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표 3]
혁신의료기술
1. 위암 예후예측 유전자 진단검사
[실시간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가. 기술명
○ 한글명 : 위암 예후예측 유전자 진단검사
[실시간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 영문명 : Gastric Cancer Prognostic Molecular Test
[Real-time RT PCR]
나. 사용목적
○ 위암 환자의 5년 생존율에 대한 예후 정보 제공
다. 사용대상
○ 2 ~ 3기 진행성 위암 환자
라. 사용방법
○ 환자의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포매(formalin-fixed, paraffin -embedded,
FFPE)된 조직 검체에서 9개 유전자의 발현량을 RT-qPCR로 측정하고
알고리즘에 의해 결과를 분석함
마. 사용기간
○ 2019년 11월 1일 ~ 2024년 10월 31일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49조에 따른 유전자검사 기관
중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장에게
신고·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 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기술
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
에 따름
2. 삭제 <2020. 5. 25.>
3. 유전자 발현을 통한 알고리즘 기반의 조기 유방암 환자의 예후검사
가. 기술명
○ 한글명 : 유전자 발현을 통한 알고리즘 기반의 조기 유방암
환자의 예후검사
○ 영문명 : Prognostic Test for Early Breast Cancer Patient
Based on the Gene Expression Signature Through the Algorithm
나. 사용목적
○ 조기 유방암 환자의 10년 내 타 장기로의 전이 위험도 정보 제공
다. 사용대상
○ HR+(ER+ 및/또는 PR+), HER2-, pN0(또는 pN1)인 조기
유방암 여성 환자
라. 사용방법
○ 수술을 통해 적출한 환자의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formalin-
fixed, paraffin-embedded, FFPE) 검체를 이용하여 유방암 예후
유전자(UBE2C, TOP2A, MKI67, RRM2, FOXM1, BTN3A2)와
표준 유전자(CTBP1, CUL1, UBQLN1)의 발현량을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하여 종양크기, 림프절 전이 상태를
조합한 알고리즘에 의해 결과를 분석함
마. 사용기간
○ 2020년 12월 1일부터 2025년 11월 30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49조에 따른 유전자검사
기관 중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장에게 신고ㆍ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4.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근재생을 위한 자가 말초혈액
줄기세포 치료술
가. 기술명
○ 한글명 :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근재생을 위한 자가
말초혈액 줄기세포 치료술
○ 영문명 :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eatment
for Myocardial Regeneration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나. 사용목적
○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자가 말초혈액 줄기세포를 이용한
심근 재생을 통한 심근 기능 향상
다. 사용대상
○ 급성 심근경색증 발생 후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성공적
으로 수행 받은 심장기능이 저하된 환자
라. 사용방법
○ Erythropoietin 정맥 또는 피하 투여 및 과립구집락자극인자
(G-CSF)를 피하투여 후 말초혈액에서 분리된 줄기세포를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통해 관상동맥 내로 주입함
마. 사용기간
○ 2020년 12월 1일부터 2025년 11월 30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의료법」 제3조의4에 따른 상급종합병원 중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장에게 신고ㆍ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
의료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5. 유방보존술에서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유방암 수술 가이드 적용
가. 기술명
○ 한글명 : 유방보존술에서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유방암 수술 가이드 적용
○ 영문명 : Application of Patient Specific 3D Printing-
Breast Surgical Guide for Breast Conserving Surgery
나. 사용목적
○ 종양의 범위를 정확히 표시하여 수술 시 제거되는 유방 조직의
최소화 및 정확한 수술로 유방암 재발 가능성 감소
다. 사용대상
○ 유방보존술이 필요한 환자(자-713 유방절제술 나. 악성 (1) 부분
절제 - (가) 액와 림프절청소술 포함 및 (나) 액와림프절청소술
포함하지 않는 것) 중 단발성 종양환자
라. 사용방법
○ 환자의 엎드린 자세(prone) 및 누운 자세(supine)의 의료영상을
통해 생성된 3D 모델을 기반으로 유방암 수술 가이드를 설계한 후
3D 프린터로 제작하여 유방보존술 수행
마. 사용기간
○ 2021년 9월 1일부터 2026년 8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혁신의료기술평가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
의료연구원 원장에게 신고ㆍ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6. 삭제 <2020. 10. 28.>
7. 안와골절정복술 시 이식되는 인공보형물(임플란트) 제작을
위한 환자 맞춤형 가이드 적용
가. 기술명
○ 한글명: 안와골절정복술 시 이식되는 인공보형물(임플란트)
제작을 위한 환자 맞춤형 가이드 적용
