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내 유행 중인‘1형 엠폭스’가 의심될 땐,
보건소로 ☎ 유선 연락 후 조치사항을 안내 받으세요.
■ 1형 엠폭스 사례란?
- 엠폭스 임상증상에 부합하고, 역학적 연관성 중 1가지 이상이 있는 경우
엠폭스 임상증상 | 1형 엠폭스 역학적 연관성 | |
∙ 발병 초기 38.5℃ 이상의 급성 발열, 오한, 두통, 림프절병증, 요통, 근육통, 권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 며, 일부 호흡기(예, 인후염, 코막힘, 기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 1~3일 후 얼굴 중심으로 발진 증상 을 보이며, 원심형으로 주로 팔․다리 등으로 확산 - 발진은 경계가 분명하고 깊게 자리 잡고 있으며 배꼽처럼 중앙이 파인 모양으로 신체 동일 부위 발진은 크기와 진행 단계가 유사(예, 얼굴의 농포 또는 다리의 수포) - 발진 진행은 반점 → 수포 → 농포 → 가피의 단계를 거치며 딱지가 형성되어 탈락됨 - 2022~2023년 전세계적으로 유행한 엠폭스에서 보인 발진은 주로 생식기 및 항문직장 부위 또는 구강 주변으로 병변이 국한 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항상 신체 여러 부위에 퍼지는 것은 아님 |
+ a n d |
‣ 아래 3가지 역학적 연관성 중 1가지 이상인 경우 ① 증상 발생 전 21일 이내 아프리카 1형 엠폭스 발생 국가 및 노출 위험국가* 여행력이 있는 경우 * (아프리카 내 1형 엠폭스 발생국가 및 노출 위험국가) 콩고민주공화국, 콩고,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브룬디 , 르완다, 우간다, 케냐, 카메룬, 가봉, 앙골라, 남수단 , 탄자니아, 잠비아 ② 아프리카 1형 엠폭스 발생 및 노출 위험국가 여행력이 있는 엠폭스 유증상자와 의심 증상 발생 전 21일 이내 밀접 접촉력이 있는 경우 ③ 1형 엠폭스 확진환자의 접촉자인 경우 |
※ 역학적 연관성은 DUR-ITS 또는 환자의 진술을 확인해 주세요.
■ 1형 엠폭스 의심사례 진단 시 조치사항은?
- 관할 보건소(보건소 부재 시 1339)에 연락해 주세요.
- 관할 보건소에서 사례 분류를 확인하는 동안 환자(의심사례)
는 잠시 대기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 의심사례는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다른 사람과 피부
접촉이 없도록 격리 해주세요.
호흡기 감염병이 아니므로 꼭 별도의 공간에 분리할 필요는
없습니다.
환자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충분한 상황 설명을 해주세요.
- 보건소 사례 분류에 따른 안내를 받으세요.
* 2형 및 1형 엠폭스로 사례 분류된 경우, 의사환자 신고 및
검체 채취/검사 의뢰를 시행해주세요.
** 검체 채취가 불가능한 경우, 보건소 안내에 따라 검체 채취
가능 의료기관을 안내해주고, 주의사항을 교육해주세요.
엠폭스 관리지침(2024. 10.).pdf
3.96MB
1형 엠폭스 관련 의료기관 안내문.hwpx
0.18MB
관내 의료기관 엠폭스 관리지침(2024. 10.) 개정 안내.pdf
0.11MB
'질병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병관리청 제1급감염병 등 24시간 유선 사전 신고 방법 안내 (0) | 2024.11.19 |
---|---|
「2024년 급성기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시행 안내20241114 (2) | 2024.11.14 |
소아 마크로라이드 불응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환자 관리 안내2024.9.6 (2) | 2024.09.09 |
쯔쯔가무시증 추정환자 신고 관리지침 강화 안내 (1) | 2024.09.06 |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서」안내2024.8.12 (0)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