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217호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고시 일부개정
담당자김보경 연락처044-202-2456 담당부서의료자원정책과
주요내용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로 선정된
‘비소세포폐암 위험도 검사 [면역형광분석법]’ 고시내용
일부를 개정하고,
‘상하축 확장형 티타늄 임플란트를 이용한 경피적 척추
압박골절 보강술’ 등 2건을 별표에 추가
건복지부고시 제2023 - 217호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제3조제5항에 의한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고시」(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 - 176호, 2023.9.20.)
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발령합니다.
2023년 11월 16일
보건복지부장관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고시」 일부개정안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고시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의 제12호 고시문 일부를 붙임과 같이 변경하고, 제25호부터
제26호까지를 신설한다.
부 칙
이 고시는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붙임]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 개 정 안 |
12. 비소세포폐암 위험도 검사 [면역형광분석법] | 12. -------------------------------- |
가. ∼ 라. (생 략) | 가. ∼ 라. (현행과 같음) |
마. 평가 유예 대상 의료기기 목록 ○ ㈜압타머사이언스, 종양표지자면역 검사시약(AptoDetectTM-Lung) (체외 제허 17-748호, 2017.9.26.) ○ 고마바이오텍(주)·의료용면역 형광 측정장치(Luminex 200 system) (서울 체외 수신 09-2251호, 2009.12.22.) |
마. -------------------------- ○ ------------- --------------------- ------------------- -------------------- <삭 제> |
바. ∼ 아. (생 략) | 바. ∼ 아. (현행과 같음) |
12. 비소세포폐암 위험도 검사 [면역형광분석법]
가. 기술명
○ 한글명 : 비소세포폐암 위험도 검사 [면역형광분석법]
○ 영문명 : Non-Small Cell Lung Cancer Risk Test
[Immunofluorescent Assay]
나. 사용목적
○ 폐 결절 환자의 비소세포폐암 위험도 정보 제공
다. 사용대상
○ 영상진단검사(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저용량전산화단층 촬영(Low-Dose Computed Tomography,
LDCT))에서 폐 결절이 확인된 환자
라. 사용방법
○ 폐결절 환자의 혈청 내 단백질(C9, CA6, EGFR1, MMP7,
SERPINA3, KIT, CRP)을 압타머 기반의 비드마이크로어레이법
으로 정량화하고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비소세포폐암 위험도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제공함
마. 평가 유예 대상 의료기기 목록
○ ㈜압타머사이언스, 종양표지자면역검사시약
(AptoDetectTM-Lung)(체외 제허 17-748호, 2017.9.26.)
바. 평가 유예 기간
○ 2022년 9월 1일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
사. 실시기관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10조에 따라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에 대한 요양급여대상 여부 결정을
신청한 의료기관
아. 참고사항
○ 해당 의료기술을 이용한 검사 결과만으로는 비소세포폐암을
진단할 수 없으며, 확진검사를 추가 시행해야 함
○ 해당 의료기술은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신의료기술평가를
유예한 것으로 실시기관(실시자)은 환자에게 사전설명과 비급여
진료비용의 고지가 필요함
○ 실시기관은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을 환자에게 최초로 실시한
날로부터 30일 이내 요양급여대상 여부 결정 신청을 해야 함
○ 해당 의료기술은 고시된 범위 안에서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관리지침」에 따라 시행토록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사용이 중단될 수 있음
25. 상하축 확장형 티타늄 임플란트를 이용한 경피적
척추 압박골절 보강술
가. 기술명
○ 한글명: 상하축 확장형 티타늄 임플란트를 이용한 경피적
척추 압박골절 보강술
○ 영문명: Percutaneous Augmentation of Craniocaudal
Expandable Titanium Implants for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나. 사용목적
○ 척추체의 높이를 증가 및 유지하여 추체 복원 및 골절된 뼈 보강
다. 사용대상
○ 3주 이상의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한 배통이
지속되는 압박변형이 30-60%인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
환자(단, 울혈성심부전, 폐렴, 혈전성 정맥염, 약물로 잘 조절
되지 않는 당뇨병환자, 투석을 받는 만성신부전환자, 80세
이상인 환자는 조기시행 가능하며, 골다공증성 방출성 골절은
압박변형이 60% 이상인 경우에도 인정함)
라. 사용방법
○ 상하축 확장형의 티타늄 임플란트를 추체 내 삽입하여
압박골절된 척추체를 들어 올려 골시멘트를 주입함
마. 평가 유예 대상 의료기기 목록
○ SpineJack Expansion Kit, 정형용품, KE001외 2건
(수허 18-127호, 2018.12.5.)
