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cast의 목적과 종류

야국화 2010. 4. 9. 12:30

cast의 목적과 종류


cast의 목적

골절 정복 및 고정

● 변형의 예방 및 고정

● 관절의 지지와 안정

● 동통의 효과적 해소


cast의 종류 - 고정부위의 목적에 따라 short arm cast, long arm cast, hanging arm cast, body cast, spica cast, short leg cast, long leg cast, 그리고 cylinder cast 등



1) Short arm cast

적용-요골 또는 척골의 원위부 골절등에 시술한다. 손가락 마디 관저르이 손상이나 손가락 뼈의 골절이 함게 있을 때는 손가락 부목을 대주어 short arm cast와 연결한다.


2) Long arm cast

적용-요골 및 척골 골절, 기타 주관절 주벼느이 골절, 손목 인대의 손상, carpal bone의 경미한 골절을 치료할 때 쓰인다.


3) Hanging arm cast

적용-환자가 서 있을때 상완골과 어깨관절 부위를 지지하기 위함이다. 환자가 직립 상태에 있을때 석고의 무게는 상완에 가벼운 견인역할을 한다. 이 석고붕대는 어깨손상이나 상완골의 목골절, 상완골간부위(humerus shaft)의 나선형 골절이나 복잡성 골절 치료에 쓰인다.


4) Body cast

적용-척추골절의 고정이나 척추융합술 후 또는 척추골 손상의 치유를 위하여 사용된다. 척추 수술전에 안정을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적용하기도 한다. 용도에 따라 Minerva jacket과 body jacket형의 두 종류가 있다.

     Minerva jacket은 두개골의 후두와 앞부분을 덮고 목, 가슴, 등, 배의 장골능선까지 석고붕대로 감은 것이다. 얼굴과 귀, 둔부, 치골과 사지는 노출되지만 환자는 상당한 불편감을 느끼게 된다.

     Body jacket은 흉곽위 부분에서 두덩부위까지 몸통부분을 석고로 고정하므로 머리, 어깨 및 사지가 자유롭다. 장골능선을 덮으나 둔부와 두덩부위가 노출된다. 때에 따라서는 대퇴부위와 골반부를 포함하거나 경추골을 포함하기도 한다.

     Body cast를 할 때는 호흡과 소화기능을 돕기 위해서 가슴과 배부분의 공간을 여유있게 하며 배부분의 압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 앞부분에 창구를 먼저 만든다.



5) Spica cast

적용-둔부나 어깨 부위에 적용한다. Spica란 8자형으로 교차된 형태라는 뜻에서 유래된 말로 몸통과 사지의 주요부분을 함께 고정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① shoulder spica cast

적용-어깨의 spica cast는 body jacket과 long arm cast를 병용한 것으로 어깨관절이나 상완골 골절, 팔굽 관절의 손상, 어깨관절의 탈구를 치료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② Hip spica cast

적용-hip spica cast는 유두선 아래에서 손상받은 쪽 하지전체(발까지도 포함할수 있음)를 석고붕대로 감는 것이다. 둔부와 회음부위의 청결을 위해 창구를 낸다.

     이 석고붕대는 그 적용부위에 따라 single spica, one and half spica, bilateral above knee spica의 세가지가 있다.

     Hip saica cast는 선천적 대퇴관절 탈구나 대퇴관절 및 재건수술(reconstructive surgery)후에 수술부위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골반이나 대퇴관절, 대퇴골절의 고정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Spica cast 시에는 다리나 팔의 석고붕대 사이에 외전을 방지해 주기 위한 막대기를 대주어 위치를 지지하는데 이를 외전대(abduction bar)라고 한다. 환자의 체위를 변경할 때 이 막대기를 잡고 돌리면 막대기가 떨어지기 쉬우므로 조심한다.

③ Thumb spica cast

적용-팔꿈치 아래에서 엄지손가락까지 석고붕대를 하고 엄지손가락 끝만 노출시킨다. 이는 손목뼈의 골절이나 손가락골절, 인대와 관절의 손상에 대한 치료방법이다.


6) Short leg cast

적용-발목이나 발에 골절이 있을때 무릎아래에서 발목까지 감는 형태이다.

     발가락을 노출시켜서 감각, 운동정도, 순환상태를 관찰한다. 체중부하가 허용되는 경우에는 쇠로된 보행용 뒤축을 만들어서 대어준다. 발목관절은 90°각도를 유지하고, 뒷꿈치가 해부학적 정상위치가 되도록 고정한다. 특히 하지 석고붕대인 경우 비골근신경(peroneal nerve)의 압박은 수족(foot drop)의 원인이 되므로 관찰이 중요하다.

     short leg cast를 변형하여 무릎위까지 cast를 높게 하는 경우를 patella tendon weight bearing cast라고 하며 이는 경골이나 비골의 경한 골절에 사용한다.


7) Long leg cast

적용-발부분의 모양은 short leg cast와 비슷하다. 무릎관절을 지나서 샅부위까지 석고붕대로 고정한다. 이때 체중부하가 필요하면 보행용 뒤축을 대어준다.

     무릎관절이나 대퇴하부의 심한 골절이나 경골, 비근골, 발목뼈의 경미한 골절에 쓰인다.


8) Cylinder cast

적용-슬개골 골절과 Osgood-schlter씨병 등에 시술한다.


9) Foot cast

적용-발가락 골절시 족부만을 고정하는 방법이다.


10) Broomstick cast

적용-소아의 대퇴골두에 발생하는 무혈성 골 괴사증(avascular necrosis Legg-Calve-Perthes Disease)에 시행한다.


11) Frog leg cast

적용-선천성 고관절 탈구(congenital dislocation of the hip)의 정복술 후에 시행하는 석고붕대 고정방법이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REOSS POWDER  (0) 2010.04.21
cast를 한 환자의 간호   (0) 2010.04.09
뇌하수체선종  (0) 2010.04.08
경피적 접형동을 통한 뇌하수체 종양 제거술  (0) 2010.04.08
수포성 표피박리증(Epidermolysis Bullosa : EB)  (0) 2010.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