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

2021년도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 안내 20.12.16

야국화 2020. 12. 16. 13:48

2021년도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 안내 20.12.16
1. 관련근거: 질병관리청 예방접종관리과-1844(2020.12.16)

2.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2021년도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 개정본

   을 붙임과 같이 안내하니 업무에 참고하시기바랍니다.

□ 주요변경내용
○ 예방접종 시행비용
  - 1회당 19,010원 → 19,220원
  - DTaP-IPV 혼합백신 28,520원 → 28,830원
  - DTaP-IPV/Hib 혼합백신 38,020원 → 38,440원
○ 항암치료자의 HPV 예방접종 비용지원 기간 추가
  - HPV 사업 대상자가 지원 연도에 항암 치료 사유로 접종하지 못한 경우 지원연도 시작일로부터

    3년(36개월 하루 전)까지 지원

□ 배부방법: 인쇄물 책자 배부* 및 온라인 게재**
  * 질병관리청에서 시도 및 보건소 배부, 위탁의료기관에 대해서는 관할보건소가 배부
  **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 예방접종관리 / 자료실 / 지침서, 각종서식

붙임. 2021년도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위탁의료기관용) 1부.

동 지침내용 및 국가예방접종사업 관련 문의(예방접종관리과 ☏043-719-8397∼8399)

1.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구분 2020년 2021년
사업
대상
∙ 만 12세 이하 아동(2007. 1. 1.이후 출생자)
* HPV 백신은 2007~2008년 출생한 여성청소년
∙ 만 12세 이하 아동(2008. 1. 1.이후 출생자)
* HPV 백신은 2008~2009년 출생한 여성청소년



∙ 예방접종비용
- 백신비: 백신별 공고가
- 예방접종 시행비용: 1회당 19,010원
단, DTaP-IPV 혼합백신은 28,520원,
. 예방접종비용
- 백신비: 백신별 공고가
- 예방접종 시행비용: 1회당 19,220원
단, DTaP-IPV 혼합백신은 28,830원,
DTaP-IPV/Hib 혼합백신은 38,440원



. 상환불가 비용상환 기준
-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혼합백신 허가기준
  이외  사용 시 비용상환 불가
제품명                     허가범위         비용상환
보령DTaP-IPV           -생후 2,4,6개월 기초 ○
(보령바이오파마)       -기초접종 용    추가 X
테트락심 -생후 2,4,6개월 및 4∼6세 기초 및 ○
(사노피)  -기초 및 추가                 추가         
인판릭스IPV주 -생후 2,4,6개월       기초 및 ○
(gsk)               및 4∼6세             추가
                    -기초 및 추가                         
※ 기초접종용으로 허가된 백신을 추가접종에
   사용한 경우 비용상환 불가,

2020.7.1.접종부터 시행 중



<좌동>














∙ 항암치료자의 HPV 예방접종 비용지원 기간
- (추가) HPV 사업 대상자가 지원 연도에 항암
  치료 사유로 접종하지 못한 경우 지원연도
  시작일로부터 3년(36개월 하루 전)까지 지원
  * 단, 2차 접종은 1차 접종일로부터 24개월 하루
    전까지 완료하여야 하며 이 경우 3차시기
    접종 지원
   ※ 면역저하자는 HPV 백신 3회 접종 필요



∙ 미접종 소아의 예방접종 일정표
- 지연시 예방접종(7~18세)
접종백신 /2~3차 최소접종간격/ 3~4차 최소접종간격
IPV13)    / 4주13)                 / 6개월13)              
⑬ IPV: 3차 접종을 만 4세 이후에 실시할 경우
   에는 2차 접종과 3차 접종이 6개월 이상 간격을
   유지해야 하고, 6개월 이상이 유지되지 않은
   경우 4차 접종이 필요함
∙ 미접종 소아의 예방접종 일정표
- 지연시 예방접종(7~18세)
접종백신/ 2~3차 최소접종간격/ 3~4차 최소접종간격
IPV13)   /           6개월13)    /            -              
⑬ IPV: 3차 접종을 만 4세 이후에 실시한 경우
  에는 2차 접종과 3차 접종이 6개월 이상 간격을
  유지해야 하고, 2차와 3차 접종이 6개월 이상
  유지되지 않은 경우 4차 접종이 필요함
 * 주석 설명 보완 및 최소접종간격 표기 수정
 ** 위 기준은 신규 추가나 변경되는 사항은 아님

1)사업대상
∙ 만 12세 이하 아동(2008. 1. 1.이후 출생자)
* HPV 백신은 2008~2009년 출생한 여성청소년

2)지원비용

. 예방접종비용
 - 백신비: 백신별 공고가
 - 예방접종 시행비용: 1회당 19,220원
   단, DTaP-IPV 혼합백신은 28,830원,
   DTaP-IPV/Hib 혼합백신은 38,440원

