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유암종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장내시경검사
직장 유암종의 약 50%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내시경 검사 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장내시경검사란 불빛과 유연성 있는 튜브로 대장을 직접 보는 검사방법으로, 내시경검사와 동시에 조직검사도 가능합니다. 유암종은 부드럽고 원형의 쉽게 움직이는 점막하 결절로 보이며, 정상 점막 혹은 노란색의 점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발견되는 크기는 수 mm의 작은 크기에서 수 cm에 이르는 크기까지 다양하며 주로 중직장 (항문으로부터 5-10cm 상방)에서 발생합니다. 조직검사를 시행하면 신경내분비세포의 특징이 나타나며, 병리의사는 다양한 형태의 면역조직화학검사[크로모그라닌 A(chromogranin A), NSE(neuron-specific enolase), SYP(synaptophysin)등]를 하게 됩니다. 조직검사에서 진단이 애매한 경우, 혈액 및 소변에 있는 생물학적 활성 물질의 검사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초음파 내시경(EUS)
초음파 내시경(EUS)을 이용한 유암종 진단은 있어서 민감도가 87%, 특이도가 93%로 보고됩니다. 초음파 내시경은 유암종의 진단 뿐만이 아니라 종양의 정확한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종양의 침윤 깊이가 점막하층에 국한되었는지 근육층까지 침윤되었는지 감별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직장주변 림프절병증(lymphadenopathy)을 측정할 수 있어서 유암종의 치료 방침을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유암종이 점막하층에 있어 일반적인 내시경 생검으로는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초음파 내시경하 세침생검으로 좀더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하다고 보고되기도 합니다.
전산화 단층촬영(CT)
간전이나 림프절 전이를 규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전산화 단층촬영은 특히 종양이 장벽을 넘어서 주변 조직이나 다른 장기를 침범했을 가능성이 있을 때 진단에 더욱 도움을 주는 검사이며, 간이나 림프절 등의 전이 여부를 검사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자기공명영상촬영(MRI)
간전이나 림프절 전이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검사로, 간 전이를 규명하는 데 전산화단층촬영(CT)보다 정확한 검사로서 CT검사에서 간 전이가 명확하지 않거나 간 내 전이암의 개수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할 때 추가 혹은 보조적으로 사용됩니다.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신티그래피(Somatostatin-receptor syntigraphy, SRS)
이 검사법은 특수한 방사선동위원소(Somatostatin analogs, 111-In or other isotopes)를 사용한 특수촬영법으로, 일반적인 CT 혹은 MRI 촬영으로 확인되지 않는 원발 병소 혹은 전이 병소를 찾아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민감도는 80-91%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유암종 환자의 초기검사로서 시행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에서는 전산화 단층촬영(CT)나 자기공명영상촬영(MRI)를 하든 안 하든 관계없이 초음파 내시경과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신티그래피(SRS)을 검사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24시간 소변 5- HIAA (5- 히드록시인돌초산, hydroxyindoleacetic acid)
5-히드록시인돌초산은 세로토닌(serotonin)대사로 인해 생성되는 산으로 암종 환자의 소변에서 상승하는 물질입니다. 24시간 소변 5-HIAA는 중요한 유암종의 표지자로 특이도는 88%이며 암의 진단뿐 아니라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를 평가하는 데도 유용한 검사입니다. 24시간 채집한 소변에서 5-HIAA의 정상치는 1~5mg 입니다. 소변 채집 도중 바나나, 파인애플, 키위, 건포도, 토마토, 땅콩 등을 섭취할 경우 5-HIAA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