바. 평가 유예 기간
○ 2024년 3월 1일부터 2026년 2월 28일까지
사. 실시기관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10조에 따라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에 대한 요양급여대상 여부 결정을 신청한
의료기관
아. 참고사항
○ 해당 의료기술은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신의료기술평가를
유예한 것으로 실시기관(실시자)은 환자에게 사전설명과 비급여
진료비용의 고지가 필요함
○ 실시기관은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을 환자에게 최초로 실시한
날로부터 30일 이내 요양급여대상 여부 결정 신청을 해야 함
○ 해당 의료기술은 고시된 범위 안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내 사용시 주의사항을 고려하여「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관리
지침」에 따라 시행토록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사용이
중단될 수 있음
26. 인공지능 기반 전립선 생검 디지털 이미지 분석
가. 기술명
○ 한글명: 인공지능 기반 전립선 생검 디지털 이미지 분석
○ 영문명: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ostate Biopsy
Digital Image Analysis
나. 사용목적
○ 전립선 조직학적 분류 등급(Gleason grade) 판독 보조
다. 사용대상
○ 전립선암 의심 환자
라. 사용방법
○ 전립선 생검 조직 슬라이드를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 후 인공지능
기반 병리조직진단보조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조직학적 분류
등급(Gleason grade 1~5)으로 자동 구분함
마. 평가 유예 대상 의료기기 목록
○ (주)딥바이오·DeepDx-Prostate Pro, 병리조직진단보조소프트
웨어II, DeepDx-Prostate Pro-v1(체외 제허 21-898호, 2021.11.11.)
○ 라이카마이크로시스템즈리미티드·Aperio AT2, 세포및조직
병리검사장치, Aperio AT2(체외 수신 20-2736호, 2020.12.7.)
또는 성곤무역(주)·세포및조직병리검사장치, Pannoramic 250
Flash II외 1건(서울 체외 수신 14-1210호, 2014.4.15.)
바. 평가 유예 기간
○ 2024년 4월 1일부터 2026년 3월 31일까지
사. 실시기관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10조에 따라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에 대한 요양급여대상 여부 결정을
신청한 의료기관
아. 참고사항
○ 해당 검사 결과만으로는 암 조직의 유무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으며, 추가 검사 및 환자의 임상 양상 등을 고려하여 전문의가
종합적으로 판단함
○ 해당 의료기술은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신의료기술평가를
유예한 것으로 실시기관(실시자)은 환자에게 사전설명과
비급여 진료비용의 고지가 필요함
○ 실시기관은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을 환자에게 최초로 실시한
날로부터 30일 이내 요양급여대상 여부 결정 신청을 해야 함
○ 해당 의료기술은 고시된 범위 안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내 사용시 주의사항을 고려하여「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관리지침
」에 따라 시행토록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사용이 중단
될 수 있음
'신의료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의료기술(디지털치료기기·인공지능) 건강보험 임시등재 운영지침」 제정 안내디지털의료기술등재부2023-12-21 (0) | 2023.12.21 |
---|---|
무릎 골관절염에 대한 골수 흡인 농축물 관절강내 주사 (0) | 2023.11.30 |
2023-216호 신의료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고시 일부개정/23.11.16 (0) | 2023.11.17 |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고시 2023-79호 2023.4.27전문 (1) | 2023.11.02 |
2023-202호 혁신의료기술[별표3]20231031 (1)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