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ECOG Performence status

야국화 2019. 10. 10. 15:21

1.ECOG(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이곳은 1955년 미국에서 설립된 다중심암연구 센터로 환자의 전신활동도(Performance status)를 측정하였으며, 이는 환자의 일상생활능력 , 적절한 치료와 예후 등 전신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분류로는 Karnofsky, Lansky도 있다.

이곳에서 1982년 Oken등이 암환자의 평가를 위해 ECOG score를 보고하였으며 , WHO score 또는 Zubrod

score라고도 한다.

단계

정의

0

모든 활동 가능, 어떤 제한없이 병에 걸리기 전과 동일한 일 수행 

1

육체적인 힘든일은 제한이 있지만 거동의나 가벼운 일은 가능

(예: 가벼운 집안일이나 사무실 일)

2

거동이나 자가돌봄은 가능하나 어떠한 일도 수행하기 어려움:깨어있는 시간의 50%이상 일어나서 생활가능 

3

제한적으로 자가돌봄은 가능하며 깨어있는 시간의 50%이상을 누워있거나 휠체어를 이용 

4

완전히 무력한 상태:어떠한 자가치료도 불가능하며 대부분 시간을 침대에서 보냄 

5

사망

ECOG state 0과 1을 구분하는 기준은 증상의 유무가 아니라 병전에 할수 있었던 모든 일을 수행할수 있느냐 없느냐에 달려있다. 따라서 환자가 일상생활은 물론 힘든일을 포함한 병전에 할수 있었던 모든 일을 할수 있다면 state 0에 해당하고,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힘든일을 하는데 제한이 있다면 state 1에 해당한다.


2.Cancer의 치료반응


RECIST

WHO

CR(Complete remission)

Cancer의 증거가 전혀 없음

4주 이후 cancer의 증거가 모두 없음

PR(Partial remission)

30%이상의 크기 감소

50% 이상의 크기 감소

PD(Progression of disease)

처음에 비해 20%이상 크기증가

25%이상의 크기 증가

SD(Stable disease)

상단에 해당 없음

상단에 해당 없음

 

보통 이 두가지를 종합해서 환자를 더 적극적으로 치료할지 아니면 보존적 치료만을 할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서 ECOG PS4 이고 PD state인 환자가 왔다면 supportive위주로 가야할것이고 Cancer stage가

높더라도 PR이나 SD state에 ECOG PS 마저 괜챦다면 적극적 치료를 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는다.


-------------------------------------------------------------

RECIST(Response evaluation criteria solid tumors)고형암을 평가하는 방법

Baseline에서 종양 병변은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분류한다.

1) 계측 가능한 병변 (measurable) 

최소한 한 방향으로 정확히 계측할 수 있는 병변을 말한다. 일반적인 계측방법 (physical examination

또는 X-ray, CT scan, MRI)으로 가장 긴 직경의 길이가 20mm 이상이거나 spiral CT scan으로 가장

긴 직경의 길이가 10mm 이상인 병변을 말한다. 

2) 계측 불가능한 병변 (nonmeasurable)    

계측 가능한 병변 외의 다른 모든 병변을 말한다. 작은 병변(일반적인 계측방법으로 가장 긴 직경의 길이가 20 mm 이하거나 spiral CT scan(5 mm contiguous reconstruction algorithm)으로 가장 긴 직경의 길이가 10 mm 이하인 병변) 및 실제 계측할 수 없는(truly nonmeasurable) 병변을 포함한다. 

Baseline 평가는 가능한 한 치료 시작 전에 바로 실시되어야 하며, 적어도 28일 이내에 실시되어야 한다.

 객관적인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후에 계측된 결과와 비교할 수 있도록 baseline에서 전체 적인 종양의 양을 알아야 한다. 객관적 종양 반응이 1차적 결과 변수인 임상시험에는 baseline에서 계 측 가능한 질환을

가진 환자만 포함될 수 있다. 계측 가능한 질환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계측 가능한 병변이 있는 경우로 정의

된다.

1) 대상 병변 (target lesions)     

각 기관별로 최대 5개, 전체 10개까지 관련된 기관을 대표할 수 있는 모든 계측 가능한 병변을 대상 병변으로 하고, baseline에서 계측하여 기록한다. 대상 병변은 크기(가장 긴 직경)와 정확한 반복 계측 (방사선 검사 또는 임상적 검사에 의한)의 적합성을 고려해서 선택한다. Baseline에서 모든 대상 병변 의 가장 긴 직경의 합이 객관적 종양 반응을 판단하는 기준값으로 사용된다. 

2) 비대상병변 (nontarget lesions)     

모든 다른 병변들은 비대상 병변으로 baseline에서 근원문서에 기록되어야 한다. 비대상 병변을 계측 할 필요는 없지만, 추적관찰 기간동안 존재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Curr Radiol Rep (2016) 4:48


 

1. Complete Response (CR)- all target lesion 사라짐. (10mm/5mm 미만, 계측 불가)

2. Partial Response (PR)- Longest diameter(LD) 합계가 30% 감소

3. Stable disease (SD)- PR받을 만큼 감소되지 않고, PD 받을 만큼 증가되지 않은 상태

4. Progressive disease (PD)-  Target lesion의 LD가 20% 이상 증가, 기존의 비 표적 병변에서 질병의 진행.

 

*CR과 PR은 평가후 4주 뒤에 두번째 평가가 이뤄져야 하며,

  SD는 치료후 최소 6주후에 한번 더 평가되어야  한다.

Curr Radiol Rep (2016) 4:48


 

최대 종합 반응 평가    

최대종합반응은 치료 시작부터 병의 진행까지 기록된 최상의 반응이다.

CR과 PR은 처음으로 반응 이 평가된후 최소4주의 차이가 나는 두번째 평가에서 반응이 확인되어야 한다.

SD는 치료 시작 후 최소 6주(2주기) 후에 적어도 한번 측정되었을 때 인정된다.     

 

반응지속기관과 병의 진행까지의 시간, 생존기간 

1. Duration of overall response 반응지속기간은 PR 기준을 만족시킨날부터 병의진행이 확인된날까지로 한다

2. Duration of stable disease 안정병변 지속기간은 치료 시작일로부터 병의 진행이 확인된 날까지로 한다.

3. Time to progression 병의 진행까지의 시간은 치료 시작일로부터 병의 진행이 확인된 시점 또는 마지막

   접촉 시점 또는 다른 항암 치료를 시작한 시점까지로 한다.

4. Survival 생존기간은 치료 시작일로부터 사망일까지로 한다.

 

J Clin Cancer Res. 2007;1(1):1-6