3)비용상환

. 상환불가 비용상환 기준
-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혼합백신 허가기준이외 사용 시 비용상환 불가
    제품명                             허가범위                        비용상환        
보령디티에이피아이피브이    -생후 2,4,6개월                 기초 ○     
(보령바이오파마)                 -기초접종 용                    추가 X               
테트락심                           -생후 2,4,6개월 및 4∼6세    기초 및  ○

(사노피)                            -기초 및 추가                   추가                  
인판릭스IPV주                   -생후 2,4,6개월                  기초 및  ○
(gsk)                                 및 4∼6세                        추가
                                     -기초 및 추가                                            
※ 기초접종용으로 허가된 백신을 추가접종에 사용한 경우 비용상환 불가,

   2020.7.1.접종부터 시행 중

∙ 항암치료자의 HPV 예방접종 비용지원 기간
 - (추가) HPV 사업 대상자가 지원 연도에 항암치료 사유로 접종하지 못한 경우 지원연도
   시작일로부터 3년(36개월 하루 전)까지 지원
    * 단, 2차접종은 1차접종일로부터 24개월 하루전까지 완료하여야 하며 이 경우 3차시기 접종지원
   ※ 면역저하자는 HPV 백신 3회 접종 필요

4)실시기준

∙ 미접종 소아의 예방접종 일정표
  - 지연시 예방접종(7~18세)
접종백신  /  2~3차 최소접종간격 / 3~4차 최소접종간격
 IPV13)              6개월13)                       -             
⑬ IPV: 3차 접종을 만 4세 이후에 실시한 경우에는 2차 접종과 3차 접종이 6개월 이상 간격을
   유지해야 하고, 2차와 3차 접종이 6개월 이상 유지되지 않은 경우 4차 접종이 필요함
    * 주석 설명 보완 및 최소접종간격 표기 수정
    ** 위 기준은 신규 추가나 변경되는 사항은 아님

 

2. 건강여성 첫걸음 클리닉사업

구분 2020년 2021년
사업
대상
∙ 만 12세 여성 청소년
(2007. 1. 1. ∼ 2008. 12. 31. 출생자)
* 2007년생의 경우 2020. 12. 31.까지
1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 2차 접종 지원
가능
- 2차 접종 지원 기간(1차 접종일로부터
  24개월 하루 전까지)
* 1차 접종 완료일 기준 2005년생은 2018년
  까지, 2006년생은 2019년까지 1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 2차 시기 접종 지원
∙ 만 12세 여성 청소년
(2008. 1. 1. ∼ 2009. 12. 31. 출생자)
* 2008년생의 경우 2021. 12. 31.까지
1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 2차 접종 지원
가능
- 2차 접종 지원 기간(1차 접종일로부터
  24개월 하루 전까지)
* 1차 접종 완료일 기준 2006년생은 2019년
까지,
2007년생은 2020년까지 1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 2차 시기접종 지원

3.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구분 2020년 2021년
사업
대상
∙ 만 12세 이하 아동(2007. 1. 1.이후 출생자)
*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또는 e항원
 (HBeAg)양성 산모로부터 출생한 영유아
* 해당아 임신 중 산모검사결과지 제출 및
  개인 정보제공 동의자
∙ 만 12세 이하 아동(2008. 1. 1.이후 출생자)
*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또는 e항원
 (HBeAg)양성 산모로부터 출생한 영유아
* 해당아 임신 중 산모검사결과지 제출 및
  개인 정보제공 동의자
대상자
관리
∙ (신규)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대상자
  예방처치일정 사전알림 문자서비스
∙ (신규)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대상자
  예방처치일정 사전알림 문자서비스
* 2021년부터 다국어(12개 언어)
  문자서비스 시행

4.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구분 2020년 2021년
사업
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1955. 12. 31. 이전 출생자)
*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을 적용하며, 65세 이상
 에서 한번도 접종하지 않은 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1956. 12. 31. 이전 출생자)
*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을 적용하며, 65세 이상
 에서 한번도 접종하지 않은 대상
접종
기관
∙ 전국 보건소 및 위탁의료기관
* 2020. 6. 22.부터 민간위탁의료기관으로
  접종기관 확대
∙ 전국 보건소 및 위탁의료기관
계약
방법
∙ 서면작성(서면계약서, 참여확인증, 통장사본 등) ∙ 전자작성(위탁계약서, 참여확인증, 통장사본 등)
 ※ 2021.3.2. 이후 가능
교육
수료
∙ 서면교육 ∙ 온라인 교육
 ※ 2021.3.2. 이후 온라인교육 운영
                       국가예방접종 용어                               
* NIP(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국가예방접종
* IR(Immunization Registry): 예방접종 전산등록
* VIS(Vaccine Information Statements): 예방접종안내문
* HBIG(Hepatitis B Immunoglobulin):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