○ 영문명: Application of Patient Specific Implant Forming Guid
e for Orbital Fracture Repair Surgery
나. 사용목적
○ 수술 시간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수술로 환자의 예후를
향상하기 위함
다. 사용대상
○ 안와골절정복술이 예정되어 있는 순수 안와골절
(pure blowout fracture) 성인 환자
라. 사용방법
○ 환자의 의료영상 기반으로 안와골절 환자의 안와 재건을 위해
삽입되는 인공보형물(임플란트)의 곡면과 형태를 환부와 동일
하게 재단 및 가공함
마. 사용기간
○ 2022년 4월 1일부터 ~ 2027년 3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의료법」 제3조의3과 제3조의4에 따른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중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장
에게 신고·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안와 재건을 위해 삽입되는 인공보형물(임플란트)은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허가를 득한 ’티타늄이 내장된 폴리에틸렌‘으로 제한함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8. 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한 인공지능기반 허혈성 뇌졸중 유형 판별
가. 기술명
○ 한글명 : 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한 인공지능기반 허혈성 뇌졸중
유형 판별
○ 영문명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schemic Stroke Detection
using MR image
나. 사용목적
○ 뇌경색 유형 판별을 통한 진단 보조
다. 사용대상
○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환자
라. 사용방법
○ 환자의 뇌 MR 영상과 임상정보(심방세동 유무)를 활용하여 뇌경색
(허혈성 뇌졸중)의 패턴을 분석하여 4가지(대혈관동맥경화(LAA,
large artery atherosclerosis), 소혈관폐색(SVO, small-vessel occula
tion), 심장탓 색전증(CE, cardioembolism), 복합원인(others)) 유형을
분류함
마. 사용기간
○ 2023년 3월 1일부터 2026년 2월 28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혁신의료기술평가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
연구원 원장에게 신고ㆍ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 해당 검사 결과만으로는 뇌경색의 유형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으며, 환자의 임상양상 등을 고려하여 전문의가 종합적으로
판단함
9. 선택적 망막 치료술
가. 기술명
○ 한글명 : 선택적 망막 치료술
○ 영문명 : Selective Retina Therapy
나. 사용목적
○ 망막색소상피세포의 재생유도
다. 사용대상
○ 중심성 장액 맥락망막병증 환자
라. 사용방법
○ 망막색소상피세포를 선택적으로 손상시키는 네오디움(Nd)
레이저를 망막에 조사함
마. 사용기간
○ 2023년 6월 1일부터 2026년 5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의료법」제3조의3과 제3조의4에 따른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중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장
에게 신고ㆍ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10. 디지털 치료기기를 이용한 만성 불면증 환자의 인지행동치료
가. 기술명
○ 한글명 : 디지털 치료기기를 이용한 만성 불면증 환자의
인지행동치료
○ 영문명 :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Chronic Insomnia
using Digital Therapeutics
나. 사용목적
○ 불면증 증상 개선
다. 사용대상
○ 3개월 이상 증상이 계속된 만성 불면증 환자
라. 사용방법
○ 불면증 인지행동치료(CBT-I;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프로토콜(자극 조절법, 수면제한법, 수면습관교육법,
이완요법 및 인지치료법)을 적용한 모바일 의료용 앱을 의사로
부터 처방받아 6~9주간 불면증 교육, 실시간 피드백, 행동중재
프로그램 제공으로 환자의 인지 및 행동 변화 유도
마. 사용기간
○ 2023년 6월 1일부터 2026년 5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혁신의료기술평가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
보건의료연구원 원장에게 신고ㆍ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11. 인공지능기반 12 유도 심전도 데이터 활용 좌심실수축기능
부전 선별 검사
가. 기술명
○ 한글명 : 인공지능기반 12 유도 심전도 데이터 활용 좌심실수축
기능부전 선별 검사
○ 영문명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creening Test for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Using 12-lead Elec-trocardiog
ram Data
나. 사용목적
○ 좌심실수축기능부전 진단 보조
다. 사용대상
○ 만 18세 이상 좌심실수축기능부전 의심 환자
라. 사용방법
○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12 유도 심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좌심실수축기능부전 가능성에 대한 점수 및 위험도를 표시함
마. 사용기간
○ 2023년 8월 1일부터 2026년 7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의료법」 제3조의3과 제3조의4에 따른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중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장
에게 신고·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 해당 검사 결과만으로는 좌심실수축기능부전을 정확하게 진단
할 수 없으며, 추가 검사 및 환자의 임상양상 등을 고려하여
전문의가 종합적으로 판단함
