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적정성,의료질)

종합관리제 지표의 이해

야국화 2008. 3. 24. 09:29
 

지표의 이해

요양기관에서 청구한 요양급여비용 청구내역을 요양기관 종별, 진료과목별로 구분하여 진료비 크기와 임상적 유사성을 고려한 환자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진료지표 등의 상대지표(CI)와 절대지표를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기관에서 진료비 변화추이 분석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요양기관이 스스로 진료행태를 개선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건강보험, 의료급여

제외건 : DRG청구건, 추가청구건, 중복청구건, 심사불능건, 의료급여정신과

요양기관 종별, 질병군별, 진료과목(세부표시과목)별

구 분

입 원

외 래

환자분류체계

KDRG 3.2v

KOPG, KOPG-OM(한방)

동일수진자

MDC가 동일한 경우, 연속입원인 경우 합산

동일 접수번호내 동일 수진자(동일 진료과목내 MDC 동일)

자료의 보정

간호등급-입원료, 식대 등 보정

원외처방약제비 등

열외군설정

진료비가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은 건들을 열외군으로 설정

상단열외군 : X >{Q3 + 2.5|Q3-Q1|}

하단열외군 : X <{Q1 - 2.5|Q3-Q1|}

• X : 건별 총진료비

• Q1 : 1사분위수(진료비 분포가 25%에 해당하는 값)

• Q3 : 3사분위수(진료비 분포가 75%에 해당하는 값)

CI 산출방법

분자 : 기관의 실제 발생 진료비용

분모 : 기관의 기대 진료비용

기대 진료비용 : 기관의 질병군별 수진자건수에 해당 질병군별 표준진료비를 대입한 금액

※ 표준진료비란 : 전체 표시과목을 모집단으로 한 총진료비의 산술평균값

절대지표 : 개별 요양기관에서 청구한 진료비, 내원일수 등으로 산출한 평균값입니다.

상대지표 : 상대지표는 평균 1을 기준으로 한 요양기관 간의 상대적 비교치를 알 수 있습니다.

고가도지표(Costliness Index, CI) :한 요양기관의 환자구성을 감안하였을 때 실제 진료비가 기대되는 진료비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 평가하는 지표

고가도지표(CI)는 개별 요양기관에서 진료한 질병별 실제 발생한 평균 건당 금액과 동일 표시과목의 질병별 평균금액을 대입하여 산출하므로 기관의 진료비용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건당진료비 CI가 1.2인 것은 해당 요양기관의 환자구성을 감안하였을 때 기대되는 적정 건당진료비보다 실제 건당진료비가 1.2배 정도 높음을 의미합니다.

건당진료비 고가도지표 (Episodes - Costliness Index : ECI) :동일 수진자의 건당 진료비를 기준으로 산출한 고가도 지표

내(입)원일당진료비 고가도지표 (Days - Costliness Index : DCI) :동일 수진자 내(입)원일당진료비를 기준으로 산출한 고가도지표

입(내)원일수 지표 (Visit-Index : VI) :동일 수진자의 입(내)원일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장기도지표로 해당기관과 전체의 질병별 건수 구성이 동일한 상태에서 입(내)원일수를 비교한 지표

환자구성지표(CMI : Case-Mix Index) :해당기관의 환자구성을 모니터링 하는 지표로 전체 모수가 되는 집단에 비하여 환자구성의 중증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평가하는 지표 (Upcoding에 대한 모니터링 가능)

예를들어 CMI가 1.2인 것은 기관의 환자구성을 감안할 때 건당진료비는 표시과목 전체 환자 건당진료비의 1배 수준이 기대됨.환자구성이 전체 평균보다 1.2배 정도 중증도가 높게 구성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분석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