* 국가예방접종 지원 백신

대상 감염병 두문자어 백신명
결핵 BCG(피내용) Intradermal Bacille Calmette-Gúerin vaccine
B형간염 HepB Hepatitis B vaccine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DTaP Diphtheria and tetanus toxoids and acellular
pertussis vaccine adsorbed
  Td Tetanus and diphtheria toxoids adsorbed
  Tdap Tetanus toxoid, reduced diphtheria toxoid and
acellular pertussis vaccine, adsorbed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DTaP-IPV Diphtheria and tetanus toxoids and acellular
pertussis vaccine adsorbed and inactivated
poliovirus vaccine
폴리오 IPV Inactivated poliovirus vaccine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Hib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conjugated
vaccine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DTaP-IPV/Hib Diphtheria and tetanus toxoids and acellular
pertussis vaccine adsorbed, inactivated
poliovirus vaccine and Heamophilus Influenzae
type b conjugated vaccine
폐렴구균 PCV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PPSV Pneumococcal polisaccharide vaccine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MMR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e
수두 VAR Varicella vaccine
A형간염 HepA Hepatitis A vaccine
일본뇌염 IJEV(불활성화 백신) Inactiv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LJEV(약독화 생백신) Live-attenu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HPV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인플루엔자 IIV Inactivated Influenza vaccine
1 아나필락시스 정의

*개요

‣ 아나필락시스는 원인 물질(자극)에 노출 후 즉시 또는 수십 분내의 심한 전신적 알레르기 반응을 말하며,

  피부반응(발진, 가려움증, 입술과 입안 부종), 호흡기계 증상(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심혈관계 증상(저혈

  압, 실신, 가슴통증, 빠른 맥박), 그리고 소화기계 증상(복통, 구토, 설사, 메스꺼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호흡곤란, 저혈압, 아나필락시스성 쇼크 등으로 사망할 수 있어, 신속하고 체계적인 초기대응이
  중요하다.

2 아나필락시스 대응법

*신속 대응
 1) 상황평가: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증후를 조기에 인지하고 아나필락시스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료인은 예방접종 후 20∼30분간 대기하는 동안 백신접종부위의 부종, 발적 등 발생

    여부 및 전신 과민반응으로 진행되는지 관찰한다.
 2) 도움요청: 전신 과민반응이 발생하면 의료기관내 신속히 전파하여 도움을 요청하고 담당의사를

    호출한다.
 3) 응급처치: 담당의사는 환자를 평평한 곳에 눕히고, 의식과 맥박, 호흡을 확인한 뒤 간호사의 보조를

    받으면서 기도확보, 산소공급, 에피네프린, 항히스타민 투여 등 필요한 응급조치를 시행한다.
    ※ 에피네프린은 아나필락시스 응급처치에 필요한 1차 약제이고 호흡곤란을 완화시켜주며, 적절한
       심박출량을 유지시킴
    ※ 에피네프린 투여 후에도 증상 및 혈압 조절이 안되는 경우 10∼20분 간격으로 3회까지 투여가
       가능하며, 항히스타민은 발진 등의 증상을 완화시켜주어 2차 약제로 사용 가능
 4) 응급의료기관 후송: 응급처치는 구급차가 도착할 때 까지 담당의사 주도하에 진행하고 구급차가 도착

     하면 가장 가까운 응급의료센터에 후송한다.

 

*사전 준비 사항
 1) 응급처치 장비 및 점검사항
  가. 산소공급을 위한 산소탱크는 산소 충전 상태를 확인한다.
  나. 산소마스크, 앰부백, 에어웨이는 소아용/성인용을 구분하여 준비한다.
  다. 에피네프린과 안티히스타민은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연령별 용량을 확인한다.
<표 1. 아나필락시스 치료제(체중, 연령별 용량)>
연령대               체중                                         에피네프린 근주 용량
1-6개월              4-7kg                                        0.05mg(0.05mL)
7-18개월            7-11kg                                       0.1mg(0.1mL)
19-36개월         11-14kg                                       0.15mg(0.15mL)
37-48개월         14-17kg                                       0.15mg(0.15mL)
49-59개월         17-19kg                                       0.2mg(0.2mL)
5-7세               19-23kg                                        0.2mg(0.2mL)
8-10세              23-35kg                                       0.3mg(0.3mL)
11-12세            35-45kg                                       0.4mg(0.4mL)
13세 이상, 성인   45kg 이상                                 0.5mg(0.5mL)
2) 가까운 응급의료센터를 2개 이상 지정(전화번호, 위치, 후송거리 등 파악)한다.
3) 응급처치 대응팀(의사, 간호사, 보조원)을 구성하며, 담당자별 역할은 다음과 같다.

구분 역활
예진의사 · 환자 상태 평가
· 기도, 호흡 확보‧유지, 순환기 및 의식상태 파악
· 약제 투여 필요성 판단 및 지시
· 심폐소생술 시행 필요성 판단 및 시행
· 응급의료센터(응급실) 후송 시 동행
간호사 · 상황 전파 및 도움 요청, 약제 준비 및 투여
· 심폐소생술 시행 필요성 판단 및 시행
· 응급간호관리, 응급의료센터(응급실) 후송 시 동행(필요시)
보조원 · 의료기관 내 상황 전파, 119 신고 및 구급차 호출
· 응급의료센터(응급실) 상황 알림, 후송 보조
보건소 구급차 운전기사 · 환자 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