12. 췌장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기반 항암제 감수성 검사
가. 기술명
○ 한글명 : 췌장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기반 항암제 감수성 검사
○ 영문명 : Pancreatic Cancer Patient-Derived Organoids (PDOs)
-Based Anti-cancer Drug Sensitivity Test
나. 사용목적
○ 항암제 감수성 여부 확인
다. 사용대상
○ 항암화학요법이 필요한 췌장암 환자
라. 사용방법
○ 오가노이드 배양한 췌장암 조직 검체를 5종의 세포독성치료제
(5-fluorouracil (5-FU), SN-38, Oxaliplain, Gemcitabine, Paclitaxel)
처리 후, 사멸되지 않은 잔존 암세포 양을 ATP 발광측정법으로
정량함
※ 검체: 생검 또는 외과적 수술을 통해 채취된 조직 검체
마. 사용기간
○ 2024년 2월 1일부터 2027년 1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의료법」 제3조의3과 제3조의4에 따른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중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장
에게 신고·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해당 검사 결과만으로는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약물을 결정
할 수 없으며, 환자의 임상양상 등을 고려하여 전문의가 종합적
으로 판단함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13. 디지털 치료기기를 이용한 성인 만성 불면증 환자의 인지행동치료
가. 기술명
○ 한글명 : 디지털 치료기기를 이용한 성인 만성 불면증 환자의
인지행동치료
○ 영문명 :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Adult Chronic
Insomnia using Digital Therapeutics
나. 사용목적
○ 불면증 증상 개선
다. 사용대상
○ 3개월 이상 증상이 계속된 19세 이상 만성 불면증 환자
라. 사용방법
○ 불면증 인지행동치료(CBT-I;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프로토콜(수면제한요법, 수면위생교육, 자극조절치료,
인지재구성, 이완요법)을 적용한 모바일 의료용 앱을 의사로부터
처방받아 환자에게 6주간 제공하여 인지 및 행동 변화 유도
마. 사용기간
○ 2023년 11월 1일부터 2026년 10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혁신의료기술평가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
의료연구원 원장에게 신고ㆍ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14.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 활용한 인공지능기반 뇌출혈 검출
가. 기술명
○ 한글명 :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 활용한 인공지능기반 뇌출혈
검출
○ 영문명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ntracerebral Hemorr-hage
Computer-aided Detection using CT image
나. 사용목적
○ 뇌출혈 진단 보조
다. 사용대상
○ 응급실에 내원한 성인 뇌출혈 의심 환자
라. 사용방법
○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즘을 통해 환자의 두부 CT 영상으로부터
뇌출혈 병변을 검출(뇌출혈 유무, 뇌출혈량)하고, 뇌출혈량에
따라 판독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로 정렬함
마. 사용기간
○ 2024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의료법」 제3조의3과 제3조의4에 따른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중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장
에게 신고·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 해당 검사 결과만으로는 뇌출혈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으며,
추가 검사 및 환자의 임상양상 등을 고려하여 전문의가 종합적
으로 판단함
15. 자기공명혈관조영 영상을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뇌동맥류 검출
가. 기술명
○ 한글명 : 자기공명혈관조영 영상을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뇌동맥류 검출
○ 영문명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erebral Aneurysm
Computer-aided Detection using MRA image
나. 사용목적
○ 낭상(saccular) 비파열 뇌동맥류 검출을 통한 진단 보조
다. 사용대상
○ 성인 뇌동맥류 의심 환자
라. 사용방법
○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뇌혈관 MRA
영상에서 뇌동맥류 의심 병변을 검출함
마. 사용기간
○ 2023년 11월 1일부터 2026년 10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의료법」 제3조의3과 제3조의4에 따른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중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장
에게 신고·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신경과, 신경외과, 영상의학과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 해당 검사 결과만으로는 뇌동맥류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으며,
추가 검사 및 환자의 임상양상 등을 고려하여 전문의가 종합적
으로 판단함
16. 3D 바이오 프린팅기반 자가 미세지방 조직을 이용한 상처 치료
가. 기술명
○ 한글명 : 3D 바이오 프린팅기반 자가 미세지방 조직을 이용한
상처 치료
○ 영문명 : Treatment of Wounds with Autologous Micro-nized
Adipose Tissue using 3-Dimensional Bio-Printing
나. 사용목적
○ 환부 보호 및 상처 치료
다. 사용대상
○ 표준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
