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심도자법의 정의
심도자법은 심장질환 진단을 위한 가장 가치 있는 진단방법으로 전신 혹은 국소 마취를 사용하여 보통 대퇴(전박) 정맥이나 동맥, 신생아에서는 제대정맥이나 제대동맥 같은 말초혈관을 통해 심장으로 방사선 불투과성의 카테터를 삽입(대퇴정맥으로 삽입하여 하대정맥, 우심방, 우심실 그리고 폐동맥 순으로 삽입)하는 것이다.
카테터는 보통 대퇴혈관으로 삽입되는데, 혈관을 노출시켜 만든 정맥절개를 통해 삽입하거나, 경피술을 이용하여 내경이 넓은 바늘을 정맥으로 삽입하기도 한다. 이 때 검사용 혈액을 채취하고 심방과 심실 안의 산소농도와 혈압을 측정 기록하여, 심중격의 결손 여부를 판단한다. 카테터는 투시검사를 이용하여 심장으로 유입되며, 일단 카테터의 끝이 심방 내로 들어가면 조영제가 주입되고, 주입된 조영제의 확산과 순환이 촬영된다.
2.심도자법의 목적
①진단적 심도자법
선천성 심장결손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증상을 나타내는 아동에서 외과적 교정을 하기 전에 시행하는 방법이다. 카테터가 정맥(일반적으로 대퇴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삽입되는 우심도자법과 카테터가 동맥을 통해 대동맥이나 심장 안으로 들어가는 좌심도자법이 있다.
②치료적 심도자법
풍선카테터나 다른 장치를 사용하여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협착된 판막이나 혈관을 넓히거나 비정상적인 통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③전기 생리학적 검사
전도계로부터 직접 심장으로 전달되는 전기적 충동을 기록할 수 있는 미세한 전극이 달린 카테터를 사용하여, 리듬장애(부정맥)를 평가하고 때로는 조동이나 세동과 같이 빠른 리듬장애를 유발하는 부전도로를 파괴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3.심도자법의 종류
-우심도자법:
상완정맥 또는 대퇴정맥을 통해 카데타를 우심방으로 삽입하여 우심방, 우심실 및 폐동맥내의 산소포화도와 압력을 측정
-좌심도자법:
주로 대퇴동맥(또는 상완동맥)에서 좌심실로 카테터를 역행시켜 대동 맥, 좌심실 및 좌심방의 산소포화도 및 압력을 측정함. 그러나 검사수 행 중 심실빈맥과 같은 위험한 부정맥을 초래할 수 있다.
4.심도자법의 시술전 간호
심도자법을 위하여 영아나 아동은 24시간에서 48시간 동안 입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래에서도 가능하다. 심도자술을 약 2시간 동안 시행된다. 아동은 시행전 4 ~ 6시간 동안 금식하고 정맥주사 혈관을 유지시킨다. 아동을 정서적으로 이완시키기 위해 심도자술 30 ~ 45분 전에 마취제(meperidine이나 morphine)와 진정제가 투여된다.
① 신체 준비
- 금식, 활력징후 기록, 나이 든 환아에게는 수술전 투약한다.
② 예기된 요구지지
- 여분의 diaper, pacifier, 달콤한 nipple, 보온 유지를 위한 용품을 준비한다.
③ 심리적 준비
- 나이 든 환아에게는 전 과정을 설명한다. 설명은 명확하고 간결하게 하고 이해 수준에 맞게 위협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④ 경험을 위한 준비
- 아동이 무엇을 경험할 것인지를 설명한다.
- 친숙한 것은 강조하고 친숙하지 않은 것은 이미 알고 있는 물건이나 경험과 관련시킨 다.
- 아동의 과도한 경험준비는 피한다.
- 안전한 환경 놀이 등을 통해 친숙치 않은 기구들을 경험토록 한다.
- 아동이 느낄 수 있는 감각들을 단순한 용어로 표현한다.
⑤ 안위를 제공한다.
- 좋아하는 담요나 장난감 등 친숙한 것을 통해 안위감을 갖도록 한다.
- 양친과 가능한 한 오랫동안 있도록 격려한다.
- 아동이 가능한 한 접근감과 친근감을 갖도록 한다. 질문에 대답한다.
- 정숙하고 신뢰감 있는 태도를 유지한다.
- 가능한 한 아동과 같이 있도록 하다.
⑥ 양친을 지지하고 신뢰감을 갖도록 한다.
