에서 집중력 장애가 관찰됨, (4) 혼자서 외출하는 것과 금전 관리에 지장이 있음. |
5 = □ | 초기중증의 인지장애 | 초기 치매.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더 이상 지낼 수 없음. |
6 = □ | 중증의 인지장애 | 중기 치매. 환자가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배우자의 이름을 종종 잊음. 최근의 사건들이나 경험들을 거의 기억하지 못함. 오래된 일은 일부 기억하기도 하나 매우 피상적임. 일반적으로 주변 상황, 년도, 계절을 알지 못함. ‘1-10’ 또는 거꾸로 ‘10-1’까지 세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 |
7 = □ | 후기중증의 인지장애 | 말기 치매. 모든 언어 구사 능력이 상실됨. 흔히 말은 없고 단순히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만 냄. 요실금이 있고 화장실 사용과 식사에도 도움이 필요함. 기본적인 정신 운동 능력이 상실됨 (예를 들면 걷기). 뇌는 더 이상 신체에 무엇을 하라고 명령하는 것 같지 않음. |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msung Dementia Questionnaire (SDQ).S-SDQ (0) | 2017.10.25 |
---|---|
치매선별검사 MMSE간이정신상태검사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0) | 2017.10.24 |
치매척도검사 CDR 평가표 (0) | 2017.10.23 |
쿨프렙산과, 코리트에프산 (0) | 2017.10.10 |
성인예방접종 일정표 (0) | 2017.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