라. 사용방법
○ 기계적 분쇄 및 중력 분리하여 획득한 환자의 자가 미세지방
조직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환부와 일치하는 패치로 제작하여
적용함
마. 사용기간
○ 2023년 11월 1일부터 2026년 10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혁신의료기술평가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
보건의료연구원 원장에게 신고·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 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17. 로봇 보조 연성신요관경하 결석제거술
가. 기술명
○ 한글명 : 로봇 보조 연성신요관경하 결석제거술
○ 영문명 : Robot-Assisted Flexible Ureterorenoscopic Stone Removal
나. 사용목적
○ 요로 결석 제거
다. 사용대상
○ 연성신요관경하 결석제거술이 필요한 환자
라. 사용방법
○ 연성요관내시경 및 수술 기구를 자동화 시스템 로봇수술기에 장착
하고 의사가 원격으로 각각의 기구를 조종하여 결석을 제거함
마. 사용기간
○ 2024년 4월 1일부터 2027년 3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혁신의료기술평가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
의료연구원 원장에게 신고·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 기관에 소속된 비뇨의학과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18. 인공지능기반 안저검사
가. 기술명
○ 한글명 : 인공지능기반 안저검사
○ 영문명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Fundus Examination
나. 사용목적
○ 당뇨망막병증, 나이관련 황반변성 및 녹내장 진단 보조
다. 사용대상
○ 당뇨망막병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녹내장 의심환자
라. 사용방법
○ 인공지능기반 알고리즘을 통해 환자의 안저영상으로부터 병변
의 위치, 디스크(Disc) 상태, 망막구조, 혈관 모양 등을 분석하여
질환(당뇨병성 망막병증, 나이관련 황반변성, 녹내장) 유무를
각각 표시
마. 사용기간
○ 2023년 11월 1일부터 2025년 10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 혁신의료기술평가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
의료연구원 원장에게 신고·접수한 안과 의사가 상주하는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 기관에 소속된 안과, 내과, 가정의학과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
기술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름
○ 해당 검사 결과만으로는 질환(당뇨망막병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녹내장)을 진단할 수 없으며, 환자의 임상양상 등을 고려하여
전문의가 종합적으로 판단함
19.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 영상을 이용한 관상동맥
내 압력측정술
가. 기술명
○ 한글명 :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 영상을 이용한
관상동맥 내 압력측정술
○ 영문명 : Fractional Flow Reserve (FFR) Measurement of
Coronary Artery using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나. 사용목적
○ 관상동맥 질환 환자의 치료방침 결정 보조
다. 사용대상
○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CCTA,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상 중등도의 협착이
있는 관상 동맥질환 환자
라. 사용방법
○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즘을 통해 환자의 CCTA 영상과 생리학적
정보(나이, 성별, 키, 몸무게, 혈압)를 사용하여 3차원 관상동맥
형상을 구역화(Segmentation)하고, 전산유체역학(CFD, Comp
utational Fluid Dynamics) 시뮬레이션과 집중식파라미터모델(LPM,
Lumped Parameter Model) 솔루션을 결합하여 분획혈류예비력
(FFR, Fractional flow reserve)을 계산함
마. 사용기간
○ 2024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사용기간 종료 이후 7일 이내 재평가 실시)
바. 실시기관
○「의료법」제3조의3과 제3조의4에 따른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중
신청인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장에게
신고·접수한 의료기관
사. 실시의사
○ 실시기관에 소속된 의사
아. 참고사항
○ 고시된 사항 외 혁신의료기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은 「혁신의료기술
의 평가와 실시 등에 관한 규정」 및 「혁신의료기술 실시에 관한 지침
」에 따름
○ 해당 검사 결과만으로는 관상동맥 질환자의 치료방침을 명확하게
결정할 수 없으며, 추가 검사 및 환자의 임상 양상 등을 고려하여
전문의가 종합적으로 판단함
'신의료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216호 신의료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고시 일부개정/23.11.16 (0) | 2023.11.17 |
---|---|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고시 2023-79호 2023.4.27전문 (1) | 2023.11.02 |
2023-202호 제한적 의료기술 [별표2]2023.10.31 (1) | 2023.11.02 |
2023-202호「신의료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고시」 일부개정/23.10.31 (1) | 2023.11.01 |
Nusinersen sodium 주사제(품명 스핀라자주) 및 Risdiplam 경구제(품명 에브리스디건조시럽) 사전승인 등에 관한 세부사항/23.9.27 (1) | 202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