- 의사에 의해서 재강화 되도록 하며 명확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 관련된 진단 검사와 과정을 설명한다.
- 아동의 계획표를 수술전 투약시나 검사실로 가는 시간에, 돌아오는 아기를 기다리는 방에서 설명한다.
- 양친이 감정을 노출하도록 지지한다.
- 아동 준비 때 부모를 참여시킨다.
5.심도자법 시술후 간호
시술과정이 끝나는 순간부터 아동이 병동에 돌아올 때까지, 간호사는 즉각적이고 주 의깊게체계적인 관찰을 시작한다. 합병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세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① 생리적 상태를 사정한다.
- 피부색과 의식수준, 카테터 삽입 부위의 출혈 유무를 확인한다. 이들 중재는 출혈의 위험성이라는 간호진단으로 수행한다. 맥박, 피부색, 체온, 카테터 삽입 부위와 말단 사지의 모세혈관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이유는 동맥혈전과 혈관경련이 심도자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이기 때문이다. 활력징후는 시술과정에서 돌아온 직후부터 수시간 동안 세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 검사 후 병실로 돌아왔을 때 1 ~ 3시간의 안정이 필요하다. 활력징후는 처음 1시간 동안은 매 15분마다 나중 3시간 동안에는 30분마다 잰다. 환아를 관찰함에 있어 호흡수가 증가하거나 부정맥이 있을 경우에는 곧 보고한다. 또한 체온과 혈압을 잰다. 대체로 검사 후 약 4 ~ 6시간 동안은 체온이 약간 상승된다.
② 영양과 수분 공급을 지지한다.
- 처음은 물로 입술을 적셔주고 그 후는 조절할 수 있는 만큼 수분과 음식물을 제공한다. 맑은 유동식은 심도자술 후 즉시 줄 수 있다. 맑은 죽에 적응이 되면 영아나 아동은 정상식이를 먹을 수 있다.
③ 합병증 예방
- 가능한 한 수술측 팔이나 다리를 신전시킨다.
- 환측 부위의 드레싱을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 이 검사의 합병증으로 올 수 있는 것은 부정맥, 혈전성 정맥염, 심장천공, 국소적 염증, 출혈, 저산소증 등이다.
④ 적합한 체온 유지
- 아동은 시술과정 전 4 ~ 6시간 동안(IV 공급 전인 경우) 수분 공급이 없거나 조영제로 인한(많은 아동은 조영제에 대해 경한 반응이 있다) 생리적 탈수 때문에 일시적인 체온상승이 있을 수 있다. 발열이 지속되는 것은 시술과정 동안 병원균의 침입 때문이다.
- 시술 동안 노출로 인한 오한이 있을 시는 보온을 유지시키고 과도 보온이나 오한을 피하도록 한다.
⑤ 퇴원 준비
- 다음날 아침 시술한 쪽 사지에 맥박상태가 좋고 활력징후가 안정적이고 정규식이에 적응이 되면 보통 퇴원한다. 외래에서 심도자술을 한 아동에서 안정적인 경우 시술절차 후 6 ~ 8시간이면 퇴원할 수 있다.
- 부모에게 절개, 천자부위 간호, 드레싱 교환, 활동제한, 후기 합병증 관찰, 추후 관리와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심혈관 조영술(cardiac angiography)
1.심혈관 조영술의 정의
심장이나 혈관에 조영제라고 하는 특수한 약물을 주입하여, 심장이나 혈관의 구조적 이상이나 기능적 이상을 정밀 진단하는 방법으로 직경이 약 1.5~2mm정도인 가느다 란 관을 대퇴정맥이나 상완동맥으로 심장 및 혈관 각 부위에 삽입하여 조영제를 사 용하여 심혈관 조영술을시행하여, 심장과 그 혈관계의 구조적 이상 및병태, 생리, 혈 역학적인 정보를 얻을수 있는시술이다. 방사선 불투과 물질을 동맥으로 주입시켜 심 장의 내부구조나 혈관 상태를 관찰하는 검사로서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힌 상태의 혈 류 흐름의 비정상을 발견할 수 있다.
2.심혈관 조영술의 목적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의료보건용역 해당 여부 (0) | 2011.07.11 |
---|---|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0) | 2011.06.28 |
인공임신중절수술의 금지 (0) | 2011.06.09 |
박리성 골연골염이란? (0) | 2011.05.31 |
위험한 악성 고혈압 (0) | 201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